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 ) 에두아르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식사와 올랭피아에서 읽어낼 수 있는 모더니티의 자취에 대해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평 ) 에두아르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식사와 올랭피아에서 읽어낼 수 있는 모더니티의 자취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올랭피아(Olympia)>에 드러난 모더니티적 요소
2) <풀밭 위의 점심 식사(Le Déjeuner sur l'herbe)>에 드러난 모더니티적 요소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던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사상이 여실히 담겨있으며, 주제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에서 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우선 형식적인 측면을 먼저 살펴보면, <올랭피아>와 마찬가지로 원근법을 거의 활용하지 않고 명암을 무시한 부분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나체의 여성과 신사의 옷 질감에서 이것이 잘 나타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극사실주의적 원근법을 무시하고 평면성을 강조한 마네의 모더니티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묘사된 좌측 하단의 정물과 대조되어 인간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던 소재인 정물에 대한 상세 묘사로 기존의 주제를 파괴하고 작고 일상적인 것을 강조하는 주제적인 측면의 모더니티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주제적인 측면으로 보았을 때, 그림에서 가장 눈에 띄는 나체의 여성은 앞서 언급한 <올랭피아>에 그려진 여성과 마찬가지로 당시 기존 누드화에 담긴 틀을 깨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올랭피아>와 마찬가지로 <풀밭 위의 점심 식사> 역시 기존 거장의 작품을 차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마네는 이를 통해 전통 화가와 화풍을 비판하고자 하였다. <풀밭 위의 점심 식사>에 차용된 작품으로는 타치아노의 <전원의 합주, 1510>와 마르칸토니오 <파리스의 심판, 1520>가 있다.
3. 결론
에두아르 마네는 보들레르의 사상에 감화되어 그를 존경하였으며, 보들레르가 추구하였던 모더니티를 그의 그림 속에 담고자 하였다. 그러나 보들레르는 마네의 그림이 기존 거장들의 그림을 차용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그의 일생동안 마네를 현대 화가로 인정하지 않았다.1) 그러나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네의 그림은 누구보다도 보들레르가 추구하고자 하였던 모더니티를 잘 담고 있으며, 기존 거장의 그림을 차용한 점 역시 이러한 모더니티의 표출을 위한 수단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4. 참고문헌
1) ‘“현대적 삶의 화가”, 마네(E. Manet): 보들레르의 현대회화론을 중심으로’, 조희원 저, 「미학」, 77:141-172, 2014.
2) ‘앙트완느 콩파뇽의 [모더니티의 다섯가지 역설]’, 이수균 저, 「현대미술사연구」, 6(1):125-128, 1996.
3) ‘보들레르의 모더니티에 대한 연구-[현대생활의 화가]를 중심으로’, 양효실 저, 「미학」, 34:189-237, 2003.
4) ‘보들레르의 모더니티와 풍속화’. 양효실 저,「현대미술사연구」, 21(1):85-113, 2007.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0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5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