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환자역할의 기본개념
2-2. 낙인이론
2-3. 낙인이론과 질병의 행위
2-4. 만성질환 환자와 급성질환 환자의 사례
3. 결말
4. 참고문헌
2. 본론
2-1. 환자역할의 기본개념
2-2. 낙인이론
2-3. 낙인이론과 질병의 행위
2-4. 만성질환 환자와 급성질환 환자의 사례
3. 결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게 어떠한 특권을 소지하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정상적인 임무에서는 면제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ㄴ과 ㅁ의 질병의 경우도 경미한 상태와 심한 상태로 대치가 되며, 일시적으로는 정상적인 업무에서 면제는 받으며, 의료적인 도움을 구할 수 있다는 특권을 부여 받을 수 있다. 감기의 경우 정상적인 업무에 대한 면제가 어느 정도는 허용될 수 있지만 폐렴의 경우 모든 일장적인 임무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다. ㄷ과 ㅂ의 경우도 무조건적인 정당성의 상태를 나타내도 있는데, ㄷ의 곰보와 같은 경미한 상황에서도 특별한 특권이 새롭게 부여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암 같은 만성이환의 질병에 해당하는 ㅂ의 경우에는 일탈의 성격은 사망까지 이를 것으로 예측이 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업무에서는 영원히 면제를 받을 수 있다. 추가로 ㄱ과 ㄷ의 경우 의무와 특권에는 변화가 없고, ㄴ의 경우는 일시적으로 면제를 받는 상황에 있다. 즉, ㅁ의 경우만이 파슨스의 환자역할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의 예로 들었던 피부질환을 겪는 쿠바인과 기생충이 체내에 있는 아프리카인의 경우도 무조건적인 정당성으로 분류가 되기 때문에 ㄷ의 경우에 해당된다. 왜냐하면 해당 질병이 발생했다고 해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큰 문제가 없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특권의 부여와 임무의 변화는 없다.
2-4. 만성질환 환자와 급성질환 환자의 사례
- 만성질환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생활습관 분석 (K 씨)
나이
56 세
신장
173 cm
성별
남
직업
택시 기사
질병
만성 고혈압
수년간 택시 운전사로 일하고 있는 K씨는 직업의 특성상 식사 스케쥴에 대한 변동이 많다. 하지만 하루에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를 거르는 일은 없다. 하지만 대부분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기 때문인지 짜게 먹는 습관이 있으며, 하루에 섭취하는 수분양이 적은 편에 속한다. 평소에는 흡연을 자주 하면, 하루에 한 갑 정도를 흡연할 정도였다. 하지만 현재는 금연을 하고 있는 중이며, 매일 마시던 술도 금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성격은 활달한 편에 속하며, 같이 일하는 동료들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주말에는 취미활동으로 등산을 가끔씩 하고 있으며, 사회활동 참여로는 직장 동료들과 테니스 동호회를 결성하여 활발하게 활동을 할 만큼 여가시간의 대부분이 테니스이다. 주말의 대부분을 동호회 사람들과 테니스를 즐기거나, 등산을 즐기고 있기 때문에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앞에서 언급 했듯이 원만하고 활달한 성격으로 질병이 악화되기 전까지는 흡연과 음주의 빈도가 높았다고 판명이 된다. 현재에는 질병이 악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금연, 금주를 시행하면서, 식단조절도 같이 병행하고 있는 중이다. 사회적인 활동의 참여도 또한 높은 편에 속하였지만 질병의 악화로 인해 사회적 교류는 단절되어 있는 실정이다.
- 급성질환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생활습관 분석 (M 씨)
나이
48 세
신장
176 cm
성별
남
직업
공기업 회사원
질병
급성 고혈압
평소부터 규칙적인 식사 스케줄을 이행하고 있으며, 다른 음식들에 비해서 나트륨의 섭취가 조금 높은 편에 속한다. 하루에 섭취하는 수분양은 적다. 흡연과 음주를 좋아하고, 평소의 주량이 매우 높다고 측정된다. 수면과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 불규칙한 것으로 볼 때, 생활의 패턴이 불규칙하고 잦은 야근과 외근으로 인해서 자신의 주변과 자택의 청결 상태가 아주 안 좋은 편에 속하고 있다.
