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학습 이론들의 공통점 및 차이점
3. 학습 이론에 대한 필자의 평가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2. 학습 이론들의 공통점 및 차이점
3. 학습 이론에 대한 필자의 평가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확립할 수 있었던 좋은 원인이었다. 교육의 전문성을 더 키울 수 있는 발전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많은 성과를 거둔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도 이 이론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 이론 중 양육을 떠나 아동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아동 자체가 가지는 보편적인 특성을 인정하지 않은 채 개별성만을 존중하다 보니 교육에서 보편 점을 추구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교육 자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음 스키너의 조작적 형성 조건이란 그의 1, 2차적 동인으로 나누어 습관의 단계화라는 이론을 정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렇기에 학습의 증진을 위해서는 과정별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렇기에 교육에서 단계별 학습의 토대를 닦았다는 아주 큰 성과를 이루었음에 대해 알 수 있었다. 하나의 일례로서 대한민국의 발달 별 단계에 대해 알 수 있다. 자신의 진로를 찾아가는 프로그램 중 1, 2, 3학년에 걸쳐서 이들의 동인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직접 몸으로 체화한 진로 관심사를 살피고, 이후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등의 1, 2차적 동인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진로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렇지만 이의 단계별 학습 단계 중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만을 학습의 범주에 포함했다는 점에 있어서 한계성을 담고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반두라의 학습 이론의 경우 스키너의 이론에 대해 명확하게 반박하며 관찰을 통한 학습도 학습의 범주로 인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큰 성과를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많은 교육 분야에서도 역할극, 토론, 상황극 등을 활용해 이들의 학습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일종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반두라의 학습 이론에도 한계점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개인 간의 격차, 동기 등을 완전히 고려하지 않은 일반화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눈에 보이는 행동만을 관찰하고 고려했기에, 인간 행동 안의 내면이 미치는 행태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행태 주의 본연의 한계점을 담고 있다.
4. 결론
우리는 2, 3번을 통하여 학습 이론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학습은 인간의 모든 기초가 되고 그렇기에 많은 학자가 관심을 가진 소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앞서 언급한 총 4명의 학자는 4가지의 자신만의 이론을 펼치며 현재 많은 교육 분야에서도 적용이 되고 있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왓슨의 행동주의,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통하여 우리는 많은 학습상의 발전을 일으켜왔다. 파블로프는 학습 자체의 환경에 집중했으며, 왓슨, 스키너 또한 학습이 이들에게 자극이 되어 즐거움이 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경험에 집중했다. 마지막으로 반두라는 경험뿐만 아니라 아동이 하는 모든 관찰을 포함하여 이들의 학습 방향에 대해 접근하고자 노력했다.
이들의 학자들이 원하는 것은 단순한 학습이 아니었다. 기억하고, 경험하고, 즐기며, 배울 수 있는 학습의 순기능을 학생들과 아이들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했던 하나의 학자로 기억해야 할 것이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남미순. \"왓슨과 인간 돌봄이론.\" 汎韓哲學 78.3 (2015): 405-429.
김정효 ( Kim Jeonghyo ). \"조형 놀이의 교육적 가치 구현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탐색: 비고츠키(L. S.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상호작용과 반두라(A. Bandura)의 모델 관찰 학습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49.- (2017): 255-283.
다음 스키너의 조작적 형성 조건이란 그의 1, 2차적 동인으로 나누어 습관의 단계화라는 이론을 정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렇기에 학습의 증진을 위해서는 과정별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렇기에 교육에서 단계별 학습의 토대를 닦았다는 아주 큰 성과를 이루었음에 대해 알 수 있었다. 하나의 일례로서 대한민국의 발달 별 단계에 대해 알 수 있다. 자신의 진로를 찾아가는 프로그램 중 1, 2, 3학년에 걸쳐서 이들의 동인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직접 몸으로 체화한 진로 관심사를 살피고, 이후 진로에 대해 고민하는 등의 1, 2차적 동인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진로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렇지만 이의 단계별 학습 단계 중 자신이 직접 경험한 것만을 학습의 범주에 포함했다는 점에 있어서 한계성을 담고 있는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반두라의 학습 이론의 경우 스키너의 이론에 대해 명확하게 반박하며 관찰을 통한 학습도 학습의 범주로 인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큰 성과를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많은 교육 분야에서도 역할극, 토론, 상황극 등을 활용해 이들의 학습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마련할 수 있는 일종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반두라의 학습 이론에도 한계점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개인 간의 격차, 동기 등을 완전히 고려하지 않은 일반화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눈에 보이는 행동만을 관찰하고 고려했기에, 인간 행동 안의 내면이 미치는 행태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행태 주의 본연의 한계점을 담고 있다.
4. 결론
우리는 2, 3번을 통하여 학습 이론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학습은 인간의 모든 기초가 되고 그렇기에 많은 학자가 관심을 가진 소재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앞서 언급한 총 4명의 학자는 4가지의 자신만의 이론을 펼치며 현재 많은 교육 분야에서도 적용이 되고 있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 왓슨의 행동주의,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통하여 우리는 많은 학습상의 발전을 일으켜왔다. 파블로프는 학습 자체의 환경에 집중했으며, 왓슨, 스키너 또한 학습이 이들에게 자극이 되어 즐거움이 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경험에 집중했다. 마지막으로 반두라는 경험뿐만 아니라 아동이 하는 모든 관찰을 포함하여 이들의 학습 방향에 대해 접근하고자 노력했다.
이들의 학자들이 원하는 것은 단순한 학습이 아니었다. 기억하고, 경험하고, 즐기며, 배울 수 있는 학습의 순기능을 학생들과 아이들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했던 하나의 학자로 기억해야 할 것이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남미순. \"왓슨과 인간 돌봄이론.\" 汎韓哲學 78.3 (2015): 405-429.
김정효 ( Kim Jeonghyo ). \"조형 놀이의 교육적 가치 구현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탐색: 비고츠키(L. S.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상호작용과 반두라(A. Bandura)의 모델 관찰 학습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49.- (2017): 255-283.
추천자료
[행동주의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고전적 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고전적 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조작적 조...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왓슨의 행동주의 ...
행동주의-파블로프 스키너 반두라
2020년 2학기 인간발달 기말시험 과제물(학습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
인간발달 ) 학습이론들(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왓슨의 행동주의, 스키너의 조작적 ...
인간발달 ) 학습이론들(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왓슨의 행동주의, 스키너의 조작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