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논어 ) 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동아시아 역사왜곡 문제를 살펴보고, 동아시아를 화합의 길로 이끌 수 있는 지혜로운 방안을 모색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균논어 ) 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동아시아 역사왜곡 문제를 살펴보고, 동아시아를 화합의 길로 이끌 수 있는 지혜로운 방안을 모색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균논어
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동아시아 역사왜곡 문제를 살펴보고, 동아시아를 화합의 길로 이끌 수 있는 지혜로운 방안을 모색하시오.(역사왜곡에 관한 사실 관계 정리 50%, 역사왜곡 문제에 관해 나는 무슨 일을 어떻게 할 것인지 위기지학의 관점에서 서술한 내용 50%)



1. 서론
2. 본론
1) 동아시아 역사왜곡 문제
2) 동아시아를 화합의 길로 이끌 수 있는 지혜로운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왜곡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역사적 사실과 문헌기록과 고고학적인 측면에서도 충분한 근거를 마련하여 우리가 잘못된 역사 왜곡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 국가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이며, 지정학적 여건과 역사적인 경험, 현재의 국제정세로도 분리할 수 없는 관계로 상호의존성이 강조될 수 있다. 각 나라에 대한 올바른 역사 연구와 교육이 장기적으로는 상호 간 이해를 넓히면서 평화로운 공존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한, 중, 일의 삼국 사이의 갈등이 쉽게 사그러지지 않고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이 중국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를 어렵게 만들고 있으며 고구려사의 문제로 한중 수교 이후로 최대 위기를 맞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 국가간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우리나라가 역사에 대한 인식을 바로 잡고 이를 기점으로 중국이나 일본과의 역사연구를 통해 과학성과 실증성을 담보로 객관적인 역사를 알려야 할 필요가 있으며, 역사학은 사회와 국가를 포함해 더 넓은 부분에서 의미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과거 역사 왜곡에 대한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모든 국가가 반성하고 국가지상주의나 민족중심주의, 패권주의를 포기하고 다른 국가의 객관적인 역사는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식민지 지배나 침략 전쟁에 대한 진정한 사죄가 있지 않았으나 중국은 북한에게 중국의 전근대 역사학자가 역사를 잘못 서술한 점을 지적하며 봉건대국의 태도로 한국을 무시 모욕 침략한 것에 대한 사과를 하고 중국이 패권주의를 추구하지 않을 것임을 선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역사 왜곡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우리가 올바른 역사 문화를 인식하고 있으면 일본이 지난 날 침략행위나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할 수 있도록 말할 수 있으며, 우리 역사를 존중하고 상호 존중을 통해 역사 인식 공유와 잘못된 역사해석은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과 중국, 일본이 함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역사 분쟁이나 갈등을 빠르게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역사가 평화와 공영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하므로 우리가 적극적인 자세로 문제를 바로잡아야 할 필요가 있다.
3. 결론
역사 왜곡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우선 역사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잘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한, 중, 일 서로를 존중하며 상호 교류와 공동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객관적인 역사적 증거를 확보하여 우리의 역사를 바로 잡고 잘못 알려진 역사 왜곡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국민에게도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을 실시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역사 왜곡뿐 아니라 많은 문제에서 노력없이는 해결되기 어려우므로 역사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각 국의 협조와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4. 참고문헌
1) 시비지심,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9002&cid=40942&categoryId=32972
2) 기자동래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388
3) 동아시아의 평화와 역사교육, 한국역사연구회
http://www.koreanhistory.org/2351
4) 정연수. \"고대 우리 민족과 국가에 관한 중등 역사 교과서의 문제.\" 東洋哲學硏究 100.- (2019): 111-148.
http://www.riss.kr/link?id=A106465661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