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ⅰ) 한국 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차별
ⅱ)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취업·임금·승진 등의 차별사례
Ⅱ. 본론
ⅰ) 차별이 발생하는 제도 또는 문화적 요인
ⅱ) 성차별 문제와 사회문제 간의 관계
Ⅲ. 결론
ⅰ) 거시적 관점에서의 노력
ⅱ) 미시적 관점에서의 노력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ⅰ) 한국 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차별
ⅱ)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취업·임금·승진 등의 차별사례
Ⅱ. 본론
ⅰ) 차별이 발생하는 제도 또는 문화적 요인
ⅱ) 성차별 문제와 사회문제 간의 관계
Ⅲ. 결론
ⅰ) 거시적 관점에서의 노력
ⅱ) 미시적 관점에서의 노력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이렇게 여성관리자 혹은 여성채용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써 양성평등에 가까워지고 성차별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 또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박귀천. 노동위원회의 고용상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방안
이미 한국 내에는 고용상 성차별금지와 관련해 “남녀고용평등법”이 존재한다. 이와 함께 양성평등에 관한 기본법을 밝히는“양성평등기본법” 또한 존재한다. 모집·채용, 임금, 교육·배치 및 승진, 정년퇴직과 해고 등에 대한 관련 법안이 있는데도 현재까지 성불평등사회가 지속되는 이유는 법안에 대한 이해 혹은 활용을 못하거나 기업 내 압박, 법안 활용 이후 보복 등 에 대한 두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양성평등 장려운동에 적극 나서고 양성평등이 당연시 될 때까지 사회분위기 조성에 힘쓰는 게 필요하다.
ⅱ) 미시적 관점에서의 노력
간호사와 같은 여성 종사자가 더 많은 직종이 있다. 물론 지원자가 여성이 더 많아 결과적으로 여성이 더 많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플러스 요인이 들어가는 것은 평등하지 않다. 개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깨우치려 노력하는 마인드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차별을 개선하려 해야 한다. 요즘엔 가사노동의 분담이 깨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은 역할분담이 존재한다. 성별에 따른 역할분담에서 자신들의 기준에 맞는 역할분담을 해야 하며, 이는 우리 이후 세대에게 자유로운 마인드를 가지게 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그리고 주변사람의 문제임을 직시해야한다.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고용상 성차별 익명신고센터가 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들어가 민원신청메뉴에서 고용상 성차별에서 신고 가능하며, 직장 내 성희롱 또한 이에 해당된다. 성차별적 언행을 무차별적으로 하거나 불합리한 통보를 받는다면 목소리를 내어 신고해야 한다.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 박귀천. 노동위원회의 고용상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9.05 , 8~9쪽 참고
- 2020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인사혁신처 간행물, 2020.09.17. , 7쪽 참고
- OECD Data ,Gender wage gap
- 2020 인구동향조사, 통계청
- 2020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20.09.28., 5쪽 참고
- 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2019.07.01., 32쪽 참고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위의 통계 자료 보고서, 3쪽 참고
이미 한국 내에는 고용상 성차별금지와 관련해 “남녀고용평등법”이 존재한다. 이와 함께 양성평등에 관한 기본법을 밝히는“양성평등기본법” 또한 존재한다. 모집·채용, 임금, 교육·배치 및 승진, 정년퇴직과 해고 등에 대한 관련 법안이 있는데도 현재까지 성불평등사회가 지속되는 이유는 법안에 대한 이해 혹은 활용을 못하거나 기업 내 압박, 법안 활용 이후 보복 등 에 대한 두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양성평등 장려운동에 적극 나서고 양성평등이 당연시 될 때까지 사회분위기 조성에 힘쓰는 게 필요하다.
ⅱ) 미시적 관점에서의 노력
간호사와 같은 여성 종사자가 더 많은 직종이 있다. 물론 지원자가 여성이 더 많아 결과적으로 여성이 더 많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플러스 요인이 들어가는 것은 평등하지 않다. 개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깨우치려 노력하는 마인드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차별을 개선하려 해야 한다. 요즘엔 가사노동의 분담이 깨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아직도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은 역할분담이 존재한다. 성별에 따른 역할분담에서 자신들의 기준에 맞는 역할분담을 해야 하며, 이는 우리 이후 세대에게 자유로운 마인드를 가지게 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그리고 주변사람의 문제임을 직시해야한다.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고용상 성차별 익명신고센터가 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들어가 민원신청메뉴에서 고용상 성차별에서 신고 가능하며, 직장 내 성희롱 또한 이에 해당된다. 성차별적 언행을 무차별적으로 하거나 불합리한 통보를 받는다면 목소리를 내어 신고해야 한다.
Ⅳ. 출처 및 참고 문헌
- 박귀천. 노동위원회의 고용상 성차별 시정제도 도입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9.05 , 8~9쪽 참고
- 2020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인사혁신처 간행물, 2020.09.17. , 7쪽 참고
- OECD Data ,Gender wage gap
- 2020 인구동향조사, 통계청
- 2020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20.09.28., 5쪽 참고
- 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2019.07.01., 32쪽 참고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위의 통계 자료 보고서, 3쪽 참고
추천자료
성사랑사회 기말 2020] 한국사회에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여러 차별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차...
[성사랑사회 4학년] 한국사회에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여러 차별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차별...
성사랑사회] 한국사회에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여러 차별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차별 중 노동...
성사랑사회 기말] 한국사회에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여러 차별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차별 중...
[성사랑사회 2020 기말] 한국사회에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여러 차별이 존재합니다. 노동시장...
[성사랑사회 2020 기말] 한국사회에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여러 차별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
사랑사회성 ) 한국사회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여러 차별이 존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