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호학특론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1) 모형 또는 주요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각 유형에 따라
2)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하고 대면 또는 비대면 인터뷰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생활 습관, 건강 문제 등 사례를 조사하고,
3) 두 사례를 비교분석하시오. 마지막으로
4) 모형이나 개념 적용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파슨스의 환자 역할
1) 개념
2) 권리와 의무
3) 비판
2.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1) 개념
2) 낙인론과 질병 행위
3) 비판
3.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하고 대면 또는 비대면 인터뷰를 통해 인구 사회학적, 생활 습관, 건강 문제 등 사례를 조사
1) 급성질환자의 사례 조사
2) 만성질환자의 사례 조사
4. 사례를 비교 및 분석
5. 모형이나 개념 적용에 따른 결론을 제시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1) 모형 또는 주요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각 유형에 따라
2)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하고 대면 또는 비대면 인터뷰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생활 습관, 건강 문제 등 사례를 조사하고,
3) 두 사례를 비교분석하시오. 마지막으로
4) 모형이나 개념 적용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파슨스의 환자 역할
1) 개념
2) 권리와 의무
3) 비판
2.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1) 개념
2) 낙인론과 질병 행위
3) 비판
3.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하고 대면 또는 비대면 인터뷰를 통해 인구 사회학적, 생활 습관, 건강 문제 등 사례를 조사
1) 급성질환자의 사례 조사
2) 만성질환자의 사례 조사
4. 사례를 비교 및 분석
5. 모형이나 개념 적용에 따른 결론을 제시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진행한 후, 신장 수치가 높음을 알게 되었고, 이후 약을 처방받았다. 그 이후부터 신부전 초기 증상 등을 검색해 지식을 얻기 시작했다. 그렇게 만성신부전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다. 그 후 자신이 3단계임을 깨닫고 입원을 결정한다. 이후 검사와 함께 이렇게 조절을 하지 않으면 위험하다는 것을 설명받고, 바로 혈압조절 등의 노력을 하고 교육도 받았다. 꾸준한 노력으로 퇴원을 하였고, 이후에는 조절을 위해 약을 먹고, 혈압을 측정하는 기계를 구매하여 꾸준히 혈압을 측정하는 등의 노력을 했다.
4. 사례를 비교 및 분석
여성은 A, 남성은 B라고 지칭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A는 처음에는 자신이 어떠한 상황에 놓여있는가에 대해서는 몰랐지만, 이후에 자신의 증상에 따라 스스로 치료하려고 노력은 하게 된다. 이것을 보면 초기에 환자 역할에 있어서 충실하지 못함을 알 수 있고, 그 이후 결국 급성천식 발작이 찾아온 것이다.
B의 경우에는 만성신부전증 환자였음에도 군것질을 하고 혈당에 신경을 쓰지 않는 등의 관리에 소홀했다. 그래도 그 이후에는 병원에 다니면서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의 위험성을 인지한 후에 병원에 방문한 것이다. 처음에는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으나, 이후에는 의사와 간호사의 말에 잘 따르고, 자신의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충고와 교육에 귀를 기울였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위해 힘쓴 것이다.
A는 일을 계속하면서 기침으로 인해 코로나 19가 아닌지 의심을 받기도 하였다. 게다가 마스크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아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코로나 19에 감염된 것도 아니고 기침이 자신의 의지가 아니었지만, 타인이 A를 보는 시선은 좋지 않았고, 의심을 통해 낙인을 찍었다는 점에서는 정당성이 없는 환자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B는 병원에 입원하고 퇴원하였지만, 여전히 출근 계획은 없다. 지금 중요한 것은 일보다 건강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B에게 있어서 질병은 일을 면제받는 환자의 특권이기에 조건부 환자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5. 모형이나 개념 적용에 따른 결론을 제시
이렇게 A와 B의 사례를 통해 낙인론, 환자 역할을 적용하면 \"질병\"이라는 것은 그 자체가 아니라 사회에서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따라 일을 면제받을 수 있는 특권이 생기기도 하고, 또는 그것이 아니기도 하다는 것이다. A와 비슷하게 어떤 의심으로 인해 낙인을 찍게 되는 상황을 만드는 경우, 집단이라는 다수로부터 분리되어 의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질병이라는 것은 보통 부정적인 것이고, 동정과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그에 맞는 특권을 얻을 수 있지만, 불치병이나 보기 어려운 병, 또는 전염이 우려되는 질병의 경우에는 주변에서 혐오의 대상, 기피 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 됐을 때, 다수에게서 분리될 수도 있다.
