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한국 사회 혐오담론과 동성애혐오에 대한 논의
2.「향연」에서 나타난 사랑의 본질
3.반론에 대한 재반박
4.혐오사회 극복을 위한 의식개선
Ⅲ.결론
[참고문헌]
Ⅱ.본론
1.한국 사회 혐오담론과 동성애혐오에 대한 논의
2.「향연」에서 나타난 사랑의 본질
3.반론에 대한 재반박
4.혐오사회 극복을 위한 의식개선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애 행위 끊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정한 사랑”, 기독일보, 최종접속일 21.05.02.
다만 이러한 주장은 동성애의 발생 원인이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와 무관하게 비이성애에 대한 도덕적인 책임을 묻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유전적인 영향과 관계없이, “비정상은 비정상”이라는 반박은 이성애를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진 자연적인 질서로 당연히 전제한 결과로, 과학적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2)생물학적인 성별의 분리
‘정상 가족’이데올로기를 규정하는 근본적인 사상 속에는 신체적으로 남자와 여자라는 성별이 구분된다는 근거로도 뒷받침될 수 있다. 이미 ‘간성’이라는 제 3의 성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졌으며, 그것이 현대 사회에 처음 등장한 것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지구에 오직 두 가지 종류의 성별만 존재한다는 근거도 받아들여지기 어렵다. 고승우, “‘남녀 창조’맹신, 이래서 안 된다”, 미디어오늘, 최종접속일 21.05.02.
Ⅲ.결론
전통적인 시각에 따르면 대부분 이성을 향한 성적 지향인 이성애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 가치관, 제도가 지배적이었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드러나고 있다. 성적 지향은 후천적으로 개인이 영향을 받거나 선택하는 것이 아니며, 비정상이 아니라는 논리적인 연구 결과가 뒷받침되면서 이러한 논의는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향연」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사랑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과 같이 현대 사회에서도 사랑에 대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지만, 사랑이 아름다움을 향한 영속적인 추구라는 가치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플라톤의 「향연」에서 소크라테스가 주장하는 바와 같다.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존중하기 위해서 다양한 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단편적인 예시로, 일부 국가의 경우 동성애에 대한 합법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종교적인 이유나 국가적인 차원에서 아직 동성애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각을 극복하고 성적 지향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하고자 할 때 비로소 플라톤의 「향연」에서 추구하고 있는 사랑의 방향과 맞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나영,and 백조연. \"<성과학연구협회>를 중심으로 본 ‘개신교’ 동성애 ‘혐오담론’.\" 여성학연구 27.1 (2017): 67-10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61de5b6a6bbd9faed18150b21a227875
이소영(So Young Lee). \"동성애혼인에 대한 법적 개업의 딜레마와 가족이데올로기 해체.\" 법철학연구 10.1 (2007): 375-404.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7a7a462c5ef4d54b7998d826d417196
고승우, “성 정체성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프레시안, 최종접속일 21.05.01.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93079#0DKU
고승우, “‘남녀 창조’맹신, 이래서 안 된다”, 미디어오늘, 최종접속일 21.05.02.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30
길원평, “동성애 행위 끊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정한 사랑”, 기독일보, 최종접속일 21.05.02.
다만 이러한 주장은 동성애의 발생 원인이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와 무관하게 비이성애에 대한 도덕적인 책임을 묻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유전적인 영향과 관계없이, “비정상은 비정상”이라는 반박은 이성애를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진 자연적인 질서로 당연히 전제한 결과로, 과학적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2)생물학적인 성별의 분리
‘정상 가족’이데올로기를 규정하는 근본적인 사상 속에는 신체적으로 남자와 여자라는 성별이 구분된다는 근거로도 뒷받침될 수 있다. 이미 ‘간성’이라는 제 3의 성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졌으며, 그것이 현대 사회에 처음 등장한 것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다는 점에서 지구에 오직 두 가지 종류의 성별만 존재한다는 근거도 받아들여지기 어렵다. 고승우, “‘남녀 창조’맹신, 이래서 안 된다”, 미디어오늘, 최종접속일 21.05.02.
Ⅲ.결론
전통적인 시각에 따르면 대부분 이성을 향한 성적 지향인 이성애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 가치관, 제도가 지배적이었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드러나고 있다. 성적 지향은 후천적으로 개인이 영향을 받거나 선택하는 것이 아니며, 비정상이 아니라는 논리적인 연구 결과가 뒷받침되면서 이러한 논의는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향연」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사랑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과 같이 현대 사회에서도 사랑에 대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지만, 사랑이 아름다움을 향한 영속적인 추구라는 가치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플라톤의 「향연」에서 소크라테스가 주장하는 바와 같다.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존중하기 위해서 다양한 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단편적인 예시로, 일부 국가의 경우 동성애에 대한 합법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종교적인 이유나 국가적인 차원에서 아직 동성애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각을 극복하고 성적 지향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하고자 할 때 비로소 플라톤의 「향연」에서 추구하고 있는 사랑의 방향과 맞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나영,and 백조연. \"<성과학연구협회>를 중심으로 본 ‘개신교’ 동성애 ‘혐오담론’.\" 여성학연구 27.1 (2017): 67-10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61de5b6a6bbd9faed18150b21a227875
이소영(So Young Lee). \"동성애혼인에 대한 법적 개업의 딜레마와 가족이데올로기 해체.\" 법철학연구 10.1 (2007): 375-404.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7a7a462c5ef4d54b7998d826d417196
고승우, “성 정체성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프레시안, 최종접속일 21.05.01.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93079#0DKU
고승우, “‘남녀 창조’맹신, 이래서 안 된다”, 미디어오늘, 최종접속일 21.05.02.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130
길원평, “동성애 행위 끊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정한 사랑”, 기독일보, 최종접속일 21.05.02.
추천자료
에세이란 무엇인가
사회복지 전공자로써 아래의 추천도서를 읽고 느낀 점에 대해 에세이를 작성합니다(부유해진 ...
사회복지 전공자로써 아래의 추천도서를 읽고 느낀 점에 대해 에세이를 작성합니다.(빈곤의 ...
사회복지 전공자로써 아래의 추천도서를 읽고 느낀 점에 대해 에세이를 작성합니다.(이타적 ...
정신분석이론을 바탕으로 소설과 에세이를 집필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소설가인 김형경의 ...
에세이 ) 향연을 읽고 논문 비슷한 에세이 작성
에세이 ) 플라톤의 향연(강철웅 옮김, 아카넷)을 읽고 에세이 쓰기
향연(플라톤)을 읽고 에세이 작성 ) 꼭 주제는 책 내용과 연결되는 현실문제를 주제로 정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