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제음성기호(IP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5점]
2. “대구”를 Taegu와 Daegu 둘 중 어떤 것으로 표기하는 것이 더 적절한지 논하시오. [10점]
3. Christmas를 [크리스마스]와 같이 발음하면 영미 화자들이 쉽게 알아듣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논하시오. [10점]
4. 혼성어, 두음절어를 각각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설명하시오. [5점]
5. 한국어에는 어순을 바꾸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교과서에 없는 예문과 함께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교과서 예문을 적절히 변형해도 됨.) [5점]
6. 뇌의 편재화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5점]
7. William Labov의 <뉴욕시 백화점 r음의 계층분화>가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2. “대구”를 Taegu와 Daegu 둘 중 어떤 것으로 표기하는 것이 더 적절한지 논하시오. [10점]
3. Christmas를 [크리스마스]와 같이 발음하면 영미 화자들이 쉽게 알아듣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논하시오. [10점]
4. 혼성어, 두음절어를 각각 교재에 없는 예와 함께 설명하시오. [5점]
5. 한국어에는 어순을 바꾸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교과서에 없는 예문과 함께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교과서 예문을 적절히 변형해도 됨.) [5점]
6. 뇌의 편재화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5점]
7. William Labov의 <뉴욕시 백화점 r음의 계층분화>가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5점]
본문내용
비강조식 등의 사회적 변항을 포함했다.
조사 결과, 상급인 Saks Fifth Avenue 백화점에서의 ‘r’음 발음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중급의 Macy’s, 마지막으로 하급의 S.Klein 순으로 나타나, 각 백화점을 찾는 고객층의 경제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계층별로 나타난 통계 결과를 보면 빈곤층보다 부유층이, 흑인보다 백인이, 남성보다 여성이, 직위가 낮은 사람보다 직위가 높은 사람이 ‘r’ 음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피진’은 두 가지 종류의 다른 언어가 빈번하게 접촉한 지역에서 이들 언어가 잡탕이 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피진’은 사회에서 통용되는 범위에 제한이 있어서 대부분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교류가 필요한 장소에서만 사용하고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 내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피진’은 실질적인 수요에 의하여 생겨난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매우 실용적이다.
오늘날 다른 ‘피진’을 보면, 대부분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이후 유럽인들이 세계 각지에서 통상과 세력을 확대한 결과 생겨난 것들이다. 유럽인들이 현지 주민들과 교류할 때 화려한 미사여구나 엄밀한 문법 따위는 무시하고 서로 말하는 내용을 알아듣기 위하여 쌍방에게 소통에 필요한 최소한의 표현을 요구한 것이다. 이렇게 토착 언어 속에 유럽 언어의 요소가 점점 스며 들어가 문법 구조와 단어 사용 용법이 지극히 간단한 언어가 되었다.
‘피진’은 식민지와 반식민지의 산물로 이것의 형성은 일방적으로 진행된 측면이 있다. 이것은 토착 주민들이 유럽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그들의 기층 언어는 토착 언어다. 유럽 언어를 기층 언어로 하는 ‘피진’은 결코 생겨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하이의 ‘피진’ 영어에서는 ‘책 세 권’을 ‘three piece[pisi] book’이라 한다. 이것은 중국어를 기층 언어로 한 표현 형식이다. 말의 순서가 중국어와 정확하게 일치하며, 중국어에 있는 양사인 ‘piece (本)’가 있고, 명사에는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복수 없이 ‘book (書)’을 사용하였으며, 상하이말에 [pi:s]와 같은 음절이 없으므로 ‘piece’를 [pisi]라 발음한 것이다.
‘크레올’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언어가 장기간 접촉하고 교배하여 결국 새로운 제3의 언어가 만들어진 것이다. 예를 들어, 카리브 해안에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아이티어는 프랑스어와 현지 토착 언어의 교배로 생겨난 것이며 중국의 우둔 말은 티벳어와 현지 중국어 방언이 섞여 생겨난 것이다.
‘크레올’은 ‘피진’과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첫째, ‘크레올’은 사회 전체에서 사용되지만 가정에서도 사용된다. ‘피진’은 사회의 모든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아니므로 이것을 필요로 하는 몇몇 교류 장소에서만 사용된다. 가정에서는 집주인과 하인의 모국어가 다를 경우에만 사용하였다. 둘째, ‘크레올’은 누군가의 모국어일 수 있으나 ‘피진’은 모국어가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 가운데 배우게 되는 새로운 언어이므로 다음 세대에 전승되지 않는다. 셋째, ‘크레올’은 내부적으로 완전한 음운, 단어, 문법 규칙이 있지만 ‘피진’은 그렇지 않다. 넷째, 어떤 ‘크레올’은 ‘피진’에서 발전한 것으로, 아이티어도 초기에는 일종의 ‘피진’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모든 ‘피진’이 ‘크레올’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피진’은 주로 식민지와 반식민지 문화가 중단되거나 쇠락하면 사라지는 것으로, 중국의 양징방 영어가 그 예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동우 변지원 안미연 윤홍옥 최문홍, 『인간과 언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조사 결과, 상급인 Saks Fifth Avenue 백화점에서의 ‘r’음 발음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중급의 Macy’s, 마지막으로 하급의 S.Klein 순으로 나타나, 각 백화점을 찾는 고객층의 경제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계층별로 나타난 통계 결과를 보면 빈곤층보다 부유층이, 흑인보다 백인이, 남성보다 여성이, 직위가 낮은 사람보다 직위가 높은 사람이 ‘r’ 음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8. ‘피진’과 ‘크레욜’이 무엇인지 논하시오.
