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문조사 자료화 중 원자료 처리 단계에 관해 설명하시오. (10점)
2. 분석용 자료 처리 중 결측값 처리에 관해 설명하고, 예시를 제시하시오. (10점)
3. 순수 실험 설계와 유사 실험 설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0점)
4.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설명하시오. (10점)
5. 근거기반 의사결정에 관해 설명하시오. (10점)
6. 인간대상 연구의 윤리 이슈가 제기되었던 역사적 사건을 제시하시오. (10점)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8. 참고자료
2. 분석용 자료 처리 중 결측값 처리에 관해 설명하고, 예시를 제시하시오. (10점)
3. 순수 실험 설계와 유사 실험 설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0점)
4.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설명하시오. (10점)
5. 근거기반 의사결정에 관해 설명하시오. (10점)
6. 인간대상 연구의 윤리 이슈가 제기되었던 역사적 사건을 제시하시오. (10점)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8. 참고자료
본문내용
예시로 들어 보겠다. 대표적 예로 뉘른베르크 강령이 있겠다. 이는 제 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의사와 과학자들이 포로 즉, 실험대상자들에게 큰 고통을 주는 실험을 하였다. 인체실험을 했던 의사나 과학자들에 대한 비판과 반성을 통해 만들어진 과학자의 연구윤리기준이 뉘른베르크 강령인데, 이들에 대한 전범재판 판결문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수요소를 명시하고 있다. 이후 윤리기준에 대한 지침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관련하여 역사적으로 가장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험대상이 되는 사람의 자발적인 동의는 절대 필수적이다. 실험은 다른 연구방법과 수단에 의해서는 얻을 수 없는 사회적 이익을 위해 유익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성질상 무작위로 행해지거나 불필요한 것이 어서는 아니 된다. 실험은 그로 인하여 기대되는 결과가 당해 실험의 실행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동물 실험의 결과와 연구대상이 되는 질병의 자연발생사 및 기타 문제에 관한 지식에 근거하여 계획해야 한다. 실험을 할 때는 모든 불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침해를 피해야 한다. 사망 또는 불구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리라고 추측할 만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실험을 행할 수 없다. 단, 실험을 하는 의료진도 그 대상이 되는 실험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실험으로 인하여 감수해야 하는 위험의 정도나 그로 인하여 해결되는 문제의 인도주의적 중요성 정도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해, 불구, 사망의 어떠한 일말의 가능성으로부터 실험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준비와 적당한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실험은 과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자에 의해서만 행해져야 한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실험 대상자는 실험의 계속이 불가능하다고 보이는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이르게 된 경우 실험을 자유로이 종료 시킬 수 있어야 한다. 실험 대상자에게 상해, 장애 또는 죽음을 야기하리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단계에서든 실험을 중지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를 찾아서 여기에 기술한다. 제목은 「정신보건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인권」이며 핵심 내용은 정신장애인과 그들에 대한 인권침해 사례에 대해 논하고 있는데, 좁은 환경인 정신과시설 이외에 지역사회와 정신과시설 가족의 세 가지 체계 내에서의 인권침해가 어떻게 맞물려 있으며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며 환경을 개선하고 정신장애인들의 인권을 보호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찾은 과정은 학교의 인터넷 도서관 데이터베이스 및 Google의 학술검색 엔진을 사용하였으며, 몇 가지 키워드를 통하여 위 논문을 발견하고 열람할 수 있었다.
8. 참고자료
김춘경 외 4명(2016. 01. 15.), 『상담학 사전』, 학지사
서미경 (2005). 정신보건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인권. 비판사회정책(20), 89-117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험대상이 되는 사람의 자발적인 동의는 절대 필수적이다. 실험은 다른 연구방법과 수단에 의해서는 얻을 수 없는 사회적 이익을 위해 유익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성질상 무작위로 행해지거나 불필요한 것이 어서는 아니 된다. 실험은 그로 인하여 기대되는 결과가 당해 실험의 실행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동물 실험의 결과와 연구대상이 되는 질병의 자연발생사 및 기타 문제에 관한 지식에 근거하여 계획해야 한다. 실험을 할 때는 모든 불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침해를 피해야 한다. 사망 또는 불구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리라고 추측할 만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실험을 행할 수 없다. 단, 실험을 하는 의료진도 그 대상이 되는 실험의 경우는 예외로 한다. 실험으로 인하여 감수해야 하는 위험의 정도나 그로 인하여 해결되는 문제의 인도주의적 중요성 정도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해, 불구, 사망의 어떠한 일말의 가능성으로부터 실험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준비와 적당한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실험은 과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자에 의해서만 행해져야 한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실험 대상자는 실험의 계속이 불가능하다고 보이는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이르게 된 경우 실험을 자유로이 종료 시킬 수 있어야 한다. 실험 대상자에게 상해, 장애 또는 죽음을 야기하리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단계에서든 실험을 중지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7.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 1건을 학술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찾아서 논문 제목과 핵심 내용을 제시하고, 찾은 과정을 기술하시오. (10점)
보건환경분야 연구사례를 찾아서 여기에 기술한다. 제목은 「정신보건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인권」이며 핵심 내용은 정신장애인과 그들에 대한 인권침해 사례에 대해 논하고 있는데, 좁은 환경인 정신과시설 이외에 지역사회와 정신과시설 가족의 세 가지 체계 내에서의 인권침해가 어떻게 맞물려 있으며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하며 환경을 개선하고 정신장애인들의 인권을 보호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찾은 과정은 학교의 인터넷 도서관 데이터베이스 및 Google의 학술검색 엔진을 사용하였으며, 몇 가지 키워드를 통하여 위 논문을 발견하고 열람할 수 있었다.
8. 참고자료
김춘경 외 4명(2016. 01. 15.), 『상담학 사전』, 학지사
서미경 (2005). 정신보건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인권. 비판사회정책(20), 89-1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