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3. 결론
앞서 말했듯이, 교육의 목적 중 하나는 학생의 인성을 함양하는 전인교육이다. 이 인성을 함양한다는 것은 곧 학생의 본질적인 성향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적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단순한 조건화만으로도 이 본질적인 성향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벌을 통해 조건을 형성하여 학생의 성향을 변화시킨다는 주장의 타당성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어진 논의에서 서술한 스키너의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학생의 인성은 오직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만 바뀔 수 있는 것이고, 벌은 그 보상을 바꾸는 데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 교육현장의 여러 예를 생각해 보면, 고전적 행동주의 학습이론보다는 스키너의 신행동주의 학습이론이 훨씬 큰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학생의 성향을 벌을 통해서 바꿀 수 있다는 주장은 더 이상 설득력을 갖지 못하며, 그보다는 행동에 대한 보상체계를 새로이 정립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 더 타당한 결론인 것이다.
4. 참고 문헌
1. 강수미. \"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세가지 학습이론.\" 硏究論叢 16.- (1988): 45-65.
3. 결론
앞서 말했듯이, 교육의 목적 중 하나는 학생의 인성을 함양하는 전인교육이다. 이 인성을 함양한다는 것은 곧 학생의 본질적인 성향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적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단순한 조건화만으로도 이 본질적인 성향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벌을 통해 조건을 형성하여 학생의 성향을 변화시킨다는 주장의 타당성이 있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어진 논의에서 서술한 스키너의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학생의 인성은 오직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만 바뀔 수 있는 것이고, 벌은 그 보상을 바꾸는 데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 교육현장의 여러 예를 생각해 보면, 고전적 행동주의 학습이론보다는 스키너의 신행동주의 학습이론이 훨씬 큰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학생의 성향을 벌을 통해서 바꿀 수 있다는 주장은 더 이상 설득력을 갖지 못하며, 그보다는 행동에 대한 보상체계를 새로이 정립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이 더 타당한 결론인 것이다.
4. 참고 문헌
1. 강수미. \"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세가지 학습이론.\" 硏究論叢 16.- (1988): 45-65.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제 4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요약
왓슨(John Broadus Watson)의 생애와 이론(행동주의, 고전적 조건반사이론, 빈도의 원리&...
인지주의
[인간행동과사회환경 D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인간행동과사회환경 E형) 교재에 있는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사례를 들어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벌을 사용하는 목적과 벌이 가져오는 행동 결과를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관련지어 해석해보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