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미스 반 데어 로에는 누구인가?
2)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공간 근간과 그 특징
3)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 재료
4)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사상적 배경과 동양사상
5)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의 동양적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미스 반 데어 로에는 누구인가?
2)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공간 근간과 그 특징
3)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 재료
4)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사상적 배경과 동양사상
5)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의 동양적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태인 스튜트가르트 은행 계획안의 경우 기차역의 인근 대지를 공모전에 제출한 것으로 능숙하게 즐겨 사용했던 수법으로 포토몽타주 투시도를 통해 기차역 앞에서 전차와 사람들로 광장이 넓은 외부 공간을 넘어 도시의 활기가 넘치는 공공 공간으로의 풍경을 볼 수 있다. 콘크리트 사무소가 추상적 표현으로 건물 자체를 강조한다면 포토몽타주의 스튜트가르트는 도시 광장에 면해 있으면서 주변 건물이나 사람들과 삶 속에서 공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심플하고 강력한 형태로 주변 건물에 비해 간결한 느낌을 주며 경관의 일부이면서 배경으로 도시 맥락으로 자리 매김하게 됐다. 공공 공간에 개방된 시야를 통해 더 멀리서도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음을 활용한 포토몽타주인 것이다.
대규모의 공간과 2가지 유형을 사용한 알렉산더 공장 계획안의 경우 스튜트가르트 은행과 같이 공모전에 제안한 것으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최초 도시 계획 규모의 설계 프로젝트다. 공공 공간으로 중앙에 자리한 원형의 광장과 그 주변 공간이 가장 눈에 띄며, 다른 건축가와 다르게 알렉산더 광장을 두고 더 뒤로 물러나 배치하면서 광장 형태를 그대로 둘러싸거나 길을 따라 전통적으로 건물을 일렬로 배치하는 방법 대신 광장 주변을 개방하면서 더 큰 규모로 도시 내 공공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광장의 각 건물의 시각적 인지도를 높이면서, 유형의 사용을 주목할 수 있다. 새로운 형태의 창조에 중요함을 강조하지 않았으나, 도심 속 고전주의 양식으로 밀집된 광장을 중심으로 공공 공간에 대한 계획에서 여러 형태를 더하면서 흩어진 건물 간 통일감을 부여하고 건물 자체보다 광장을 부각시키면서 그 사이 개방된 공공 공간인 알렉산더 광장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저층은 ㄷ자 형태로 콘크리트 사무소의 형태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유형으로 필요에 의해서 건물의 길이를 줄이기 위한 조건에 대응한 것으로 추정되며, 유리 커튼월을 사용해 좁고 깊으면서 한 방향으로 개방된 중정을 다시 나타냈다.
동일한 형태의 위계의 문제로 프리드리히가 오피스 계획안의 경우 대지 3면에 대한 동일한 조건으로 설계하면서 대지 주변에 대한 위계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공공 공간은 특별하게 다루지 않고, 완곡한 곡선의 형태를 활용하면서 곡선 형태와 ㅡ자 형태의 유형화로 위계에 의해 건물을 구성할 수 있는 형태에 대한 분절을 나타냈다.
위계에 따른 전면과 후면의 경우 라이히은행 본사 계획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나치정권 아래 근대건축을 제3제국의 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로 대지 주변 맥락의 위계나 형태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전통적으로 폐쇄형 중정으로 시작했으나 다양한 시도를 통해 ㅡ자 형태가 연장되면서 후원을 개방했고, 건물 전면에 공공 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곡선 형태와 대지 경계선 사이 간격을 활용하여 전면에 진입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의 형성을 만들었다.
매스 분절과 공공 공간의 우계를 활용한 크레펠트 공장 행정동 계획안에서는 미국으로 이주 전 독일시대에서의 마지막 작품으로 라이히은행의 단순한 변형으로 본다. 매스 각 부분에 대한 높이를 다르게해서 형태와 공간에 대한 위계는 더 섬세해졌다는 점은 크레펠트 공장 행정동이 새롭게 분석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높이로 둘러쌓여서 폐쇄됐던 라이히 은행의 중정에 비해서 더 많은 개방감을 가지고 있다.
