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자본의 의미와 가치
(2) 사회자본형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
(3) 사회자본형성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자본의 의미와 가치
(2) 사회자본형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
(3) 사회자본형성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 사회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이러한 재능기부는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가능하다. 부자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서 돈을 나누어주는 것 또한 일종의 ‘재능기부’라고도 볼 수 있다. 부자에게는 타고난 재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재산’인데 이를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그 재능을 나누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능기부는 사회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분쟁’, ‘질시’, ‘이기주의’와 같은 부정적인 키워드들을 제거해나가는 데에 도움을 준다.
또 다른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는 현상이 요즘 유행하는 ‘중고거래’이다. 중고거래는 남이 쓰던 물건을 사는 만큼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행위이다. 그리고 이 중고거래는 사회적으로 보면 쓰레기와 함부로 낭비되는 재화들을 줄이는 데에도 이바지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볼 때에도 요즘 트렌드인 ‘녹색성장’에 어울리는 행위이다. 이러한 중고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이것을 경험한 사람은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사회에서 남을 향한 ‘신뢰감’을 얻게된다. 또 이러한 신뢰감을 바탕으로 자신 또한 좋은 중고 물품을 팔면서 남에게 신뢰를 형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가 신뢰를 형성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결국 사회자본을 형성하기 위해 ‘시민사회’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사회를 이루는 시민들 개개인이 서로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다. 이 신뢰 또한 사회자본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지만, 나는 신뢰가 바로 사회자본의 밑바탕이 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이것을 통해 시민사회는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이를 사회가 발전하는 데에 사용함으로써 시민들 스스로가 더 이익을 볼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Ⅲ. 결론
사회자본은 사회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 시민사회는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정부는 이를 이용하면서 다시 시민사회에게 이익을 가져다준다. 이러한 과정은 현대사회에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지방 영주나 왕과 같은 절대적인 권력을 지닌 한 사람이 모든 것을 결정하고 그 결정이 한 국가의 흥망성쇠를 확정 지었다면, 현대사회는 그러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사회자본이 나타내는 것은 단순한 수치나 유형, 무형의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가 얼마나 건강하고 어떠한 시스템을 갖고 돌아가는가’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어떠한 사회자본을 어떻게 생산할 것인지가 앞으로 국가의 10년, 100년을 결정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사회가 이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표가 많다. 정부가, 또 시민들이 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를 활성화 시키고 앞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코로나 19라는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서 한 치 앞도 함부로 내다볼 수 없고 미래에 또 다른 바이러스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게 되어버린 지금에야 말로 앞으로 사회자본을 어떻게 여기고 활용하는지가 중요해진 순간이라 말할 수 있다. 지금 당장 어떠한 방향을 갖고 이 사회가 나아갈지 전환점을 맞이한 한국 사회는 어떤 길로 나아가게 될지 필자 또한 궁금하다. 그 불확실한 미래를 어떠한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축적한 상태로 맞이하는지는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정해줄 것이다. 부디 이를 잊지 않고 사회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우리 정부가 되길 희망해본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강석 저, 커뮤니케이션과 자본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6)
정선기 ( Seon Gee Jeoung ). \"사회적 자본의 정책적 의미.\" 사회과학연구 21.- (2012): 27-44
이러한 재능기부는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가능하다. 부자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서 돈을 나누어주는 것 또한 일종의 ‘재능기부’라고도 볼 수 있다. 부자에게는 타고난 재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재산’인데 이를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그 재능을 나누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능기부는 사회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분쟁’, ‘질시’, ‘이기주의’와 같은 부정적인 키워드들을 제거해나가는 데에 도움을 준다.
또 다른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는 현상이 요즘 유행하는 ‘중고거래’이다. 중고거래는 남이 쓰던 물건을 사는 만큼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행위이다. 그리고 이 중고거래는 사회적으로 보면 쓰레기와 함부로 낭비되는 재화들을 줄이는 데에도 이바지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볼 때에도 요즘 트렌드인 ‘녹색성장’에 어울리는 행위이다. 이러한 중고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이것을 경험한 사람은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사회에서 남을 향한 ‘신뢰감’을 얻게된다. 또 이러한 신뢰감을 바탕으로 자신 또한 좋은 중고 물품을 팔면서 남에게 신뢰를 형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가 신뢰를 형성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결국 사회자본을 형성하기 위해 ‘시민사회’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사회를 이루는 시민들 개개인이 서로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다. 이 신뢰 또한 사회자본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지만, 나는 신뢰가 바로 사회자본의 밑바탕이 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이것을 통해 시민사회는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이를 사회가 발전하는 데에 사용함으로써 시민들 스스로가 더 이익을 볼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Ⅲ. 결론
사회자본은 사회를 원활하게 움직이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 시민사회는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정부는 이를 이용하면서 다시 시민사회에게 이익을 가져다준다. 이러한 과정은 현대사회에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지방 영주나 왕과 같은 절대적인 권력을 지닌 한 사람이 모든 것을 결정하고 그 결정이 한 국가의 흥망성쇠를 확정 지었다면, 현대사회는 그러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사회자본이 나타내는 것은 단순한 수치나 유형, 무형의 것이 아니라 ‘현재 사회가 얼마나 건강하고 어떠한 시스템을 갖고 돌아가는가’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어떠한 사회자본을 어떻게 생산할 것인지가 앞으로 국가의 10년, 100년을 결정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사회가 이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표가 많다. 정부가, 또 시민들이 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를 활성화 시키고 앞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코로나 19라는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서 한 치 앞도 함부로 내다볼 수 없고 미래에 또 다른 바이러스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게 되어버린 지금에야 말로 앞으로 사회자본을 어떻게 여기고 활용하는지가 중요해진 순간이라 말할 수 있다. 지금 당장 어떠한 방향을 갖고 이 사회가 나아갈지 전환점을 맞이한 한국 사회는 어떤 길로 나아가게 될지 필자 또한 궁금하다. 그 불확실한 미래를 어떠한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축적한 상태로 맞이하는지는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정해줄 것이다. 부디 이를 잊지 않고 사회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우리 정부가 되길 희망해본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강석 저, 커뮤니케이션과 자본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6)
정선기 ( Seon Gee Jeoung ). \"사회적 자본의 정책적 의미.\" 사회과학연구 21.- (2012): 27-4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