소극적인 성격이며,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 어떠한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가족과 보내는 시간도 상대적으로 적다고 판단이 된다. 직업적인 스트레스와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상황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측정이 된다.
3. 결말
앞에서 비교한 만성질환과 급성질환의 두 환자 모두 무조건적 정당성에는 해당되지 않는 환자의 유형이라고 생각한다. 두 환자 모두 고혈압이라는 질병을 가지고 있지만, 해당 질병이 죽음으로 직결되는 심각한 수준의 질병이 아니고, 일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큰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환자의 경우를 나눠서 비교해 보자면, 만성질환 환자의 경우 초기에는 질병의 수준이 미약해서 식습관과 생활패턴을 고치지 않았지만. 질병의 수준이 올라가면서 식습관을 바꾸고, 음주를 줄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활발하게 이행하던 사회적 활동의 빈도 또한 단절되어 있는 상태로 볼 때, 조건적 정당성의 유형에 대행된다고 생각한다. 조건적 정당성에서 일탈의 정도는 심각한 일탈에 해당된다고 생각되며, 일상적인 의무에서 일시적으로 면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특권이 부여 될 수도 있으며 질병을 치료하고 회복할 의무가 주어진다고 판단이 된다.
급성질환의 환자의 경우 원래는 건강한 신체를 지니고 있었지만, 불규칙적인 생활 패턴과 좋지 않은 청결 수준 그리고 무엇보다 높은 스트레스가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되었다고 생각한다. 질병의 수준을 초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조건적 정당성 유형에서 심각성은 경미한 일탈에 해당된다고 생각한다. 직무의 수준이 과다하여 피로가 누적되어 질병이 발생되기 때문에, 일상적인 의무에서 부분적으로 면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특권이 강화된다.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하며, 자신의 주변을 정리정돈하고 청결상태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식사를 할 때는 나트륨의 섭취를 줄이고, 수분의 섭취를 늘리는 식습관의 변화가 필요하다. 해당 급성질환의 환자의 경우 질병의 회복과 완치를 위해서 스스로 노력하고 실천할 의무가 주어져 있다고 판단이 된다.
다음과 같이 동일한 질병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유형을 가지는 두 환자에 대해서 프라이드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어떤 환자의 역할을 가지면서 유형이 어떠한지 일탈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4. 참고문헌
간호학특론, 김영임, 최윤경, knou press, 한국방송통신대학교총괄문화원
간호학특론, 예하미디어, 2006
간호학특론,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3
기본간호학, 양선희, 2020, 현문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유광수, 2016, 청담미디어
또한 앞에서 설명의 예로 들었던 피부질환을 겪는 쿠바인과 기생충이 체내에 있는 아프리카인의 경우도 무조건적인 정당성으로 분류가 되기 때문에 ㄷ의 경우에 해당된다. 왜냐하면 해당 질병이 발생했다고 해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큰 문제가 없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특권의 부여와 임무의 변화는 없다.
2-4. 만성질환 환자와 급성질환 환자의 사례
- 만성질환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생활습관 분석 (K 씨)
나이
56 세
신장
173 cm
성별
남
직업
택시 기사
질병
만성 고혈압
수년간 택시 운전사로 일하고 있는 K씨는 직업의 특성상 식사 스케쥴에 대한 변동이 많다. 하지만 하루에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를 거르는 일은 없다. 하지만 대부분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기 때문인지 짜게 먹는 습관이 있으며, 하루에 섭취하는 수분양이 적은 편에 속한다. 평소에는 흡연을 자주 하면, 하루에 한 갑 정도를 흡연할 정도였다. 하지만 현재는 금연을 하고 있는 중이며, 매일 마시던 술도 금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성격은 활달한 편에 속하며, 같이 일하는 동료들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주말에는 취미활동으로 등산을 가끔씩 하고 있으며, 사회활동 참여로는 직장 동료들과 테니스 동호회를 결성하여 활발하게 활동을 할 만큼 여가시간의 대부분이 테니스이다. 주말의 대부분을 동호회 사람들과 테니스를 즐기거나, 등산을 즐기고 있기 때문에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다.
앞에서 언급 했듯이 원만하고 활달한 성격으로 질병이 악화되기 전까지는 흡연과 음주의 빈도가 높았다고 판명이 된다. 현재에는 질병이 악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금연, 금주를 시행하면서, 식단조절도 같이 병행하고 있는 중이다. 사회적인 활동의 참여도 또한 높은 편에 속하였지만 질병의 악화로 인해 사회적 교류는 단절되어 있는 실정이다.
