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런 구분의 경우 수치적으로 명확한 기준은 없고, 연구자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크기 차이의 경우 기능 차이로 추정하며, 대형의 경우 내용물의 정체에 대한 문제를 넘어 저장용으로도 볼 수 있으며 중,소형의 기형적 차이는 없고 자비의 확실한 증거인 탄화물이 있고 없고가 공반되어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구분이 모호하다. 호형토기의 경우 목이 있고 구경이 좁은 형태적 특징에 의해 액체나 같은 물질의 저장용으로 추측하며 형태학적으로 발형토기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져 연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형식적으로도 호형토기와 그 토기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나, 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대표성 부여가 어렵다. 옹형토기의 경우 죽변양식토기인 절견발과 함께 발형토기와 구분이 모호한 것이 많이 존재하는데, 기종 구분에서 발형토기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구나 구경이나 동경 비를 산출해도 분류에 의문부호가 붙는 경우가 있다. 보편적으로 인정할 옹형토기나 발형토기를 제외하고 예외의 기종의 경우 판단 근거가 미약하고 ,자칫 자료 해석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
기존 형식적 연구의 토기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식의 개념을 사용하는 경향이 늘어 양식이 확대되고 있는데 시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있는 토기를 제작 방식이나 최종 형태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설정하고 구분하는 단위로 여러 기종이나 형식의 조합을 이루며 복수의 고고학적 시간대를 포괄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기종의 형식분류나 기종 간 형식의 동시성을 확인하는 것을 기반으로 형식군 설정을 통해 양식 내 편년 세분도 가능하다. 지역 단위를 기반으로 양식을 설정하고, 소지역별의 세부적 차이는 유형이나 지역 구분과 분기를 넘어 시공간 범위 내 나타날 수 있는 양식적인 유사성이 전통으로 새롭게 명명된다.
3. 결론
고고학에서 가장 관심을 많이 받는 토기의 경우 이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토기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 질 필요가 있으며, 토기 연구를 통해 과거 다양한 토기 생산 장소를 찾아내고 지역적인 전통을 변별하여 생산된 토기의 분배 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하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중요하여 토기의 연구가 꼭 필요한 것이다.
토기를 제작하는 기술이나 토기와 인간의 행위 그리고 토기 생산 및 분배체계 등 다양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토기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것이 굉장히 많다. 토기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각 방법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므로 적절한 방법을 찾아 토기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토기의 세세한 속성에 대한 검토를 걸쳐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토기에 대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토기의 생산을 통해 전문화가 사회적, 경제적 배경이 뒷받침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농업생산의 증대를 통해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토기에 대한 가치부여가 가능하다.
4. 참고문헌
1) 토기연구의 의의, 두산백과
2) 최몽룡.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토기의 과학적 분석.\" 문화재 21.- (1988): 39-45.
http://www.riss.kr/link?id=A104047757
3) 崔夢龍. \"韓國 考古學에 있어서 自然科學的 硏究.\" 한국상고사학보 13.- (1993): 7-92.
http://www.riss.kr/link?id=A76512669
4) 황철주.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형식학적 연구에 대한 검토 -2012년 이후에 발표된 조기 토기연구의 방법론적 사례를 중심으로-.\" 嶺南考古學 0.83 (2019): 223-257.
http://www.riss.kr/link?id=A106568243
기존 형식적 연구의 토기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식의 개념을 사용하는 경향이 늘어 양식이 확대되고 있는데 시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있는 토기를 제작 방식이나 최종 형태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설정하고 구분하는 단위로 여러 기종이나 형식의 조합을 이루며 복수의 고고학적 시간대를 포괄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기종의 형식분류나 기종 간 형식의 동시성을 확인하는 것을 기반으로 형식군 설정을 통해 양식 내 편년 세분도 가능하다. 지역 단위를 기반으로 양식을 설정하고, 소지역별의 세부적 차이는 유형이나 지역 구분과 분기를 넘어 시공간 범위 내 나타날 수 있는 양식적인 유사성이 전통으로 새롭게 명명된다.
3. 결론
고고학에서 가장 관심을 많이 받는 토기의 경우 이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토기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 질 필요가 있으며, 토기 연구를 통해 과거 다양한 토기 생산 장소를 찾아내고 지역적인 전통을 변별하여 생산된 토기의 분배 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하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중요하여 토기의 연구가 꼭 필요한 것이다.
토기를 제작하는 기술이나 토기와 인간의 행위 그리고 토기 생산 및 분배체계 등 다양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토기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것이 굉장히 많다. 토기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각 방법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므로 적절한 방법을 찾아 토기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토기의 세세한 속성에 대한 검토를 걸쳐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토기에 대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토기의 생산을 통해 전문화가 사회적, 경제적 배경이 뒷받침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농업생산의 증대를 통해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토기에 대한 가치부여가 가능하다.
4. 참고문헌
1) 토기연구의 의의, 두산백과
2) 최몽룡.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토기의 과학적 분석.\" 문화재 21.- (1988): 39-45.
http://www.riss.kr/link?id=A104047757
3) 崔夢龍. \"韓國 考古學에 있어서 自然科學的 硏究.\" 한국상고사학보 13.- (1993): 7-92.
http://www.riss.kr/link?id=A76512669
4) 황철주.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형식학적 연구에 대한 검토 -2012년 이후에 발표된 조기 토기연구의 방법론적 사례를 중심으로-.\" 嶺南考古學 0.83 (2019): 223-257.
http://www.riss.kr/link?id=A10656824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