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COVID-19 시대의 경제위기
2)재래시장의 현황 및 대응
3)소매상으로서의 생존 전략
3.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2.본론
1)COVID-19 시대의 경제위기
2)재래시장의 현황 및 대응
3)소매상으로서의 생존 전략
3.결론
4.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장의 쇠퇴를 방어하기 위한 온라인 유통과의 차별화를 기초에 둔 상권기능의 재구조화이다. 온라인 유통의 취약점은 쇼핑 이외의 소비생활을 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재래시장에서 쇼핑 외의 영역을 강화함으로써 차별점을 갖는 것이 주요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친교활동이나 여가, 문화생활 등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여 구조를 재편하는 것이다. 재래시장이 지닌 전통성을 살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미국의 BID, 일본의 에어리어 매니지먼트와 같은 중소 유통부문과의 플레이스 마케팅을 통한 상생협력 형태의 타운매니지먼트를 도입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최근의 소매시장에서의 온라인 쇼핑은 대형 유통기관에 비해 초고속으로 성장을 하고 있으며 매출의 비중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각각의 장점을 통합한 새로운 신유통 구조로 진화가 시작되고 있다. 새벽배송과 같은 택배산업은 기존의 택배 시장을 크게 확장시킨 새로운 방식의 유통이다. 치열한 경쟁이 난무한 소매시장에서 신유통은 트렌드에 따른 새로운 전략과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시장 상인들 또한 고객 체험의 관점에서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결론
코로나19 시대, 재래시장의 생존 전략을 세움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가치사슬을 구성 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먼저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빠른 주문과 배송, 교환 서비스 등을 통해 재래시장만의 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이는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오프라인에 기반하고 있는 재래시장이 온라인으로 진출하는 경우 이러한 과정의 절차와 경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소비자들의 언택트 방식의 온라인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웹 서핑을 즐기거나 자신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방문하게 되는 경향이 높아질 것이다. 이에 따라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지는 데 이를 위하여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것이 경영의 성과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고 본다. 배송상황이나 구매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문과정을 더 편하게 할 수 있고, 콜센터를 비치해 두는 것 등의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갖추고 재래시장 상인들만이 내세울 수 있는 가치를 창출하고 소비자들과 공유하는 것이 소매상으로서 생존하기 위한 좋은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4.출처 및 참고문헌
-나현호, “전국 \'코로나 직격탄\' 전통시장을 살려라”, ytn, 2020.2.20.
-김진홍, “코로나19 사태와 전통시장의 미래”, 경북매일, 2020.03.01.
-문혜원, “전통시장 상인에 온라인 마케팅 전수…\"사장님은 돈만 버세요\"”, 아시아경제, 2020.03.05.
-곽성규, “언컨택트 시대의 전통시장 경영은?”, 사례뉴스, 2020.4.28.
-박지호, “[포스트 코로나]서울시, ‘손님 끊긴’ 전통시장 ‘온라인상점’ 구축 돕는다”, 전자신문, 2020.06.03.
-김태영·이유진·박원익, 「코로나19 경제위기, 끝은 보이고 있는가?」, 경기연구원, 2020.
-신기동·유민지, 「코로나19 시대, 언택트 소비와 골목상권의 생존 전략」, 경기연구원, 2020.
-추진기, 「신유통 트렌드 시대 브랜드 확장 아이덴티티(B.I) 전략 연구 -새벽배송 택배회사의 사용자 경험(UX)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이영찬, 「온라인 소매기업의 선점효과와 성장전략에 관한 동태적 분석」, 대한경영학회, 2005.
3.결론
코로나19 시대, 재래시장의 생존 전략을 세움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가치사슬을 구성 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먼저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빠른 주문과 배송, 교환 서비스 등을 통해 재래시장만의 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이는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오프라인에 기반하고 있는 재래시장이 온라인으로 진출하는 경우 이러한 과정의 절차와 경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소비자들의 언택트 방식의 온라인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웹 서핑을 즐기거나 자신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방문하게 되는 경향이 높아질 것이다. 이에 따라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지는 데 이를 위하여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것이 경영의 성과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고 본다. 배송상황이나 구매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문과정을 더 편하게 할 수 있고, 콜센터를 비치해 두는 것 등의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갖추고 재래시장 상인들만이 내세울 수 있는 가치를 창출하고 소비자들과 공유하는 것이 소매상으로서 생존하기 위한 좋은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4.출처 및 참고문헌
-나현호, “전국 \'코로나 직격탄\' 전통시장을 살려라”, ytn, 2020.2.20.
-김진홍, “코로나19 사태와 전통시장의 미래”, 경북매일, 2020.03.01.
-문혜원, “전통시장 상인에 온라인 마케팅 전수…\"사장님은 돈만 버세요\"”, 아시아경제, 2020.03.05.
-곽성규, “언컨택트 시대의 전통시장 경영은?”, 사례뉴스, 2020.4.28.
-박지호, “[포스트 코로나]서울시, ‘손님 끊긴’ 전통시장 ‘온라인상점’ 구축 돕는다”, 전자신문, 2020.06.03.
-김태영·이유진·박원익, 「코로나19 경제위기, 끝은 보이고 있는가?」, 경기연구원, 2020.
-신기동·유민지, 「코로나19 시대, 언택트 소비와 골목상권의 생존 전략」, 경기연구원, 2020.
-추진기, 「신유통 트렌드 시대 브랜드 확장 아이덴티티(B.I) 전략 연구 -새벽배송 택배회사의 사용자 경험(UX)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이영찬, 「온라인 소매기업의 선점효과와 성장전략에 관한 동태적 분석」, 대한경영학회, 2005.
추천자료
(유통과 패션) 국내 패션 유통 구조 현황 및 발전과제
빈폴과 헤지스 마케팅 전략
유통시스템의 분석과 성공전략
[글로벌전략][글로벌전략 사례][브랜드][스칸디아][금융 글로벌전략]글로벌전략 개념, 글로벌...
[소매업의 유형] 소매점포 믹스전략에 의한 점포 소매상의 분류
[글로벌경쟁, 글로벌경쟁력, 국가이미지, 금융]글로벌경쟁(글로벌경쟁력)과 국가이미지, 글로...
[구조화, 한국공군, 고부가가치산업, 조직]한국공군의 구조화, 고부가가치산업의 구조화, 기...
[기업전략][MSN][삼성물산][KFC]MSN(엠에스엔)의 기업전략, 삼성물산의 기업전략, KFC(케이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