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소설 =) 만복사저포기와 취유부벽정기 작품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문소설 =) 만복사저포기와 취유부벽정기 작품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외로운 자신에게 여인을 내려달라 부처에게 부탁하게 되는데 이것이다. 그는 놀이를 통해 내기에서 이겼고, 여인을 만난 그 장소도 바로 절이었다는 것과 배필을 점지해달라 청하는 그것도 불교의 특색이다. 그 외에도 양반집의 딸이었던 그녀의 영혼에 명복을 빌어주기 위하여 제를 올린 것과 주인공에게 여인이 윤회로 인하여 남자로 태어났음을 말하고, 당신도 속세의 누(윤회)를 벗으라고 도를 닦기를 원하였다는 점에서 당시 작품이 쓰인 시대는 유교였으나 작품에는 유교 안의 불교를 보여주고 있다.
취유부벽정기에서는 서로 다른 공간, 현실과 초현실 세계의 인물이 만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선녀였던 그녀는 기자 조선의 후예로서 선녀가 되었다는 도교의 신선 사상을 나타내어 그러한 색채가 강하다는 점을 말할 수 있다. 기자 조선의 멸망을 통해 당시 세조의 모습을 비난하는 등으로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도교적 취향과 작가 의식을 함께 신념으로서 승화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3. 필자의 생각
금오신화를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지금도 사람들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들을 글로 적어서 표출하는데 그 당시에는 오죽했을까. 개인이 세상에 대항하는 것은 어렵고 힘든 길이다. 나 혼자만 그 길을 걸어갈 때는 양생과 같이 주변에 가족 없는 외로움을 견뎌야 할 수도 있고, 홍생처럼 고통이 없는 초현실 세계로 떠나 그 답을 찾고 싶을 수도 있다. 금오신화는 고통스럽고, 자신의 신념을 펼 수 없는 김시습의 그 외롭고 힘든 마음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고, 실현할 수 있는 자신만의 공간이 아니었을까. 단순한 사랑을 이야기하는 그런 소설과는 달리 비극적인 결말과 죽음의 새로운 의미, 그리고 현실보다 비현실적인 공간에서 현실의 문제를 직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야기의 흐름은 당시의 사회를 반영했음에도 지금의 복잡한 사회를 나타내는 것처럼 생생하고, 고도의 문학 가치를 지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의 사회와 나의 관계를 생각해보기도 했다. 다양하게 직면하는 문제 속에서 우리는 소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지는 않을까. 또는 그 세상에서 나는 좌절되고 회피하고 있지는 않을까. 그렇게 생각을 하고 하다 보면 아, 이것이 바로 작가의 고뇌가 아닌지 깨달았던 것 같다.
Ⅲ 결론
이렇게 본론을 통하여 금오신화와 대표적인 소설, 그리고 그중에서 만복사저포기와 취유부벽정기의 내용을 비교하면서 어떠한 점이 다르고 같은지, 작가는 어떠한 사상과 생각을 담아서 표현했는지 알아보았다. 금오신화의 작품은 모두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주인공의 모습, 죽음의 형태, 결말 등 사회를 향한 개인의 욕구를 억압하고 표출하지 못하여 작품을 통해 나타내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 외에도 작가가 가진 도교 사상, 불교 사상 등의 종교적인 색채도 나타난다.
금오신화는 지금 읽어봐도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모습이 뚜렷하며, 비현실적인 소재를 통해 상상력을 키우면서 읽을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고, 그 속에 있는 문학적 가치는 지금 많은 연구를 통하여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음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한문 소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160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금오신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8%88%EC%98%A4%EC%8B%A0%ED%99%94&ridx=0&tot=11#self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취유부벽정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830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만복사저포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7603
[칼럼] 도교 도사로서의 김시습, 이종우, 투데이신문, 2020.02.17
https://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903
「금오신화」에 굴절된 한의 고찰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취유부벽정기」를 중심으로-, 문영오, 한국문학연구, 1987, vol., no.10, pp. 97-120 (24 pages)
<취유부벽정기>에 나타난 역사의식과 초현실세계의 지향, 안창수, 한국문학논총 제68집(2014. 12) 59~91쪽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고독’과 ‘사랑’의심리학적 이해와 문학적 의미, 백민정, 語文硏究 55 (2007.12)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