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제1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2. 제2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3. 제3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4.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Ⅲ. 결론
*참고자료
Ⅱ. 본론
1. 제1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2. 제2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3. 제3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4.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지 못한 결과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국민 행복의 증진을 위해「제3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13~’17)」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제3차 계획은 100세 시대에 국민들에게 창조적인 평생학습을 제공하여 국민의 행복을 실현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았다. 계획은 통해 교육부는 고령자가 인생 후반기에 행복한 여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취미생활, 여가선용 등의 노년층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확충하였다.
4.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은 개인과 사회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한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평생학습을 누릴 수 있는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거버넌스 기반을 설립하여 개인의 학습을 사회가 뒷받침해주고 사회의 성장에 개인이 기여하는 것이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이 목표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평생교육은 가장 효과적인면서도 기본적인 복지 정책 중 하나이기 때문에, 평생학습권 보장을 통해 국민의 학습 기본권을 보장하면서 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사회적 차원에서도 최근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인 일자리와 사회의 성장 잠재력의 확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Ⅲ. 결론
평생교육은 이제 우리 사회의 일부가 되었으며,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던 평생교육은 이제 우리가 살고있는 지역 사회에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누릴 수 있는 교육 서비스가 되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과 학습에 대한 생각은 모든 이가 필수적으로 누려야 하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혹은 자신에게 필요한 교육을 받기 위해 평생교육 서비스를 찾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역량 증진을 위해 평생교육은 이제 필수적인 삶의 한 방식이 되었다.
*참고자료
평생교육 [平生敎育, life-long education]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최돈민. \"한국 평생교육정책 평가 - 제1, 2차 평생학습종합진흥계획을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18.4 (2012): 119-141.
광주광역시 동구 평생학습도시 센터자료실 [교육자원부 제2차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 발표]
https://www.donggu.kr/board.es?mid=a60603010000&bid=0015&act=view&list_no=2
따라서, 제3차 계획은 100세 시대에 국민들에게 창조적인 평생학습을 제공하여 국민의 행복을 실현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았다. 계획은 통해 교육부는 고령자가 인생 후반기에 행복한 여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취미생활, 여가선용 등의 노년층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확충하였다.
4.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은 개인과 사회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한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평생학습을 누릴 수 있는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거버넌스 기반을 설립하여 개인의 학습을 사회가 뒷받침해주고 사회의 성장에 개인이 기여하는 것이 제4차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이 목표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평생교육은 가장 효과적인면서도 기본적인 복지 정책 중 하나이기 때문에, 평생학습권 보장을 통해 국민의 학습 기본권을 보장하면서 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사회적 차원에서도 최근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인 일자리와 사회의 성장 잠재력의 확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Ⅲ. 결론
평생교육은 이제 우리 사회의 일부가 되었으며,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던 평생교육은 이제 우리가 살고있는 지역 사회에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누릴 수 있는 교육 서비스가 되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과 학습에 대한 생각은 모든 이가 필수적으로 누려야 하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혹은 자신에게 필요한 교육을 받기 위해 평생교육 서비스를 찾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역량 증진을 위해 평생교육은 이제 필수적인 삶의 한 방식이 되었다.
*참고자료
평생교육 [平生敎育, life-long education]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최돈민. \"한국 평생교육정책 평가 - 제1, 2차 평생학습종합진흥계획을 중심으로 -.\" 평생교육학연구 18.4 (2012): 119-141.
광주광역시 동구 평생학습도시 센터자료실 [교육자원부 제2차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 발표]
https://www.donggu.kr/board.es?mid=a60603010000&bid=0015&act=view&list_no=2
추천자료
평생교육 학습공동체 이념의 구현과 YMCA의 평생교육활동사
미국,일본,영국,호주,뉴질랜드의 평생교육정책
[직업교육][직업훈련][직업교육훈련]직업교육(직업훈련)의 가치와 직업교육(직업훈련)의 현황...
한국 평생교육 논의,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과제와 전망
[농촌][농촌진흥운동][고리채정리사업][특산단지][소비자문제][평생교육][공원쉼터]농촌의 농...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_평생교육필요성 2.피아제의 인지...
평생교육론 ) 우리나라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해 보자
[평생교육론] 우리나라 평생학습진흥 기본계획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해보자
2020년 2학기 평생교육실무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생애능력, 교육자핵심역량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