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하여 배우의 심리를 담은 표정이 관객들에게 더 잘 전달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여기서 조금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은 이순신 장군이 죽은 영혼들에게 술을 따라주는 장면이 연출되는데 왜 굳이 이순신 장군 머리 위에서 촬영을 진행하였는지가 궁금하다.’
Ⅲ. 결론
‘명량’은 전쟁 영화의 특성상 전체적으로 짧은 장면들로 편집하여 연출하여 영화 속이 긴장감을 유지하고, 극적인 전개를 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대체로 전투함 위에서의 장면들을 핸드 헬드 샷(Hand held shot)의 촬영기법을 사용하였는데, 더 생동감 있게 연출되었다고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이러한 촬영기법들을 통하여 개인적으로 생각하였을 때, 좋게 느껴진 부분과 아쉬운 부분에 대해서 느낀 장면들을 살펴보았고 아쉽다고 생각한 부분 또는 기존 촬영기법과 다르게 바꿨다면 어떻게 느껴졌을지 대하여 상상하면서 바꿔보았다. ‘명량’이라는 영화를 이번 기회 이외에도 수차례 봐왔던 영화 중 하나였지만, 이제까지 봐왔던 일반적인 관객의 시선이 아닌 영화의 촬영기법을 생각하면서 한 번 더 보았을 때 다른 관점으로 영화를 보게 되는 것을 느꼈다. 단순하게 영화를 관람하면서 느껴지는 감정이 우선이 아닌 영화의 하나의 장면을 초단위로 보게 되기도 하였고, 클로즈업을 어느 정도까지 줌인(Zoom in)을 하는지, 어느 정도의 속도로 슬로우 모션을 활용하는지 등 단순하게 이 영화가 관객들에게 주는 의미를 생각하고 느끼는 것보다 영화의 감독과 연출팀들이 어떠한 관점에서 어떻게 관객들을 몰입시키고 내용을 전개해 나가야 할지를 좀 더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영화 촬영 등 제작진들만큼 전문가도 아니고 그에 준하는 전문적 지식을 갖추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영화를 분석하면서 기존에 배웠던 내용을 활용하며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영화에 대한 관점을 이렇게 색다르게 보면서 즐길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정말 촬영기법들을 어떤 것들을 사용할지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를 얼마나 활용하고 어느 정도 수준까지 활용하는지 그 미세한 차이에 의하여 영화 한편이 관객들에게 어떻게 비춰질지 고민해보여 이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관점이 궁금증으로 다가왔다. 이 부분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있게 사람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그를 바탕으로 영화가 바뀌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관객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기존의 영화와 어떤 느낌이 다르게 다가오는지도 살펴보면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Ⅲ. 결론
‘명량’은 전쟁 영화의 특성상 전체적으로 짧은 장면들로 편집하여 연출하여 영화 속이 긴장감을 유지하고, 극적인 전개를 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대체로 전투함 위에서의 장면들을 핸드 헬드 샷(Hand held shot)의 촬영기법을 사용하였는데, 더 생동감 있게 연출되었다고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이러한 촬영기법들을 통하여 개인적으로 생각하였을 때, 좋게 느껴진 부분과 아쉬운 부분에 대해서 느낀 장면들을 살펴보았고 아쉽다고 생각한 부분 또는 기존 촬영기법과 다르게 바꿨다면 어떻게 느껴졌을지 대하여 상상하면서 바꿔보았다. ‘명량’이라는 영화를 이번 기회 이외에도 수차례 봐왔던 영화 중 하나였지만, 이제까지 봐왔던 일반적인 관객의 시선이 아닌 영화의 촬영기법을 생각하면서 한 번 더 보았을 때 다른 관점으로 영화를 보게 되는 것을 느꼈다. 단순하게 영화를 관람하면서 느껴지는 감정이 우선이 아닌 영화의 하나의 장면을 초단위로 보게 되기도 하였고, 클로즈업을 어느 정도까지 줌인(Zoom in)을 하는지, 어느 정도의 속도로 슬로우 모션을 활용하는지 등 단순하게 이 영화가 관객들에게 주는 의미를 생각하고 느끼는 것보다 영화의 감독과 연출팀들이 어떠한 관점에서 어떻게 관객들을 몰입시키고 내용을 전개해 나가야 할지를 좀 더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영화 촬영 등 제작진들만큼 전문가도 아니고 그에 준하는 전문적 지식을 갖추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영화를 분석하면서 기존에 배웠던 내용을 활용하며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영화에 대한 관점을 이렇게 색다르게 보면서 즐길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정말 촬영기법들을 어떤 것들을 사용할지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를 얼마나 활용하고 어느 정도 수준까지 활용하는지 그 미세한 차이에 의하여 영화 한편이 관객들에게 어떻게 비춰질지 고민해보여 이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관점이 궁금증으로 다가왔다. 이 부분에 대하여 좀 더 깊이 있게 사람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그를 바탕으로 영화가 바뀌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관객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기존의 영화와 어떤 느낌이 다르게 다가오는지도 살펴보면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추천자료
헐리우드 어드벤처 영화와 한국 어드벤처 영화 비교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세계
[프랑스영화][프랑스영화 작품][조르주 멜리에스][누벨바그][프랑스영화산업 지원정책]프랑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북한 문화예술 관계, 정책, 문예이론, 창작제도, 분야별 실태, 예...
[A+ 마케팅] 핫식스(HOT6) 기업 분석(SWOT, STP, 4P) 과 경쟁사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제시
핫식스 Hot6ix 마케팅전략분석과 핫식스 마케팅 전략제안 - SWOT 분석, STP전략, 프로모션 전...
영화에 보여지는 편집기법 - 다이하드4
[북한문예산책]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북한 문화예술의 관계
핫식스 마케팅전략 및 기업분석(4P,STP,SWOT,경쟁사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