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문조사 자료화 중 원자료 처리 단계에 관해 설명하시오. (10점)
2. 분석용 자료 처리 중 결측값 처리에 관해 설명하고, 예시를 제시하시오. (10점)
3. 순수 실험 설계와 유사 실험 설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0점)
4.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설명하시오. (10점)
5. 근거기반 의사결정에 관해 설명하시오. (10점)
6. 인간대상 연구의 윤리 이슈가 제기되었던 역사적 사건을 제시하시오. (10점)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2. 분석용 자료 처리 중 결측값 처리에 관해 설명하고, 예시를 제시하시오. (10점)
3. 순수 실험 설계와 유사 실험 설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0점)
4.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설명하시오. (10점)
5. 근거기반 의사결정에 관해 설명하시오. (10점)
6. 인간대상 연구의 윤리 이슈가 제기되었던 역사적 사건을 제시하시오. (10점)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본문내용
그를 이 실험에서 빼내려고 했지만 연구자인 짐바르도 교수는 그를 저지한 바 있다. 더하여 실험을 중단하고 감옥에서 나가겠다는 실험자들의 요구가 거부되기도 했는데, ‘의료적 혹은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만 나갈 수 있다’는 실험의 지시사항은 실험자들의 상태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비윤리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도관 역할을 맡은 실험자의 가혹행위는 짐바르도 교수의 지시에 의한 행위였으며, 실험 조교는 실험 과정에서 무르게 행동하는 교도관들의 태도를 교정하기까지 했다. (필립 짐바르도, 루시퍼 이펙트 : 무엇이 선량한 사람을 악하게 만드는가, 웅진지식하우스 2007) (“\'마시멜로와 감옥실험\' 스탠퍼드 심리학 실험은 틀렸다”, NEWSTOF 2018.07.11)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윤혜경·이은지·허예림·박나연·고영림, 손소독제 사용 실태 조사 및 성분 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6, 2020>
에틸알코올을 주성분으로 만들어지는 손세정제는 그 사용과 관련된 문제들 및 여러 피해 사례를 낳고 있다. 이 연구는 손세정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용 행태와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손세정제의 성분 라벨에 기재된 화학 성분을 확인하였다. 조사 방법은 대학생을 비롯한 성인 14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채택하였고, 서른네 종류의 손세정제에 표시된 성분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7%가 하루 2-3회 손세정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92.3%는 공공장소에서 41.3%는 집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34개의 검체 중 메탄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33개 검체에서 검출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손세정제는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COVID19의 발발 이후 매일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표시된 내용물에 포함되지 않은 메탄올이 물티슈에 비해 상당히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손세정제 제조 기준 유지와 사용방법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RISS에 ‘환경보건’을 검색하여 이 이름을 가진 학술지가 있는지 확인하고, 한국환경보건학회지를 선택하여 최근 연구 가운데 우리의 일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코로나 사태와 연결지어 수행된 연구를 채택하였다. KCI에 등재되어 해당 홈페이지를 통해 원문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남종호 역, 심리학 연구방법, 시그마프레스 2006
·필립 짐바르도, 루시퍼 이펙트 : 무엇이 선량한 사람을 악하게 만드는가, 웅진지식하우스 2007
·김춘경, 상담학 사전, 학지사 2016
·“\'마시멜로와 감옥실험\' 스탠퍼드 심리학 실험은 틀렸다”, NEWSTOF 2018.07.11.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829
·윤혜경·이은지·허예림·박나연·고영림, 손소독제 사용 실태 조사 및 성분 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6, 2020
http://www.riss.kr/link?id=A107183328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윤혜경·이은지·허예림·박나연·고영림, 손소독제 사용 실태 조사 및 성분 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6, 2020>
에틸알코올을 주성분으로 만들어지는 손세정제는 그 사용과 관련된 문제들 및 여러 피해 사례를 낳고 있다. 이 연구는 손세정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용 행태와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손세정제의 성분 라벨에 기재된 화학 성분을 확인하였다. 조사 방법은 대학생을 비롯한 성인 14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채택하였고, 서른네 종류의 손세정제에 표시된 성분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7%가 하루 2-3회 손세정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92.3%는 공공장소에서 41.3%는 집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34개의 검체 중 메탄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이 33개 검체에서 검출되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손세정제는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COVID19의 발발 이후 매일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표시된 내용물에 포함되지 않은 메탄올이 물티슈에 비해 상당히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손세정제 제조 기준 유지와 사용방법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RISS에 ‘환경보건’을 검색하여 이 이름을 가진 학술지가 있는지 확인하고, 한국환경보건학회지를 선택하여 최근 연구 가운데 우리의 일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코로나 사태와 연결지어 수행된 연구를 채택하였다. KCI에 등재되어 해당 홈페이지를 통해 원문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남종호 역, 심리학 연구방법, 시그마프레스 2006
·필립 짐바르도, 루시퍼 이펙트 : 무엇이 선량한 사람을 악하게 만드는가, 웅진지식하우스 2007
·김춘경, 상담학 사전, 학지사 2016
·“\'마시멜로와 감옥실험\' 스탠퍼드 심리학 실험은 틀렸다”, NEWSTOF 2018.07.11.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829
·윤혜경·이은지·허예림·박나연·고영림, 손소독제 사용 실태 조사 및 성분 분석,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6, 2020
http://www.riss.kr/link?id=A107183328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직 재정관리의 개념 목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전통적 예산의 원칙과 현대적 예산...
사회복지실천가에게 요구되는 과학성과 예술성을 설명하고,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습자로...
2021년 1학기 조사방법론 기말시험 과제물(설문조사 자료화 중 원자료 처리 단계 등)
조사방법론
2021년 기말과제물 조사방법론
조사방법론 ) 1 설문조사 자료화 중 원자료 처리 단계에 관해 설명하시오
조사방법론 ) 1 설문조사 자료화 중 원자료 처리 단계에 관해 설명하시오
조사방법론 ) 설문조사 자료화 중 원자료 처리 단계에 관해 설명하시오
조사방법론 ) 순수 실험 설계와 유사 실험 설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