3. 결론
독일 아헨에서 태어나 뛰어난 수공예 솜씨와 디테일에 대한 큰 관심으로 건축가로써 유명세를 겪게 됐다. 획기적인 건축물을 통해 급진적이면서 전통적인 표현 형태에 대한 거부와 새로운 표현 수단을 수용하고자 했다.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유동적 구조를 갖고 있는 공간에 대한 실현과 건축물 자체가 빛나며 반사할 수 있는 프리즘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투명성과 반사 효과에 대해 집중하기도 했다.
미스 반 데어 로에는 20세기 초에 동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기에 통일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유기체적 통일성과 전체성을 중시한 동양사상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형태를 창안하는 것 보다 정신을 재현하는 것을 건축의 본질이라고 여기는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에서는 동양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며, 그의 사상적 배경이 동양적 사상과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통일은 동양의 전통사상과 유사하며, 사상적 접근을 바탕으로 그 관련성이 더 깊게 평가된다. 독일 시대에서의 미스 반 데어 로에는 건축의 형태나 유형에 따라 공공 공간을 변화시키는 과정은 계획 의도를 가지고 적용했다기보다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만의 방법론을 찾아가며 구축하는 시기로 평가된다.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로 마천루들로 이룬 공공 공간의 발전과 실현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4. 참고문헌
1) 지석우,and 오장환. \"미스의 건축에 나타난 \'통일\'개념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미스의 사상적 배경과 동양 사상 간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4 (2011): 41-48.
http://www.riss.kr/link?id=A60020069
2) 김철환(Kim Chul-Hwan). \"형태 유형 분석을 통해 본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독일시대 사무소 건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0 (2014): 6372-6378.
http://www.riss.kr/link?id=A103306958
3) 백지현,and Baek Ji-Hyeon. \"전통을 거부한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 주택과 사람들 199.- (2006): 62-63.
http://www.riss.kr/link?id=A101380281
4) 지석우,and 오장환. \"미스의 건축에 나타난 \'통일\'개념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미스의 사상적 배경과 동양 사상 간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4 (2011): 41-48.
http://www.riss.kr/link?id=A60020069
5) 정만영,and 최은국.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공간의 잠복성.\" 건축역사연구 15.3 (2006): 119-135.
http://www.riss.kr/link?id=A104827892
대규모의 공간과 2가지 유형을 사용한 알렉산더 공장 계획안의 경우 스튜트가르트 은행과 같이 공모전에 제안한 것으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최초 도시 계획 규모의 설계 프로젝트다. 공공 공간으로 중앙에 자리한 원형의 광장과 그 주변 공간이 가장 눈에 띄며, 다른 건축가와 다르게 알렉산더 광장을 두고 더 뒤로 물러나 배치하면서 광장 형태를 그대로 둘러싸거나 길을 따라 전통적으로 건물을 일렬로 배치하는 방법 대신 광장 주변을 개방하면서 더 큰 규모로 도시 내 공공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광장의 각 건물의 시각적 인지도를 높이면서, 유형의 사용을 주목할 수 있다. 새로운 형태의 창조에 중요함을 강조하지 않았으나, 도심 속 고전주의 양식으로 밀집된 광장을 중심으로 공공 공간에 대한 계획에서 여러 형태를 더하면서 흩어진 건물 간 통일감을 부여하고 건물 자체보다 광장을 부각시키면서 그 사이 개방된 공공 공간인 알렉산더 광장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저층은 ㄷ자 형태로 콘크리트 사무소의 형태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유형으로 필요에 의해서 건물의 길이를 줄이기 위한 조건에 대응한 것으로 추정되며, 유리 커튼월을 사용해 좁고 깊으면서 한 방향으로 개방된 중정을 다시 나타냈다.
