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행동주의 관점에서의 언어습득
2)대표적 학자
3)행동주의의 강점 및 한계
3.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2.본론
1)행동주의 관점에서의 언어습득
2)대표적 학자
3)행동주의의 강점 및 한계
3.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휘를 확장시키며 문법 규칙을 획득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모방과 강화만으로 복잡한 언어습득 과정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결론
행동주의자들은 언어발달과 관련하여 언어체계의 특별한 생득적 지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음을 주장한다. 또한 인간의 모든 행동을 학습된 것으로 파악하며 인간의 언어가 선천적인 것이 아닌 오직 환경에 의해 주어진 경험적 자료에 의한 조건 반사적 행동이라고 보았다. 구조주의 언어학자들 또한 행동주의 심리학에 동조하여 언어가 단어와 생각의 연합 발생 빈도 및 강도, 경험적인 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주장했다. 행동주의의 대표 학자인 스키너는 우리의 언어 지식이 축적되며 오류가 수정되는 데 환경과 경험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의 신념을 담은 소설 ‘월든 투’에는 인간의 자유의 원천을 ‘긍정적 강화’에서 찾고 있다. 긍정적 강화는 인간 행동의 성향을 통제하는 효과를 목표로 하며, 인간이 좋아하는 상황을 만들고 싫어하는 상황을 제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인적 자유를 보존시킨다. 이 소설의 주인공 프레이저의 말을 빌려 스키너는 매사에 실험적 태도로 임하고 모든 습관이나 관습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스키너가 바라는 유토피아의 실현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그가 주장하는 긍정적 강화의 효과와 목적에 대해서는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언어습득 과정에 있어서 행동주의 이론은 어휘의 확장이나 문법 규칙 획득을 위해 환경과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아동이 문법적 오류를 산출하는 이유나 문법의 규칙성을 빠르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문장을 산출하는 이유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언어습득의 연구는 언어학이 정의하고자 하는 것, 즉 언어를 아동이 어떤 방법으로, 어떤 시기에 완벽하게 구사하는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는 오늘날 언어학과 심리학, 철학, 생명과학 등 여러 학문을 망라하는 인지과학의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행동주의는 그 시작점에서 괄목할만한 이론을 펼치고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4.출처 및 참고문헌
-숙환, 『마음의 재구성: 촘스키&스키너』, 김영사, 2009.
-성미영·권윤정·유주연,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5.
-정동빈·안수웅·김남국·민찬규·박매란, 『언어습득 언어학적 입문』, 한신문화사, 1992.
3.결론
행동주의자들은 언어발달과 관련하여 언어체계의 특별한 생득적 지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음을 주장한다. 또한 인간의 모든 행동을 학습된 것으로 파악하며 인간의 언어가 선천적인 것이 아닌 오직 환경에 의해 주어진 경험적 자료에 의한 조건 반사적 행동이라고 보았다. 구조주의 언어학자들 또한 행동주의 심리학에 동조하여 언어가 단어와 생각의 연합 발생 빈도 및 강도, 경험적인 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주장했다. 행동주의의 대표 학자인 스키너는 우리의 언어 지식이 축적되며 오류가 수정되는 데 환경과 경험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의 신념을 담은 소설 ‘월든 투’에는 인간의 자유의 원천을 ‘긍정적 강화’에서 찾고 있다. 긍정적 강화는 인간 행동의 성향을 통제하는 효과를 목표로 하며, 인간이 좋아하는 상황을 만들고 싫어하는 상황을 제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인적 자유를 보존시킨다. 이 소설의 주인공 프레이저의 말을 빌려 스키너는 매사에 실험적 태도로 임하고 모든 습관이나 관습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스키너가 바라는 유토피아의 실현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그가 주장하는 긍정적 강화의 효과와 목적에 대해서는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언어습득 과정에 있어서 행동주의 이론은 어휘의 확장이나 문법 규칙 획득을 위해 환경과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아동이 문법적 오류를 산출하는 이유나 문법의 규칙성을 빠르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문장을 산출하는 이유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언어습득의 연구는 언어학이 정의하고자 하는 것, 즉 언어를 아동이 어떤 방법으로, 어떤 시기에 완벽하게 구사하는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는 오늘날 언어학과 심리학, 철학, 생명과학 등 여러 학문을 망라하는 인지과학의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행동주의는 그 시작점에서 괄목할만한 이론을 펼치고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4.출처 및 참고문헌
-숙환, 『마음의 재구성: 촘스키&스키너』, 김영사, 2009.
-성미영·권윤정·유주연, 『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5.
-정동빈·안수웅·김남국·민찬규·박매란, 『언어습득 언어학적 입문』, 한신문화사, 1992.
추천자료
[유아발달과 교수학습이론]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다중지능이론
서사문학교육
(언어지도) 학습이론(행동주의)에서 주장하는 언어습득 이론의 핵심내용, 평가, 한계점에 대...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 이론의 인간관을 비교하고 본인의 인간관을 서술.
[언어발달] 언어적 모델로서 유아들의 언어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3가지 이상을 제시...
영유아의 언어발달 이론 중 행동주의적 관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논하시오
교육심리학 기말]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2021 영유아교수방법론][1, 3번] 1.발달이론에 따른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2.집...
아동복지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