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전년 동월 대비 물가상승률
2.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기초 통계량
3.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산포도 그래프
4.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상관계수
5. 필립스 곡선의 유효성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전년 동월 대비 물가상승률
2.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기초 통계량
3.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산포도 그래프
4.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상관계수
5. 필립스 곡선의 유효성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률과 실업률이 서로 상충관계에 있다는 것을 말한다. 경제 성장이 침제 및 하락하면 실업률이 높아지게 되고 시장에는 노동이 초과 공급되게 된다. 경제 성장이 회복되면 노동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고용이 늘어나 실업률이 감소한다. 경제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면 임금은 오르기 시작하고 오른 임금은 생산 비용을 증가시켜 소비자 가격이 인상되게 된다. 즉, 임금이 오르게 되면 물가도 오르게 되는 임금상승률과 물가상승률의 비례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실업률은 임금상승률과 상충되므로, 필립스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서로 상충관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산포도 그래프와 상관관계 분석에 따르면, 2016년 이후 우리나라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는 서로 상충관계에 있다고 볼 수 없다. 함수 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며, 두 변수 간의 상관이 매우 낮다고 해석 할 수 있다.
Ⅲ. 결론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밝혀졌으나, 2016년 이후 우리나라 경제에서는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 요인에 의한 경기 변동 시 필립스 곡선은 유효하지만 오일쇼크와 같이 공급 요인에 의한 경기 변동 시 물가상승과 실업률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되어 필립스 곡선은 성립하지 않게 된다. 미국의 실업률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10%에서 최근에는 4% 수준으로 감소하였지만 물가는 상승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실업률이 하락하면 물가가 상승한다는 필립스 곡선과 대치되는 결과이다. 이에 래리 서머스 미국 하버드대 교수 등 학계에서는 필립스 곡선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머스 교수는 미국 노동자들의 지위 약화가 실업률이 감소하였음에도 임금 상승과 물가 상승을 저지하는 주 원인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노동자들을 필요에 따라 고용하는 기그(Gig)이코노미가 미국 경제가 필립스 곡선에서 벗어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야기되고 있다. 유연한 노동 서비스 제공을 나타내는 기그(Gig)이코노미는 우버, 에어비엔비 등 O2O(온라인 투 오프라인) 서비스의 증가와 근로 시간이 유연한 직장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미국과 유럽의 생산 가 능연령 인구 8,000명을 조사한 결과 이 중 20~30%가 기그(Gig)이코노미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립스 곡선은 코로나 19로 신뢰성이 더욱 하락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더라고 고용이 이전으로 돌아가기 어렵다고 분석되고 있다. 고용 회복이 더뎌지면서 실업률과 물가의 상관관계인 필립스 곡선이 이제는 성립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1.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ecos.bok.or.kr)
- 소비자물가지수(2015=100) (ECOS 복수통계 7.물가)
- 실업률 (ECOS 복수통계 17.거시경제분석지표)
2. 매경 경제경영연구소: 실업률·인플레의 상충관계 \'필립스곡선\'(2018.05, 최병일 책임연구원)
(mk.co.kr/news/economy)
산포도 그래프와 상관관계 분석에 따르면, 2016년 이후 우리나라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는 서로 상충관계에 있다고 볼 수 없다. 함수 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며, 두 변수 간의 상관이 매우 낮다고 해석 할 수 있다.
Ⅲ. 결론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밝혀졌으나, 2016년 이후 우리나라 경제에서는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 요인에 의한 경기 변동 시 필립스 곡선은 유효하지만 오일쇼크와 같이 공급 요인에 의한 경기 변동 시 물가상승과 실업률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되어 필립스 곡선은 성립하지 않게 된다. 미국의 실업률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10%에서 최근에는 4% 수준으로 감소하였지만 물가는 상승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실업률이 하락하면 물가가 상승한다는 필립스 곡선과 대치되는 결과이다. 이에 래리 서머스 미국 하버드대 교수 등 학계에서는 필립스 곡선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머스 교수는 미국 노동자들의 지위 약화가 실업률이 감소하였음에도 임금 상승과 물가 상승을 저지하는 주 원인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노동자들을 필요에 따라 고용하는 기그(Gig)이코노미가 미국 경제가 필립스 곡선에서 벗어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야기되고 있다. 유연한 노동 서비스 제공을 나타내는 기그(Gig)이코노미는 우버, 에어비엔비 등 O2O(온라인 투 오프라인) 서비스의 증가와 근로 시간이 유연한 직장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미국과 유럽의 생산 가 능연령 인구 8,000명을 조사한 결과 이 중 20~30%가 기그(Gig)이코노미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립스 곡선은 코로나 19로 신뢰성이 더욱 하락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더라고 고용이 이전으로 돌아가기 어렵다고 분석되고 있다. 고용 회복이 더뎌지면서 실업률과 물가의 상관관계인 필립스 곡선이 이제는 성립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1.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ecos.bok.or.kr)
- 소비자물가지수(2015=100) (ECOS 복수통계 7.물가)
- 실업률 (ECOS 복수통계 17.거시경제분석지표)
2. 매경 경제경영연구소: 실업률·인플레의 상충관계 \'필립스곡선\'(2018.05, 최병일 책임연구원)
(mk.co.kr/news/economy)
추천자료
실용통계학 제5장 연습문제
(방통대 경제통계의이해)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서 국민계정과 관련된 다음 자료들...
경제통계의이해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서 대외무역과 관련된 다음 자료들을 다운...
경제통계의이해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서 대외무역과 관련된 다음 자료들을 다운...
경제통계의이해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서 대외무역과 관련된 다음 자료들을 다운...
(방송통신대 경제통계의이해 중간과제물)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
경영학 ) 수출입 데이터와 관련하여 CIF 방식과 FOB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경제통계의이해)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다운로드받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