- 급성질환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생활습관 분석 (M 씨)
나이
48 세
신장
176 cm
성별
남
직업
공기업 회사원
질병
급성 고혈압
평소부터 규칙적인 식사 스케줄을 이행하고 있으며, 다른 음식들에 비해서 나트륨의 섭취가 조금 높은 편에 속한다. 하루에 섭취하는 수분양은 적다. 흡연과 음주를 좋아하고, 평소의 주량이 매우 높다고 측정된다. 수면과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 불규칙한 것으로 볼 때, 생활의 패턴이 불규칙하고 잦은 야근과 외근으로 인해서 자신의 주변과 자택의 청결 상태가 아주 안 좋은 편에 속하고 있다.
소극적인 성격이며,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 어떠한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가족과 보내는 시간도 상대적으로 적다고 판단이 된다. 직업적인 스트레스와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상황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측정이 된다.
3. 결말
앞에서 비교한 만성질환과 급성질환의 두 환자 모두 무조건적 정당성에는 해당되지 않는 환자의 유형이라고 생각한다. 두 환자 모두 고혈압이라는 질병을 가지고 있지만, 해당 질병이 죽음으로 직결되는 심각한 수준의 질병이 아니고, 일상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큰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환자의 경우를 나눠서 비교해 보자면, 만성질환 환자의 경우 초기에는 질병의 수준이 미약해서 식습관과 생활패턴을 고치지 않았지만. 질병의 수준이 올라가면서 식습관을 바꾸고, 음주를 줄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활발하게 이행하던 사회적 활동의 빈도 또한 단절되어 있는 상태로 볼 때, 조건적 정당성의 유형에 대행된다고 생각한다. 조건적 정당성에서 일탈의 정도는 심각한 일탈에 해당된다고 생각되며, 일상적인 의무에서 일시적으로 면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특권이 부여 될 수도 있으며 질병을 치료하고 회복할 의무가 주어진다고 판단이 된다.
급성질환의 환자의 경우 원래는 건강한 신체를 지니고 있었지만, 불규칙적인 생활 패턴과 좋지 않은 청결 수준 그리고 무엇보다 높은 스트레스가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되었다고 생각한다. 질병의 수준을 초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조건적 정당성 유형에서 심각성은 경미한 일탈에 해당된다고 생각한다. 직무의 수준이 과다하여 피로가 누적되어 질병이 발생되기 때문에, 일상적인 의무에서 부분적으로 면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특권이 강화된다.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하며, 자신의 주변을 정리정돈하고 청결상태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식사를 할 때는 나트륨의 섭취를 줄이고, 수분의 섭취를 늘리는 식습관의 변화가 필요하다. 해당 급성질환의 환자의 경우 질병의 회복과 완치를 위해서 스스로 노력하고 실천할 의무가 주어져 있다고 판단이 된다.
다음과 같이 동일한 질병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유형을 가지는 두 환자에 대해서 프라이드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어떤 환자의 역할을 가지면서 유형이 어떠한지 일탈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4. 참고문헌
간호학특론, 김영임, 최윤경, knou press, 한국방송통신대학교총괄문화원
간호학특론, 예하미디어, 2006
간호학특론,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3
기본간호학, 양선희, 2020, 현문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유광수, 2016, 청담미디어
추천자료
간호학특론A형 2020-프라이드슨의 낙인론-간호학특론A형 모형 또는 주요 개념에 대해 설명 급...
간호학특론A형] 1)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2) 급성 및 만성질환자 인터뷰 3) 사례 비교분석 4) ...
2020년 2학기 간호학특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프라이드슨의 낙인론 모형)
간호학특론A형 2020학년도 2학기)프라이드슨의 낙인론 간호학특론A형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
<간호학특론 A형>프라이드슨의 낙인론 모형 설명, 사례조사(급성 및 만성질환자) 및 비교분석...
<방통대>1)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모형에 대해 설명하고, 2)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
2020년 간호학특론A형]프라이드슨의 낙인론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인...
간호학특론A형 2020)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간호학특론A형, 프라이드슨의 ...
간호학특론 )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