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론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을 문항 분석 관점에서 검토하고 문제가 있는 문항을 10문항 찾아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십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론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을 문항 분석 관점에서 검토하고 문제가 있는 문항을 10문항 찾아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문
1. 64회Ⅰ6번, 오늘 도와줘서 고마웠어요 라는 대화 문장
2. 64회Ⅰ12번, 야구를 좋아하냐고 묻는 말에 축구가 좋아요 라는 대화 문장
3. 60회Ⅰ21번, 오랜만에 미술관에 오니까 좋네요. 로 시작하는 대화 문장
4. 64회Ⅱ 2번, ‘공을 잘 들고 앞쪽을 봐 그다음에 어떻게 해?’ 라는 대화 문장
5. 41회 7번, 빨리 오세요. 영화가 곧 시작해요. 네. 지금 가요. 의 대화 문장
6. 41회Ⅰ6번, 수미 씨에게 말씀 좀 전해 주세요. 라는 대화 문장
7. 64회Ⅱ 3번, 직장인들은 점심시간을 어떻게 보낼까요? 로 시작하는 문장
8. 41회Ⅰ4번, 수업이 어때요? 라는 대화 문장
9. 41회Ⅰ5번, 휴가 잘 다녀오세요. 라는 대화 문장
10. 41회Ⅱ 7번 지영 씨 다음 주 김민호 씨 집들이에 초대 받았지요? 라는 대화 문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제를 수정해야 한다.
9. 41회Ⅰ5번, 휴가 잘 다녀오세요. 라는 대화 문장
문제점 대화에 답변으로 고맙습니다. 라는 표현은 너무 단순한 대답이라고 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대활 할 때 단순히 고맙습니다. 라고 답변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해결방안은 ‘오면서 선물 사올게요.’ 또는, ‘갔다 와서 같이 식사해요.’ 등의 답변으로 한국 사람들의 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대화 내용으로 수정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어능력시험에서 한국정서에 맞는 대화법을 활용하는 것이 외국어로 보는 한국어로써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그렇게 하므로써 외국인들이 헷갈려하는 한국말을 조금 더 쉽게 받아드릴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10. 41회Ⅱ 7번, 지영 씨 다음 주 김민호 씨 집들이에 초대 받았지요? 로 시작하는 문장
문제점은 남자의 답변으로 선택하는 보기에서 중복으로 선택 가능한 답변이 있었다. ‘너무 빠쁘셔서 그랬겠지요.’와 ‘준비하느라 많이 바빴겠어요.’ 이 두 가지는 어떠한 환경과 상황에서 이야기 하는가에 따라 답변을 고르는 것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해결방안은 2번을 삭제하고 집들이 선물 가져 왔어요. 등의 대화를 삽입하는 것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하여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게 생각할 수 있는 연결 고리를 차단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문제와 답에서 사람들의 입장에 따라 다르게 판단 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지 잘 검토해보아야 될 것 같다.
Ⅲ. 결론
이렇게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항을 최대한 한국 사람들이 생활에서 사용하는 대화를 중심으로 출제를 하였으나 그 의도가 다소 맞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었고 외국인의 입장에서 시험을 준비한다고 생각했을 때 능력 검정에 불필요한 요소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렇게 한국어능력시험이 한국에서 실제로 생활하고 대화 할수 있도록 돕기위한 평가이다. 그렇기에 한국의 일상적인 대화가 잘 드러나는 형태로 문제를 수정 보완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무튼 이렇게 한국어능력시험 때문에 외국인들의 한국어 사용 능력이 뛰어나게 좋은 사람들을 보게 되었다. 앞으로도 한국어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지도록 되었으면 좋을 것 같다. 그렇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지속적인 발전을 하여 세계에서 한국의 언어를 바라 볼 때 조금 더 훌륭한 언어라고 생각할 수 있었으면 한다. 그렇기에 한국어를 표본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한국어능력시험의 출제문항의 오류가 적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과정을 보며 외국인이 한국에서 살아가기에 언어적인 불편함이 많이 줄어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계기로 한국어능력시험 문제를 살펴보니 일상적인 대화에서 막힘이 없도록 문제가 비교적 잘 출제된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우리가 외국어에서 토익이나 토플을 보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란 생각이 든다.
Ⅳ. 참고문헌
1. 한국어능력시험 www.topik.go,kr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7.29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