Ⅲ 결론
서론과 본론을 통해 프라이드슨의 낙인론과 그것이 기초한 파슨스의 환자 역할, 그리고 그 유형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였고, 이후 비교까지 하였다. 낙인이라고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개인의 특성으로 인하여 집단에서 상대적인 판단으로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 우리가 느끼는 편견, 가치의 판단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낙인을 다양한 질병의 행위에서 바라보았고, 특정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행위를 분석하고, 그 차이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의 많은 변화와 다양성, 개인의 이해 부족 등이 한계로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간호학특론, 김영임 최윤경, 2019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
-만성질환과 간호, 박영임 김매자, 2001년, 정문각
-간호이론의 이, 이소우 김주현 외 3명, 2009년, 수문사
4. 사례를 비교 및 분석
여성은 A, 남성은 B라고 지칭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A는 처음에는 자신이 어떠한 상황에 놓여있는가에 대해서는 몰랐지만, 이후에 자신의 증상에 따라 스스로 치료하려고 노력은 하게 된다. 이것을 보면 초기에 환자 역할에 있어서 충실하지 못함을 알 수 있고, 그 이후 결국 급성천식 발작이 찾아온 것이다.
B의 경우에는 만성신부전증 환자였음에도 군것질을 하고 혈당에 신경을 쓰지 않는 등의 관리에 소홀했다. 그래도 그 이후에는 병원에 다니면서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의 위험성을 인지한 후에 병원에 방문한 것이다. 처음에는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으나, 이후에는 의사와 간호사의 말에 잘 따르고, 자신의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충고와 교육에 귀를 기울였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위해 힘쓴 것이다.
A는 일을 계속하면서 기침으로 인해 코로나 19가 아닌지 의심을 받기도 하였다. 게다가 마스크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아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코로나 19에 감염된 것도 아니고 기침이 자신의 의지가 아니었지만, 타인이 A를 보는 시선은 좋지 않았고, 의심을 통해 낙인을 찍었다는 점에서는 정당성이 없는 환자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B는 병원에 입원하고 퇴원하였지만, 여전히 출근 계획은 없다. 지금 중요한 것은 일보다 건강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B에게 있어서 질병은 일을 면제받는 환자의 특권이기에 조건부 환자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5. 모형이나 개념 적용에 따른 결론을 제시
이렇게 A와 B의 사례를 통해 낙인론, 환자 역할을 적용하면 \"질병\"이라는 것은 그 자체가 아니라 사회에서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따라 일을 면제받을 수 있는 특권이 생기기도 하고, 또는 그것이 아니기도 하다는 것이다. A와 비슷하게 어떤 의심으로 인해 낙인을 찍게 되는 상황을 만드는 경우, 집단이라는 다수로부터 분리되어 의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질병이라는 것은 보통 부정적인 것이고, 동정과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그에 맞는 특권을 얻을 수 있지만, 불치병이나 보기 어려운 병, 또는 전염이 우려되는 질병의 경우에는 주변에서 혐오의 대상, 기피 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 됐을 때, 다수에게서 분리될 수도 있다.
Ⅲ 결론
서론과 본론을 통해 프라이드슨의 낙인론과 그것이 기초한 파슨스의 환자 역할, 그리고 그 유형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였고, 이후 비교까지 하였다. 낙인이라고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개인의 특성으로 인하여 집단에서 상대적인 판단으로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 우리가 느끼는 편견, 가치의 판단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낙인을 다양한 질병의 행위에서 바라보았고, 특정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행위를 분석하고, 그 차이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의 많은 변화와 다양성, 개인의 이해 부족 등이 한계로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간호학특론, 김영임 최윤경, 2019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
-만성질환과 간호, 박영임 김매자, 2001년, 정문각
-간호이론의 이, 이소우 김주현 외 3명, 2009년, 수문사
추천자료
간호학특론A형 2020-프라이드슨의 낙인론-간호학특론A형 모형 또는 주요 개념에 대해 설명 급...
간호학특론A형] 1)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2) 급성 및 만성질환자 인터뷰 3) 사례 비교분석 4) ...
간호학특론A형 2020학년도 2학기)프라이드슨의 낙인론 간호학특론A형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
<간호학특론 A형>프라이드슨의 낙인론 모형 설명, 사례조사(급성 및 만성질환자) 및 비교분석...
<방통대>1)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모형에 대해 설명하고, 2)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
2020년 간호학특론A형]프라이드슨의 낙인론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각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인...
간호학특론A형 2020)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급성 및 만성질환자 간호학특론A형, 프라이드슨의 ...
간호학특론 )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2)
간호학특론 ) 프라이드슨의 낙인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