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부키의 성립.
1) 가부키와 노의 차이점.
2. 가부키의 연극성.
1) 권력 쟁탈 소동.
2) 의리와 인정의 일본적 갈등.
3. 연기, 연출.
1) 연기의 양식.
2) 음악성.
3) 각본.
4. 분장과 무대미술.
5. 연출과 형(型).
6. 무대.
7. 무용.
‣참고문헌.
1) 가부키와 노의 차이점.
2. 가부키의 연극성.
1) 권력 쟁탈 소동.
2) 의리와 인정의 일본적 갈등.
3. 연기, 연출.
1) 연기의 양식.
2) 음악성.
3) 각본.
4. 분장과 무대미술.
5. 연출과 형(型).
6. 무대.
7. 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생긴 연출이나 맹목적으로 전승되어 온 예도 없지 않다.
6. 무대.
가부키 무대의 특징은 하나미치와 회전무대가 있다는 점이다. 회전 무대는 작자 나미키 쇼조가 발명하였는데, 그가 회전무대를 만든 의도는 동(同)시간에 다른 장소에서 벌어진 사건을 표현하고 무대의 양쪽을 돌리며 사건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오늘날은 장치를 설치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하나미치는 종종 노무대에 있는 하시가카리와 비교되고 있다. 그러나 발상은 같다고 해도 구체적으로 보면 다른 점이 많이 있다. 하시가카리는 신이 현시하는 길로써 유명계와 노무대를 연결하는 통로이지만 하나미치는 관객이 배우와 교류하는 길이다. 발생은 관객이 배우에게 선물을 쥐어주는 통로에서 발달한 것이다. 연출에 있어서 하나미치는 우선 도로나 수로 또는 복도의 표현으로서 보통 사용되는데 또 다른 무대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메이보쿠센다이하기”에서 오토코노스케가 쥐를 밟고 나서 “놓쳐버렸나”하고 무대 위에서 부르짖고 쥐가 하나미치에서 사라지면 그 대신에 그 자리에서 니키가 등장한다. 여기서는 오토코노스케의 눈에는 니키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나 관객의 눈에는 보이는 것이다. 또한 무대가 육지이고 하나미치가 바다나 강이 되는 경우도 있다.
7. 무용.
가부키 무용의 대표작은 “무스메도조지”이다. 이 작품은 노(能)에서 상연되는 작품을 받아들여 가부키화시킨 것이다. 사랑을 맹세한 여행승에게 버림받은 기요히메가 분노한 나머지 뱀으로 변신하여 남자의 뒤를 쫓아 도조지에 도달한다. 여인이 들어갈 수 없는 절로 도망하여 종 속에 숨어 있는 남성을 종과 함께 화염으로 태워 버렸다는 내용이 도조지 설화의 골자이다. 여성의 순수한 정열과 격렬한 열정이라는 테마의 보편성으로 일본인들에게 애호되어 많은 문학작품을 만들어 내었다. 노(能)는 이 설화의 후일담으로서 가부키도 이 후일담을 쫓는다. 그곳에 무희 차림의 여성이 등장한다. 여인이 들어올 수 없는 곳이나 절을 지키는 승려와 선문답을 하고 춤을 추고는 들어올 수 있었다. 무희는 춤을 추면서 기회를 잡아 순간적으로 종 안으로 들어간다. 승려들의 기도로 종이 들어 올려지자 무희는 뱀으로 변하여 모습을 나타내지만 결국 승려에 의해 굴복 당한다는 내용이다. 내용이 극적이라기보다도 무용 본위로 짜여져 있다.
가부키에서는 무용을 마이, 오도리, 후리의 3요소로 나누고 있다. 마이는 ‘돌다’라는 말에서 나왔다고 한다. 빙글빙글 조용히 도는 것이 기본이며, 오도리는 약동하는 모습을 의미하고, 후리는 몸동작(gesture)을 나타낸다. 이 3요소가 복잡하게 조합되어 일본무용을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서연호, 「동서 공연예술의 비교연구」, 『서울: 연극과 인간』. 2008.
신상미, 「몸짓과 문화: 춤 이야기」, 『대한미디어』, 2007.
제니아 자리나, 김인숙. 「동양의 전통무용」 , 『현대미학사』, 1997.
박전열 외. 「일본의 문화와 예술」 , 『한누리 미디어』, 2000.
이상경, 「노가부키의 미학」, 『서울: 태학사』, 2003.