‘피진’은 두 가지 종류의 다른 언어가 빈번하게 접촉한 지역에서 이들 언어가 잡탕이 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피진’은 사회에서 통용되는 범위에 제한이 있어서 대부분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교류가 필요한 장소에서만 사용하고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 내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피진’은 실질적인 수요에 의하여 생겨난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매우 실용적이다.
오늘날 다른 ‘피진’을 보면, 대부분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이후 유럽인들이 세계 각지에서 통상과 세력을 확대한 결과 생겨난 것들이다. 유럽인들이 현지 주민들과 교류할 때 화려한 미사여구나 엄밀한 문법 따위는 무시하고 서로 말하는 내용을 알아듣기 위하여 쌍방에게 소통에 필요한 최소한의 표현을 요구한 것이다. 이렇게 토착 언어 속에 유럽 언어의 요소가 점점 스며 들어가 문법 구조와 단어 사용 용법이 지극히 간단한 언어가 되었다.
‘피진’은 식민지와 반식민지의 산물로 이것의 형성은 일방적으로 진행된 측면이 있다. 이것은 토착 주민들이 유럽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그들의 기층 언어는 토착 언어다. 유럽 언어를 기층 언어로 하는 ‘피진’은 결코 생겨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하이의 ‘피진’ 영어에서는 ‘책 세 권’을 ‘three piece[pisi] book’이라 한다. 이것은 중국어를 기층 언어로 한 표현 형식이다. 말의 순서가 중국어와 정확하게 일치하며, 중국어에 있는 양사인 ‘piece (本)’가 있고, 명사에는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복수 없이 ‘book (書)’을 사용하였으며, 상하이말에 [pi:s]와 같은 음절이 없으므로 ‘piece’를 [pisi]라 발음한 것이다.
‘크레올’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언어가 장기간 접촉하고 교배하여 결국 새로운 제3의 언어가 만들어진 것이다. 예를 들어, 카리브 해안에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아이티어는 프랑스어와 현지 토착 언어의 교배로 생겨난 것이며 중국의 우둔 말은 티벳어와 현지 중국어 방언이 섞여 생겨난 것이다.
‘크레올’은 ‘피진’과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첫째, ‘크레올’은 사회 전체에서 사용되지만 가정에서도 사용된다. ‘피진’은 사회의 모든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아니므로 이것을 필요로 하는 몇몇 교류 장소에서만 사용된다. 가정에서는 집주인과 하인의 모국어가 다를 경우에만 사용하였다. 둘째, ‘크레올’은 누군가의 모국어일 수 있으나 ‘피진’은 모국어가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 가운데 배우게 되는 새로운 언어이므로 다음 세대에 전승되지 않는다. 셋째, ‘크레올’은 내부적으로 완전한 음운, 단어, 문법 규칙이 있지만 ‘피진’은 그렇지 않다. 넷째, 어떤 ‘크레올’은 ‘피진’에서 발전한 것으로, 아이티어도 초기에는 일종의 ‘피진’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모든 ‘피진’이 ‘크레올’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피진’은 주로 식민지와 반식민지 문화가 중단되거나 쇠락하면 사라지는 것으로, 중국의 양징방 영어가 그 예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동우 변지원 안미연 윤홍옥 최문홍, 『인간과 언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추천자료
성경과 영문학과의 관련성
[뉴질랜드][뉴질랜드문화][뉴질랜드의 문화][뉴질랜드 풍습][가볼 만한 여행지][관광지]뉴질...
[영어교육][영어리듬][노래활용][억양][발음]영어교육의 필요성, 영어교육의 동향, 영어교육...
각 나라별 화자들의 한국어 발음 오류,(중국,일본,영어,베트남 )발음 습관,한국어 학습시 발...
0215영어설교-Christmas Lightst크리스마스불빛-초등부
인간과언어
방송대_21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인간과언어(공통)
인간과언어 ) 1 국제음성기호(IPA)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인간과언어 ) Christmas를 크리스마스와 같이 발음하면 영미 화자들이 쉽게 알아듣지 못하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