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등을 정리하고 파생어휘 1개를 선택하여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 절차를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 ) 파생어의 개념과 유형 등을 정리하고 파생어휘 1개를 선택하여 어휘의미 추측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 절차를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파생어 교수법의 유의사항
2) 파생어의 종류에 따른 교수법
3) 접미파생어 ‘달리기’ 교수 절차
3. 결론

본문내용

이의 차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교육자의 확인 및 관심이 필요하다.
3. 결론
따라서 본고에서는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교육할 시 사용할 수 있는 파생어휘를 1가지 선정하여 이를 가르치는 방법을 서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에 따라 ‘달리기’라는 접미 파생어가 사용된 단어를 선정하였다. 본론은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파생어 교수법의 유의사항이었다. 파생어를 교육하기 전 어근과 접사의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었다. 어근이 무엇이고 이 어근에 접사가 어떻게 붙어지는지를 바로 이해하여야만 파생어휘에 대한 개념이 정립될 수 있다는 점을 서술했다. 본론의 2절에서는 파생어의 종류에 따른 교수법을 작성해 보았다. 파생어는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가 있었다. 새 신발, 새 책, 새 책상, 새 연필 등에 사용된 ‘새’는 어근의 앞에 붙어 뒤를 수식하는 접두 파생어였으며 달리기, 뛰기, 웃기, 울기, 화내기에 사용된 ‘-기’는 어근의 뒤에 붙어 명사를 만드는 접미파생어였다. 이러한 파생어의 종류가 다양하다는 점 또한 학습자에게 알려주어야 하는 사항이었다. 자칫 파생어가 한 가지라고 오해하게 된다면 모든 어근에 한 파생어를 붙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는 접미파생어 ‘달리기’를 가르치는 절차를 여섯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반적인 전개과정을 살펴본다면 작은 예시에서 후에는 학습자가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는 일련의 과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로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접미 파생어를 교육하기 전 여러 동사들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 뒤에 파생 접미사가 붙은 단어인 달리기, 웃기, 뛰기, 걷기, 멈추기 등을 보여주어야 한다. 세 번째로는 위의 나열된 단어에서 어근을 분리해야 하겠다. 즉, 어근만 분리하면 달리다, 웃다, 뛰다 등의 동사가 나올 것이다. 그런 뒤 어근에서 동사를 만드는 ‘다’를 빼고 ‘기’를 집어넣어 보면 어떻게 되는 형상인지 질문을 유도하고 토론하며 어근과 접미 파생어에 대한 개념을 더욱 명확히 해야 한다. 이를 확장하여 다양한 단어에 접미 파생어 ‘기’가 붙은 단어를 제시해 본다. 학습자의 이해도가 높다고 파악된다면 파생어가 사용된 문장을 여러 개 제시하고 이를 직접 작문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4. 참고 문헌 및 자료
신희삼, 「단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의 방안에 관하여」, 『韓國言語文學』 제 64호, 한국언어문학회, 2010.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