6. 무대.
가부키 무대의 특징은 하나미치와 회전무대가 있다는 점이다. 회전 무대는 작자 나미키 쇼조가 발명하였는데, 그가 회전무대를 만든 의도는 동(同)시간에 다른 장소에서 벌어진 사건을 표현하고 무대의 양쪽을 돌리며 사건을 동시에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오늘날은 장치를 설치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하나미치는 종종 노무대에 있는 하시가카리와 비교되고 있다. 그러나 발상은 같다고 해도 구체적으로 보면 다른 점이 많이 있다. 하시가카리는 신이 현시하는 길로써 유명계와 노무대를 연결하는 통로이지만 하나미치는 관객이 배우와 교류하는 길이다. 발생은 관객이 배우에게 선물을 쥐어주는 통로에서 발달한 것이다. 연출에 있어서 하나미치는 우선 도로나 수로 또는 복도의 표현으로서 보통 사용되는데 또 다른 무대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메이보쿠센다이하기”에서 오토코노스케가 쥐를 밟고 나서 “놓쳐버렸나”하고 무대 위에서 부르짖고 쥐가 하나미치에서 사라지면 그 대신에 그 자리에서 니키가 등장한다. 여기서는 오토코노스케의 눈에는 니키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나 관객의 눈에는 보이는 것이다. 또한 무대가 육지이고 하나미치가 바다나 강이 되는 경우도 있다.
7. 무용.
가부키 무용의 대표작은 “무스메도조지”이다. 이 작품은 노(能)에서 상연되는 작품을 받아들여 가부키화시킨 것이다. 사랑을 맹세한 여행승에게 버림받은 기요히메가 분노한 나머지 뱀으로 변신하여 남자의 뒤를 쫓아 도조지에 도달한다. 여인이 들어갈 수 없는 절로 도망하여 종 속에 숨어 있는 남성을 종과 함께 화염으로 태워 버렸다는 내용이 도조지 설화의 골자이다. 여성의 순수한 정열과 격렬한 열정이라는 테마의 보편성으로 일본인들에게 애호되어 많은 문학작품을 만들어 내었다. 노(能)는 이 설화의 후일담으로서 가부키도 이 후일담을 쫓는다. 그곳에 무희 차림의 여성이 등장한다. 여인이 들어올 수 없는 곳이나 절을 지키는 승려와 선문답을 하고 춤을 추고는 들어올 수 있었다. 무희는 춤을 추면서 기회를 잡아 순간적으로 종 안으로 들어간다. 승려들의 기도로 종이 들어 올려지자 무희는 뱀으로 변하여 모습을 나타내지만 결국 승려에 의해 굴복 당한다는 내용이다. 내용이 극적이라기보다도 무용 본위로 짜여져 있다.
가부키에서는 무용을 마이, 오도리, 후리의 3요소로 나누고 있다. 마이는 ‘돌다’라는 말에서 나왔다고 한다. 빙글빙글 조용히 도는 것이 기본이며, 오도리는 약동하는 모습을 의미하고, 후리는 몸동작(gesture)을 나타낸다. 이 3요소가 복잡하게 조합되어 일본무용을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서연호, 「동서 공연예술의 비교연구」, 『서울: 연극과 인간』. 2008.
신상미, 「몸짓과 문화: 춤 이야기」, 『대한미디어』, 2007.
제니아 자리나, 김인숙. 「동양의 전통무용」 , 『현대미학사』, 1997.
박전열 외. 「일본의 문화와 예술」 , 『한누리 미디어』, 2000.
이상경, 「노가부키의 미학」, 『서울: 태학사』, 2003.
추천자료
서민의 희로애락을 승화시키는 연극 가부키
(일본학과 4학년/일본문학의흐름)일본예능의 역사에 대한 고찰( 노, 가부키, 조루리를 중심)
[일본 예능][일본 노][일본 가부키][일본 스모]일본의 예능, 일본의 노(노의 역사, 발전, 노...
[가부키]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정의와 특색, 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목적, 일본전통...
일본의 인형극 가부키(歌舞伎)
일본예능의 역사를 노, 가부키, 조루리를 중심으로 서술(일본문학의 흐름)
(일본문학의 흐름)일본예능의 역사를 노, 가부키, 조루리를 중심으로 서술하시오.
연극 미학(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및 노와 가부키)
일본의 연극 [가부키 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