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력 부족시의 조정방안
(1) 초과근로
(2) 외주
(3) 대안적 근무제도
(4) 재고용
(5) 임시직 고용
2. 인력 과잉시의 조정방안
(1) 직무분할
(2) 조기퇴직
(3) 규모축소와 정리해고
출처
(1) 초과근로
(2) 외주
(3) 대안적 근무제도
(4) 재고용
(5) 임시직 고용
2. 인력 과잉시의 조정방안
(1) 직무분할
(2) 조기퇴직
(3) 규모축소와 정리해고
출처
본문내용
충원될 인력에 대해 교육하고 업무에 적응하도록 할 기존 직원이 충분히 부존할 경우에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조기퇴직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 직원들에게 공개된다면, 회사 내부의 사기에 문제를 일으켜 인력부족 사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접근은 조심스럽게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3) 규모축소와 정리해고
조기퇴직이 유입과 유출 사이의 형평을 맞추는 작업이었던 것과는 달리, 규모축소와 정리해고는 기존 직원을 대상으로 기업에서 고용을 유지하는 크기 자체를 직접적으로 재단하는 과정이다. 둘 다 존재하는 인력 부존량에 의한 공급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이지만, 그 원인과 효과는 다르다.
규모축소는 기업 자체의 고용 규모를 줄이는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기업 자체의 내부적 판단에 의한 것이며, 인력이 현재 규모로 유지되지 않더라도 사업 규모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에서 기인한다.
정리해고는 구조조정의 인적관리 부문으로, 경제상황, 혹은 기업 외부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인력 수요량 축소에 대해 기업 역시 일시적으로 고용 규모 축소로 대응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규모축소는 기업 내부 판단에 의거하여 향후 사업확충 계획 등이 생기지 않는 경우, 그 축소된 규모가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반면 정리해고에서 축소된 규모는 일시적으로 축소된 것이며, 경제 상황의 회복, 유가 안정화 등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기업이 기존의 고용 규모를 다시 되돌리게 된다. 이는 규모축소가 기업의 필요에 의해, 정리해고는 사회적 상황에 의해 기업이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이다.
(3) 규모축소와 정리해고
조기퇴직이 유입과 유출 사이의 형평을 맞추는 작업이었던 것과는 달리, 규모축소와 정리해고는 기존 직원을 대상으로 기업에서 고용을 유지하는 크기 자체를 직접적으로 재단하는 과정이다. 둘 다 존재하는 인력 부존량에 의한 공급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이지만, 그 원인과 효과는 다르다.
규모축소는 기업 자체의 고용 규모를 줄이는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기업 자체의 내부적 판단에 의한 것이며, 인력이 현재 규모로 유지되지 않더라도 사업 규모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에서 기인한다.
정리해고는 구조조정의 인적관리 부문으로, 경제상황, 혹은 기업 외부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인력 수요량 축소에 대해 기업 역시 일시적으로 고용 규모 축소로 대응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규모축소는 기업 내부 판단에 의거하여 향후 사업확충 계획 등이 생기지 않는 경우, 그 축소된 규모가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반면 정리해고에서 축소된 규모는 일시적으로 축소된 것이며, 경제 상황의 회복, 유가 안정화 등의 환경적 변화에 따라 기업이 기존의 고용 규모를 다시 되돌리게 된다. 이는 규모축소가 기업의 필요에 의해, 정리해고는 사회적 상황에 의해 기업이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