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무엇을 재현했는가
(2) 이야기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결합시켰는가
(3)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는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무엇을 재현했는가
(2) 이야기의 구성요소를 어떻게 결합시켰는가
(3)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는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김유정의 『동백꽃』에서 서술자는 소작인의 아들인 ‘나’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때 ‘나’는 소설의 중심인물로, 중심사건과 관련된 주인공의 내면세계가 독자에게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시점이 바로 1인칭 주인공 시점이다.
한편 서술자 ‘나’가 작품 속에서 주변 인물이라면, 이를 두고 1인칭 관찰자 시점이라고 한다. 1인칭 관찰자 시점의 소설은 주인공의 내면을 드러내지 않는 것을 통해 긴장감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독자가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더욱 많이 남긴다. 예를 들어, 주요섭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경우, 어린 옥희의 시선에서 옥희 어머니와 사랑방 손님의 이야기를 그린다. 옥희는 주인공은 아니지만, 작품 속에서 사건을 관찰, 독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런 경우 1인칭 관찰자 시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서술자가 작품 내에 존재하는 인물이 아니라면 3인칭 시점에 해당한다. 3인칭 시점은 전지적 작가 시점과 작가 관찰자 시점으로 나뉜다. 전지적 작가 시점의 경우, 서술자인 작가가 마치 신과 같이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들여다본다. 이를 통해 독자는 등장인물의 내면을 비롯한 사건을 둘러싼 자초지종이나 인물의 속내 등을 모두 알 수 있다. 다만 이로 인해 독자의 상상력이 제한된다. 한편 작가 관찰자 시점은 작품 밖에 존재하는 작가가 객관적인 태도로 작품의 내용을 서술한다. 이 경우 독자의 상상력이 촉발된다. 예를 들어, 황순원의 『소나기』에서 우리는 소년과 소녀 두 사람에게 벌어진 사건의 외면만을 전달받는다. 소설의 서술자는 그들의 내면세계에 대해 알지 못하며, 이로 인해 독자는 등장인물의 속내에 대해 추측하며 글을 읽게 된다. 이런 경우가 바로 작가 관찰자 시점에 해당한다.
결론
소설을 이해함에 있어서 작품의 내적인 요소들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작가가 무엇을 전달하려고 하였든지, 작품의 요소를 통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설을 분석할 때에는 소설의 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인물, 사건, 배경 등의 요소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소설텍스트의 구조를 중심으로 소설을 이해하고자 할 때, 확인해야 할 질문 세 가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질문이 묻는 소설의 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요소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용어와 그 용어의 정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각 용어를 활용한 분석이 실제 작품에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용어 정의 후 이것이 나타나는 소설 작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소설을 이해할 때, 무엇이 재현되었는지, 이야기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결합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작품 내적요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출처 및 참고문헌
-강영준.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서울: 북멘토, 2013.
-국어국문학편찬위원회. 國語國文學 資料 辭典.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8.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OPMS, 2015.
한편 서술자 ‘나’가 작품 속에서 주변 인물이라면, 이를 두고 1인칭 관찰자 시점이라고 한다. 1인칭 관찰자 시점의 소설은 주인공의 내면을 드러내지 않는 것을 통해 긴장감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독자가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더욱 많이 남긴다. 예를 들어, 주요섭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경우, 어린 옥희의 시선에서 옥희 어머니와 사랑방 손님의 이야기를 그린다. 옥희는 주인공은 아니지만, 작품 속에서 사건을 관찰, 독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런 경우 1인칭 관찰자 시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서술자가 작품 내에 존재하는 인물이 아니라면 3인칭 시점에 해당한다. 3인칭 시점은 전지적 작가 시점과 작가 관찰자 시점으로 나뉜다. 전지적 작가 시점의 경우, 서술자인 작가가 마치 신과 같이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들여다본다. 이를 통해 독자는 등장인물의 내면을 비롯한 사건을 둘러싼 자초지종이나 인물의 속내 등을 모두 알 수 있다. 다만 이로 인해 독자의 상상력이 제한된다. 한편 작가 관찰자 시점은 작품 밖에 존재하는 작가가 객관적인 태도로 작품의 내용을 서술한다. 이 경우 독자의 상상력이 촉발된다. 예를 들어, 황순원의 『소나기』에서 우리는 소년과 소녀 두 사람에게 벌어진 사건의 외면만을 전달받는다. 소설의 서술자는 그들의 내면세계에 대해 알지 못하며, 이로 인해 독자는 등장인물의 속내에 대해 추측하며 글을 읽게 된다. 이런 경우가 바로 작가 관찰자 시점에 해당한다.
결론
소설을 이해함에 있어서 작품의 내적인 요소들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작가가 무엇을 전달하려고 하였든지, 작품의 요소를 통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설을 분석할 때에는 소설의 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인물, 사건, 배경 등의 요소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소설텍스트의 구조를 중심으로 소설을 이해하고자 할 때, 확인해야 할 질문 세 가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질문이 묻는 소설의 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요소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용어와 그 용어의 정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각 용어를 활용한 분석이 실제 작품에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용어 정의 후 이것이 나타나는 소설 작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소설을 이해할 때, 무엇이 재현되었는지, 이야기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결합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작품 내적요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출처 및 참고문헌
-강영준. 국어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문학질문사전. 서울: 북멘토, 2013.
-국어국문학편찬위원회. 國語國文學 資料 辭典.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8.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OPMS, 2015.
추천자료
바흐친의 대화이론
김동인의 <태형>에 대한 작품 분석과 지도 방안
흥부전 내용 분석
[최서해문학, 최서해] 최서해 문학 연구 및 분석
[1930년대 소설][소설][소설론][농민소설][모더니즘소설][1930년대]1930년대 소설의 특징, 19...
[고전소설강독 공통] 세태소설론(임화)과 탈식민주의 론을 통해서 고전 「이춘풍전」과 박태원...
2020년 2학기 현대소설론 기말시험 과제물(소설 분석의 대상과 방법)
현대소설 ) 소설 분석의 대상과 방법 - 소설텍스트의 구조를 중심으로 볼 때, 작품분석은 크...
현대소설론 ) 소설텍스트의 구조를 중심으로 볼 때, 작품분석은 크게 다음처럼 나누어 생각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