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설비 측면에서의 지속가능한 건축(A+받은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기조화설비 측면에서의 지속가능한 건축(A+받은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기조화의 목적
 1-1 정의
  1-2 분류
  1-3 계획

2 공기조화 설비 사례
 2-1 Wind Catcher
 2-2 Eastgate Centre. Harare
 2-3 Atrium
 2-4 Yakhdāl

3 공기조화 설비의 현재

4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미래

본문내용

공기조화란?
실내공간에서 인간 또는 물품을 대상으로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환기, 청정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가장 알맞는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난방 설비는 실내공기의 가열에 의한 온도만을 제어의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쾌적성의 추구에는 못 미친다. 이에 비해 공기조화설비는 공기의 가열 및 냉각의 온도 제어와 공기의 가습 및 감습의 습도 제어, 기류 속도, 기류 분포, 청정도 제어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을 수 있다. 1970년대 이전의 공기조화설비는 그 당시에 연료가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 에너지절약에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두차례에 걸친 오일 쇼크로 설비 작동의 효율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그 후 경제성장의 급속화에 따른 풍요 가운데 1990년대에는 인간의 건강과 작업에 대한 쾌적성, 실내 공기질(IAQ: Indoor Air Quality)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공기조화 시스템의 선택에는 경제성을 포함한 에너지절약과 쾌적성을 고려해야만 한다.
1) 쾌적용 공기조화(Comfort Air conditioning)
인간의 생활을 대상으로 주로 보건, 활동성, 쾌적성이 목적이며 주택, 사무소등의 일반 건축물에 해당된다. 일명 보건용 공기조화라고도 한다.
2) 작업용 공기조화
일반적인 실내작업이나 실내운동을 하는 인간의 안전과
건강관리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주로 작업환경 개선과
작업능률 향상 및 안전의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3) 산업공정용 공기조화
산업의 제조공정 및 원료, 제품의 저장, 포장, 수송 등의 생산관리를 대상으로 제품의 품질향상, 생산량의 증가,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한다.
  • 가격5,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176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