동일한 형태의 위계의 문제로 프리드리히가 오피스 계획안의 경우 대지 3면에 대한 동일한 조건으로 설계하면서 대지 주변에 대한 위계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공공 공간은 특별하게 다루지 않고, 완곡한 곡선의 형태를 활용하면서 곡선 형태와 ㅡ자 형태의 유형화로 위계에 의해 건물을 구성할 수 있는 형태에 대한 분절을 나타냈다.
위계에 따른 전면과 후면의 경우 라이히은행 본사 계획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나치정권 아래 근대건축을 제3제국의 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로 대지 주변 맥락의 위계나 형태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전통적으로 폐쇄형 중정으로 시작했으나 다양한 시도를 통해 ㅡ자 형태가 연장되면서 후원을 개방했고, 건물 전면에 공공 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곡선 형태와 대지 경계선 사이 간격을 활용하여 전면에 진입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의 형성을 만들었다.
매스 분절과 공공 공간의 우계를 활용한 크레펠트 공장 행정동 계획안에서는 미국으로 이주 전 독일시대에서의 마지막 작품으로 라이히은행의 단순한 변형으로 본다. 매스 각 부분에 대한 높이를 다르게해서 형태와 공간에 대한 위계는 더 섬세해졌다는 점은 크레펠트 공장 행정동이 새롭게 분석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같은 높이로 둘러쌓여서 폐쇄됐던 라이히 은행의 중정에 비해서 더 많은 개방감을 가지고 있다.
3. 결론
독일 아헨에서 태어나 뛰어난 수공예 솜씨와 디테일에 대한 큰 관심으로 건축가로써 유명세를 겪게 됐다. 획기적인 건축물을 통해 급진적이면서 전통적인 표현 형태에 대한 거부와 새로운 표현 수단을 수용하고자 했다.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유동적 구조를 갖고 있는 공간에 대한 실현과 건축물 자체가 빛나며 반사할 수 있는 프리즘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투명성과 반사 효과에 대해 집중하기도 했다.
미스 반 데어 로에는 20세기 초에 동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기에 통일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유기체적 통일성과 전체성을 중시한 동양사상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형태를 창안하는 것 보다 정신을 재현하는 것을 건축의 본질이라고 여기는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에서는 동양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며, 그의 사상적 배경이 동양적 사상과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통일은 동양의 전통사상과 유사하며, 사상적 접근을 바탕으로 그 관련성이 더 깊게 평가된다. 독일 시대에서의 미스 반 데어 로에는 건축의 형태나 유형에 따라 공공 공간을 변화시키는 과정은 계획 의도를 가지고 적용했다기보다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만의 방법론을 찾아가며 구축하는 시기로 평가된다.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로 마천루들로 이룬 공공 공간의 발전과 실현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4. 참고문헌
1) 지석우,and 오장환. \"미스의 건축에 나타난 \'통일\'개념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미스의 사상적 배경과 동양 사상 간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4 (2011): 41-48.
http://www.riss.kr/link?id=A60020069
2) 김철환(Kim Chul-Hwan). \"형태 유형 분석을 통해 본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독일시대 사무소 건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0 (2014): 6372-6378.
http://www.riss.kr/link?id=A103306958
3) 백지현,and Baek Ji-Hyeon. \"전통을 거부한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 주택과 사람들 199.- (2006): 62-63.
http://www.riss.kr/link?id=A101380281
4) 지석우,and 오장환. \"미스의 건축에 나타난 \'통일\'개념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미스의 사상적 배경과 동양 사상 간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4 (2011): 41-48.
http://www.riss.kr/link?id=A60020069
5) 정만영,and 최은국.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공간의 잠복성.\" 건축역사연구 15.3 (2006): 119-135.
http://www.riss.kr/link?id=A10482789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