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3) 치료
(4) 증상
(5) 경과/합병증
(6) 수술절차
(2) 원인
(3) 치료
(4) 증상
(5) 경과/합병증
(6) 수술절차
본문내용
일간 둔다. 이후 거즈나 Merocel로 패킹하고 24~72시간 뒤 제거한다. 이러한 비강패킹은 비중격만곡의 재발이나 주위 점막과의 유착을 막아주며 수술 후 비강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중앙선 상에 옮겨놓은 비중격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through and through quilting suture를 실시하는데 이는 혈종을 예방할 수도 있어 좋다.
3) 하비갑개 성형술 (MAIT)
(1) 하비갑개골의 외향골절
하비갑개골의 외향골절을 통해 비폐색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간단한 술기의 보존적인 방법이다. 국소 마취 하에서 프리어(freer) 거상기, 치즐핸들(chisel handle) 등의 납작하고 무딘(blunt) 기구를 이용하여 먼저 하비갑개를 내측으로 골절시킨 후, 다시 골절된 하비갑개를 비강 외측벽을 향해 밀어서 비중격과 하비갑개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시술이다.
(2) 하비갑개절제술
하비갑개 절제 정도에 따라 부분 또는 전 절제술로 나눌 수 있으며, 과도한 하비갑개의 절제는 수술 후 위축성 비염 또는 빈 코 증후군(empty nose syndrome)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근래에는 하비갑개의 앞쪽 1/3 또는 1/2만을 절제하는 부분절제술만 시행된다.
(3) 하비갑개성형술
하비갑개의 내측 점막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하비갑개를 내측 편위시킨 후에 L자형의 절개를 하비갑개의 전단과 하부에 가하고 프리어(Freer) 거상기 등을 이용하여 하비갑개 내측 점막을 골부로부터 박리하여 비중격 쪽으로 들어올린 후, 비갑개가위(turbinate scissors)를 이용하여 골부와 외측 점막을 절제한다. 이후 남은 내측 점막을 외측으로 말아서 절제된 하비갑개 외측을 덮어주는 술식이다. 수술 후 가피형성이 적고 내측 점막이 보존되어 생리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비교적 술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4) 하비갑개점막하절제술
하비갑개 절제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점막절개를 통하여 하비갑개의 골부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출혈도 적은 장점이 있으나 점막의 비후가 심한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
(5) 무선주파하비갑개절제술
섭씨 75~85도 정도의 발열을 일으키는 무선주파수(radiofrequency)를 이용하여 조직의 반흔 구축과 섬유화를 일으키는 방법이다. 술기가 간단하고 점막을 보존하여 섬모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으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6) 흡입절삭기를 이용한 하비갑개수술
부비동 수술 시에 주로 사용되는 기구인 흡입절삭기(microdebrider)를 이용하여 하비갑개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으로 비갑개성형술과 유사하게 하비갑개의 외측점막을 제거하는 방법과 하비갑개 점막하절제술과 유사하게 점막에 절개를 가한 후 점막하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정상 점막을 보호하는 데 있어 기존의 치료법보다 장점이 많으며, 빠르고 효율적이어서 많은 의사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소요시간 :20~30분 정도 소요
시술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0~30분 정도 소요된다.
한 범위 내에서 수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하비갑개 성형술 (MAIT)
(1) 하비갑개골의 외향골절
하비갑개골의 외향골절을 통해 비폐색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간단한 술기의 보존적인 방법이다. 국소 마취 하에서 프리어(freer) 거상기, 치즐핸들(chisel handle) 등의 납작하고 무딘(blunt) 기구를 이용하여 먼저 하비갑개를 내측으로 골절시킨 후, 다시 골절된 하비갑개를 비강 외측벽을 향해 밀어서 비중격과 하비갑개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는 시술이다.
(2) 하비갑개절제술
하비갑개 절제 정도에 따라 부분 또는 전 절제술로 나눌 수 있으며, 과도한 하비갑개의 절제는 수술 후 위축성 비염 또는 빈 코 증후군(empty nose syndrome)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근래에는 하비갑개의 앞쪽 1/3 또는 1/2만을 절제하는 부분절제술만 시행된다.
(3) 하비갑개성형술
하비갑개의 내측 점막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하비갑개를 내측 편위시킨 후에 L자형의 절개를 하비갑개의 전단과 하부에 가하고 프리어(Freer) 거상기 등을 이용하여 하비갑개 내측 점막을 골부로부터 박리하여 비중격 쪽으로 들어올린 후, 비갑개가위(turbinate scissors)를 이용하여 골부와 외측 점막을 절제한다. 이후 남은 내측 점막을 외측으로 말아서 절제된 하비갑개 외측을 덮어주는 술식이다. 수술 후 가피형성이 적고 내측 점막이 보존되어 생리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비교적 술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4) 하비갑개점막하절제술
하비갑개 절제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점막절개를 통하여 하비갑개의 골부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출혈도 적은 장점이 있으나 점막의 비후가 심한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
(5) 무선주파하비갑개절제술
섭씨 75~85도 정도의 발열을 일으키는 무선주파수(radiofrequency)를 이용하여 조직의 반흔 구축과 섬유화를 일으키는 방법이다. 술기가 간단하고 점막을 보존하여 섬모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으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6) 흡입절삭기를 이용한 하비갑개수술
부비동 수술 시에 주로 사용되는 기구인 흡입절삭기(microdebrider)를 이용하여 하비갑개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으로 비갑개성형술과 유사하게 하비갑개의 외측점막을 제거하는 방법과 하비갑개 점막하절제술과 유사하게 점막에 절개를 가한 후 점막하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정상 점막을 보호하는 데 있어 기존의 치료법보다 장점이 많으며, 빠르고 효율적이어서 많은 의사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소요시간 :20~30분 정도 소요
시술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0~30분 정도 소요된다.
한 범위 내에서 수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비강배관(nasal cannula)에 의한 산소투여법
대장용종
성대 용종
〔A+〕<수술간호>ESS (Endoscopic Sinus Surgery)
비중격만곡증, 만성 비후성 비염 케이스 스터디
비중격만곡증(Nasal septal deviation)과 수술적 치료
부비동염(Sinusitis)과 부비동내시경수술(ESS)
[임상 간호 세미나] 구강 및 비강 흡인 (oral and nasal suction) & 유치도뇨 (foley cat...
[수술실 실습] septoplasty(비중격 성형술) 케이스
이비인후과(ENT) 수술 및 간호 & 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