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몽주와 정도전의 사상
2. 참고문헌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그의 근본 사상은 유학 중에서도 특히 주자학이다. 그리고 그는 유교의 민본사상에 집중하였다. 백성은 군주의 하늘이며 군주의 모든 권력이 백성에서부터 나온다는 것을 수용한 것이다. 정도전이 정치를 하는 데에 있어서 혈통보다는 능력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는데 이 또한 모두 그의 사상을 기반으로 한 부분이었다. 그리고 그가 수차례 왕을 바꾼 것도 그의 사상 안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왕의 능력을 중시하지 않고 재상의 능력을 중시한 것이다.
정몽주와 정도전을 사상을 살펴보면 사상에서 중심되는 부분과 펼쳐나가는 방식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으로 주장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백성이다. 그 둘은 개혁과 보수와 같은 입장에서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백성을 위한 정치를 주장하고 있다. 그렇기에 정몽주와 정도전 모두 후세까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그들은 백성을 위한 정치를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이론에만 집중하지 않았다. 이론을 어떻게 구체화할 수 있는지 그 둘은 모두 몰두하였다. 당시 많은 사상가는 이론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곤 했다. 이론적인 공부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그것에만 집중하는 것은 백성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백성에게 의미가 될 수 있는 것은 그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현되는 개혁이나 정책들일 것이다. 그리고 정몽주와 정도전은 이를 알고 실천한 사람들이다.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나라를 아예 새로 세워야 한다는 주장도 나라를 아예 새로 세우지 말고 전통 속에서 개혁을 주장해야 한다는 주장도 백성을 위한 것이었다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 와서는 유용성과 쓸모 그리고 자본만이 중요한 것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이에 사상이나 이념과 같은 것들은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여겨지곤 하는데, 이는 옳지 못한 태도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살아가는 삶 속의 기저에는 형이상학적인 토대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인식하고 사는 사람과 인식하지 못하고 사는 사람에는 분명 차이가 보일 것이다. 정도전과 정몽주처럼 자신의 사상에 따라 삶을 마감할 정도로 사상에 충실히 살지는 못할지언정 우리가 어떤 사상에 따라 살고 있으며 그 사상이 어떻게 내 삶으로 실천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게 된다면 더욱 넓은 시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2. 참고문헌
장용준, 『한국사 맞수열전』, 북멘토, 2014
윤재운,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청아출판사, 2020
정몽주와 정도전을 사상을 살펴보면 사상에서 중심되는 부분과 펼쳐나가는 방식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으로 주장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백성이다. 그 둘은 개혁과 보수와 같은 입장에서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백성을 위한 정치를 주장하고 있다. 그렇기에 정몽주와 정도전 모두 후세까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그들은 백성을 위한 정치를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이론에만 집중하지 않았다. 이론을 어떻게 구체화할 수 있는지 그 둘은 모두 몰두하였다. 당시 많은 사상가는 이론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곤 했다. 이론적인 공부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그것에만 집중하는 것은 백성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백성에게 의미가 될 수 있는 것은 그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현되는 개혁이나 정책들일 것이다. 그리고 정몽주와 정도전은 이를 알고 실천한 사람들이다.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나라를 아예 새로 세워야 한다는 주장도 나라를 아예 새로 세우지 말고 전통 속에서 개혁을 주장해야 한다는 주장도 백성을 위한 것이었다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 와서는 유용성과 쓸모 그리고 자본만이 중요한 것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이에 사상이나 이념과 같은 것들은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여겨지곤 하는데, 이는 옳지 못한 태도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살아가는 삶 속의 기저에는 형이상학적인 토대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인식하고 사는 사람과 인식하지 못하고 사는 사람에는 분명 차이가 보일 것이다. 정도전과 정몽주처럼 자신의 사상에 따라 삶을 마감할 정도로 사상에 충실히 살지는 못할지언정 우리가 어떤 사상에 따라 살고 있으며 그 사상이 어떻게 내 삶으로 실천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게 된다면 더욱 넓은 시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2. 참고문헌
장용준, 『한국사 맞수열전』, 북멘토, 2014
윤재운,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청아출판사, 20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