목차
1)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2) 대표적 식중독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의 특성, 감염경로, 증상, 원인식품에 대해 기술하시오
3)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4) 출처
2) 대표적 식중독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의 특성, 감염경로, 증상, 원인식품에 대해 기술하시오
3)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4) 출처
본문내용
라는 생각이 팽배하지만 다양한 전염병 사태를 겪으며 그것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동안은 주의하지 않았던 분비물이 퍼지지 않도록 팔뚝으로 입과 코를 막는 기침 예절이나 일부의 사람들만 주의하던 화장실 사용 후의 손 씻기 예절 등이 이제는 예절의 범주를 벗어나 나와 가족, 더 나아가 사회를 지키는 방법이 되었다.
바이러스는 세포벽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백질 구조가 그대로 노출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세정제나 비누에는 계면활성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계면 활성제는 세균의 세포막이나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과 핵산을 파괴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식품을 섭취하기 전후나 화장실 사용 후에 비누 등을 이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세척하는 방법으로 손이나 분비물을 통한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 전염을 막을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알려진 단백질의 대부분은 60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성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단백질도 해당이 된다. 노로바이러스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조리하게 되면 바이러스를 구성하고 생존에 필요한 단백질이 변성되어 파괴되고 더 이상 증식이 어려워진다. 음식 재료를 준비할 때에도 식초나 칼슘 등의 성분을 함께 넣어 세척하는 과정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구조를 망가트려 오염된 식품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병의 전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이러스의 외피단백질 구조는 인간의 세포를 포함한 옷, 이불 등의 섬유에 달라붙기 좋은 구조로 되어 있어 바이러스마다 차이가 있지만 섬유에 묻으면 일정 기간 죽지 않고 생존하여 언제든지 전염이 가능하다. 특히 노로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상당히 적은 개체 수로도 감염이 가능하므로 감염증상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거나 외출 후에는 옷을 정돈하고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바이러스 감염을 줄일 수 있다.
현재 노로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항바이러스제가 존재하지 않아 노로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 장염 환자에 대해서는 구토나 설사가 심각하지 않으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탈수를 막는 등에 보존적 치료를 병행하는 자연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탈수가 오지 않도록 물을 자주 섭취하고 노로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증상이 있는 동안 전파력이 가장 높아서 음식을 조리하는 등의 전염 가능성이 있는 행동을 자제하는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
4) 출처
강지현(2006). 국내 농산물 및 환경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와 위생지표세균의 모니터링.
바이러스는 세포벽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백질 구조가 그대로 노출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세정제나 비누에는 계면활성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계면 활성제는 세균의 세포막이나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과 핵산을 파괴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식품을 섭취하기 전후나 화장실 사용 후에 비누 등을 이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세척하는 방법으로 손이나 분비물을 통한 다양한 세균과 바이러스 전염을 막을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알려진 단백질의 대부분은 60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성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단백질도 해당이 된다. 노로바이러스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조리하게 되면 바이러스를 구성하고 생존에 필요한 단백질이 변성되어 파괴되고 더 이상 증식이 어려워진다. 음식 재료를 준비할 때에도 식초나 칼슘 등의 성분을 함께 넣어 세척하는 과정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구조를 망가트려 오염된 식품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병의 전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이러스의 외피단백질 구조는 인간의 세포를 포함한 옷, 이불 등의 섬유에 달라붙기 좋은 구조로 되어 있어 바이러스마다 차이가 있지만 섬유에 묻으면 일정 기간 죽지 않고 생존하여 언제든지 전염이 가능하다. 특히 노로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상당히 적은 개체 수로도 감염이 가능하므로 감염증상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거나 외출 후에는 옷을 정돈하고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바이러스 감염을 줄일 수 있다.
현재 노로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항바이러스제가 존재하지 않아 노로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 장염 환자에 대해서는 구토나 설사가 심각하지 않으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탈수를 막는 등에 보존적 치료를 병행하는 자연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탈수가 오지 않도록 물을 자주 섭취하고 노로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증상이 있는 동안 전파력이 가장 높아서 음식을 조리하는 등의 전염 가능성이 있는 행동을 자제하는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
4) 출처
강지현(2006). 국내 농산물 및 환경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와 위생지표세균의 모니터링.
추천자료
식품매개질환 보툴리누스균과 세레우스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균 식...
[방통대 생활과학과 4학년 식품위생학 공통]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
[방통대 생활과학과 4학년 식품위생학 공통] 삼복더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양...
식품위생학 1. 식품위생은 크게 분류해 보면 감염병과 식중독으로 나눌 수 있다. 감염병이란...
[방통대 생활과학과 4학년 식품위생학 공통] 1. 세균성 식중독 사고와 관련하여 최근 10년 ...
[방통대 생활과학과 4학년 식품위생학 공통] 1. 세균성 식중독 사고와 관련하여 최근 10년 ...
식품위생학 ) 대표적 식중독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의 특성, 감염경로, 증상, 원인식품에 ...
식품위생학 )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