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행동 기술
B. 문제 행동을 예언하거나 일으키는 생태학적 사건을 상세히 기술한다.
C. 행동이 일어나기 쉽거나 일어나지 않는 시기를 예언할 수 있는 특정의 직접적인 선행사건을 밝힌다.
D. 문제행동을 지속시키는 결과를 밝힌다.
E.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효율성 정의 : 문제 행동의 효율성 고려하기, 효율성이란 신체적 노력의 요구 정도, 보상받기 전에 문제 행동의 수행 빈도, 보상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F. 아동이 수행할 줄 아는 기능적 대안 행동은 무엇인가?
G. 아동이 다른 사람과 의사를 소통하는 주요 방법은 무엇인가?
H. 이 아동과 함께 활동하고 지원할 때 해야 할 일과 피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I. 아동이 좋아하는 물건이나 강화인자는 무엇인가?
J.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그 행동 관리를 위해 적용했던 프로그램 및 효과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K. 주요 선행사건 및 결과에 대한 내용 요약
B. 문제 행동을 예언하거나 일으키는 생태학적 사건을 상세히 기술한다.
C. 행동이 일어나기 쉽거나 일어나지 않는 시기를 예언할 수 있는 특정의 직접적인 선행사건을 밝힌다.
D. 문제행동을 지속시키는 결과를 밝힌다.
E.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효율성 정의 : 문제 행동의 효율성 고려하기, 효율성이란 신체적 노력의 요구 정도, 보상받기 전에 문제 행동의 수행 빈도, 보상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F. 아동이 수행할 줄 아는 기능적 대안 행동은 무엇인가?
G. 아동이 다른 사람과 의사를 소통하는 주요 방법은 무엇인가?
H. 이 아동과 함께 활동하고 지원할 때 해야 할 일과 피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I. 아동이 좋아하는 물건이나 강화인자는 무엇인가?
J.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그 행동 관리를 위해 적용했던 프로그램 및 효과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K. 주요 선행사건 및 결과에 대한 내용 요약
본문내용
고 지원할 때 해야 할 일과 피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학습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아동에게 관심을 집중하고, 의자에 앉는 행위를 피하여 바닥에 앉아서 학습활동을 진행하는 등의 시도를 해볼 수 있음
학습활동 시간에 피해야 할 사항들은 무엇인가?
무관심한 태도, 의자에 강제로 앉혀두려는 행동
I. 아동이 좋아하는 물건이나 강화인자는 무엇인가?
음식물 : 사탕, 초콜릿, 비타민제 등의 달콤한 간식, 홈런볼을 가장 좋아함.
장난감/물건 : 공룡 변신 로봇, 스마트폰(동영상 프로그램)
가정에서의 활동 : TV 및 동영상 프로그램 시청
지역사회에서의 활동 : 공원과 운동장 등 넓은 공터, 목욕탕
기타: 자동차, 지하철, 버스등의 대중교통 이용 활동
J.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그 행동 관리를 위해 적용했던 프로그램 및 효과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행동
행동지속시간
프로그램
효과
a. 소리 지르기
1년 이상
관심 집중/ 꾸중
없음
b. 혼잣말 흥얼대기
없음
없음
없음
c. 몸 흔들기
1년 이상
관심 집중/ 꾸중
없음
d. 손 뜯기
6개월 이상
중지 할 수 있는 도움 활동
상당히 감소
K. 주요 선행사건 및 결과에 대한 내용 요약
주요 선행사건 및 결과 / **면담 정보를 한 두 문장으로 종합 요약함.
E/환경
A/선행사건
→
B/행동
→
C/후속결과
간접적인 상황적 사건
(간접적인 상황)
직접적인 상황적 사건
(직접적인 사건)
→
문제행동
→
문제행동을 지속시키는 결과
관심 받지 못함
교육 활동이 진행됨
→
손 뜯기
→
관심을 받기 위해서
교욱, 식사 활동 진행
의자에 앉음
→
몸 흔들기
→
불편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교육, 식사 활동 끝
의자에서 일어남
→
혼잣말 흥얼대기
→
특정 상황에서 벗어난 안도감
교육, 식사 활동 진행
의자에 앉음
→
소리 지르기
→
불편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2. 최종 요약문
대상 아동은 수업 시간이나 식사 시간과 같은 시간에서 의자에 앉는 활동을 진행해야 할 때, 의자에 앉는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을 흔들고 소리를 지르는 행위를 하는 것을 보였다. 그와 함께 교육 활동이 진행될 때 관심받지 못한다면 손을 물어뜯으며 관심을 바라는 행동을 보인다. 수업과 식사 시간이 끝나고 난 뒤 의자에서 벗어 날 때, 대상은 혼잣말을 흥얼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혼잣말을 흥얼거리는 활동은 그날 수업과 식사 시간이 길었던 만큼 더욱 자주 보였다.
학습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아동에게 관심을 집중하고, 의자에 앉는 행위를 피하여 바닥에 앉아서 학습활동을 진행하는 등의 시도를 해볼 수 있음
학습활동 시간에 피해야 할 사항들은 무엇인가?
무관심한 태도, 의자에 강제로 앉혀두려는 행동
I. 아동이 좋아하는 물건이나 강화인자는 무엇인가?
음식물 : 사탕, 초콜릿, 비타민제 등의 달콤한 간식, 홈런볼을 가장 좋아함.
장난감/물건 : 공룡 변신 로봇, 스마트폰(동영상 프로그램)
가정에서의 활동 : TV 및 동영상 프로그램 시청
지역사회에서의 활동 : 공원과 운동장 등 넓은 공터, 목욕탕
기타: 자동차, 지하철, 버스등의 대중교통 이용 활동
J.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그 행동 관리를 위해 적용했던 프로그램 및 효과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행동
행동지속시간
프로그램
효과
a. 소리 지르기
1년 이상
관심 집중/ 꾸중
없음
b. 혼잣말 흥얼대기
없음
없음
없음
c. 몸 흔들기
1년 이상
관심 집중/ 꾸중
없음
d. 손 뜯기
6개월 이상
중지 할 수 있는 도움 활동
상당히 감소
K. 주요 선행사건 및 결과에 대한 내용 요약
주요 선행사건 및 결과 / **면담 정보를 한 두 문장으로 종합 요약함.
E/환경
A/선행사건
→
B/행동
→
C/후속결과
간접적인 상황적 사건
(간접적인 상황)
직접적인 상황적 사건
(직접적인 사건)
→
문제행동
→
문제행동을 지속시키는 결과
관심 받지 못함
교육 활동이 진행됨
→
손 뜯기
→
관심을 받기 위해서
교욱, 식사 활동 진행
의자에 앉음
→
몸 흔들기
→
불편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교육, 식사 활동 끝
의자에서 일어남
→
혼잣말 흥얼대기
→
특정 상황에서 벗어난 안도감
교육, 식사 활동 진행
의자에 앉음
→
소리 지르기
→
불편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2. 최종 요약문
대상 아동은 수업 시간이나 식사 시간과 같은 시간에서 의자에 앉는 활동을 진행해야 할 때, 의자에 앉는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을 흔들고 소리를 지르는 행위를 하는 것을 보였다. 그와 함께 교육 활동이 진행될 때 관심받지 못한다면 손을 물어뜯으며 관심을 바라는 행동을 보인다. 수업과 식사 시간이 끝나고 난 뒤 의자에서 벗어 날 때, 대상은 혼잣말을 흥얼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혼잣말을 흥얼거리는 활동은 그날 수업과 식사 시간이 길었던 만큼 더욱 자주 보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