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컴퓨터 기억장치 계층구조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2.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기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 중 유용한 기능을 세 가지 조사하여 용도, 사용법, 유용성을 설명하시오.
3. 데이터 교환 방식에 대해서 교환 방식의 종류 및 각 교환 방식의 장단점 등을 포함하여 정리하시오.
4. 무인자동차가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해 조사하여 논리적으로 작성하시오.
<출처 및 참고자료>
2.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기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 중 유용한 기능을 세 가지 조사하여 용도, 사용법, 유용성을 설명하시오.
3. 데이터 교환 방식에 대해서 교환 방식의 종류 및 각 교환 방식의 장단점 등을 포함하여 정리하시오.
4. 무인자동차가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해 조사하여 논리적으로 작성하시오.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며 송수신이 끝난 패킷은 소멸된다.
④ 가상회선방식
가상회선방식은 물리적이지 않은 논리적인 회선을 사전에 수립하여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방식을 말한다. 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동일하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
⑤ 데이터그램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마다 서로 다른 회선으로 이동하는 방식인데 이때 도착순서가 서로 다르므로 패킷은 순서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도착지에서 순서를 정리하게 된다.
패킷 전송에 있어서 융통성이 있으나 너무 많은 양의 패킷을 보내는 데는 부적절하다.
⑥ 메시지 교환 방식
메시지 교환은 교환기가 메시지를 받은 뒤 저장했다가 순서가 되면 보내는 방식이다.
메시지마다 전송 경로가 설정되며 주소에 따라 이동한다.
이 방식은 지연 시간이 길기 때문에 대화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지만 저장기능을 활용하여 교환기의 상태에 따라 송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같은 내용의 정보를 다중 발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무인자동차가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해 조사하여 논리적으로 작성하시오.
무인자동차는 사람의 지시나 의도적인 조작이 없이 스스로 도로 및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판단하며 주행하는 자동차로써 목적지에 도달할 때 까지 다양한 통신 및 전자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무인자동차는 단순히 장애물이나 교통 정보를 파악하는 것 외에도 사각지대를 확인하고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정보 교환이 반드시 필요하다.
① DSRC
DSRC는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의 약자로 미국에서 개발된 근거리 전용 통신 기술을 말한다.
이 기술은 노변의 기지국과 차량사이 100m 이내에서 1Mbps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요금 징수나 교통량을 수집하는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속도로 톨 게이트에서 활용되는 요금지불방식인 하이패스나 버스 정보 서비스의 경우 이 방식의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무인자동차의 경우에도 무정차 자동 요금 지불 및 교통량을 확인하기 위해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이미 상당히 상용화되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통신에 비해 속도가 느리지만 보편적인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② WAVE
WAVE는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의 두문자로써 차량용 무선고속통신 기술을 말한다.
WAVE는 160Km/h 이상의 속도로 달리는 상황에서 차량 간 통신과 차량과 인프라 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WAVE를 활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 도로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WAVE기술로 통신하는 차량들은 상호 정보 교환 및 감지를 통해 도로상황이나 위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추돌이나 접촉을 방지하는 예방주행을 할 수 있다.
또한 무정차기반 자동요금지불이나 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WAVE는 IEEE의 통신 규격을 사용한다. IEEE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를 일컫는 말로 이곳에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규격을 제안하고 있다. IEEE 802.11은 무선 LAN의 통신 규격을 규정한 것이며 무인자동차 시스템에 있어서는 IEEE 802.11a를 활용할 수 있으며 WAVE는 IEEE 802.11p 규격을 사용하여 V2X기술에 기여한다.
이 기술은 이동하는 차량이 도로의 정보를 수신할 때 로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장소가 달라져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③ 5G
5G는 5세대 통신기술을 말한다. 초고속 통신으로 현재 핸드폰에도 상용화되고 있는 이 통신기술은 3.5GHz와 28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여러 지역을 소화하며 10Gpbs가 넘는 속도를 보여준다.
5G는 5GAA에서 표준을 제정하는 등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데 5G 및 LTE V2X의 상용을 위한 관련 업체들의 연합 기관이다.
현재 나와 있는 여러 가지 통신 기술 중 현재 가장 각광받고 추진되는 기술로써 5G통신의 가장 큰 특징은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이다. 이때 초고속은 빠른 전송 속도를 말하며 초연결은 다수의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초저지연은 낮은 전송 지연 시간을 말하는 것이다.
이때 지연시간은 쌍방향 통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건 중 하나로 반응 속도와 직결되는 요소이다. 지연시간이 거의 없는 통신 기술은 순간적인 위협이나 돌발적인 상황에 있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각적인 인지 속도가 50밀리초인데 5G의 경우 2밀리초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부분에서 빠른 통신 속도로 필요한 정보를 유용하게 주고받을 수 있지만 특히 안전을 위한 차량의 자동 감지 및 반응 기술에 유용하다.
또한 초연결은 수많은 기기를 한 번에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1킬로미터 내에서 백만 대의 기기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것은 연결의 안전성을 위해 필요한데 이미 사물인터넷의 개념이 보편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거의 모든 사물과 기기가 서로 통신하는 양방향 소통이 시작되고 있다. 이때 수많은 기기가 한꺼번에 접속하게 되면 연결에 혼선이 생기고 간섭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5G는 이러한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현재의 가장 이상적인 대안으로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트래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차량이 다수 밀집해 있는 환경이나 차량 외에 수많은 통신 연결 포인트를 확보하고 있는 공간을 지나갈 때에도 차량은 주행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모든 사물과 네트워크를 이루어 통신하고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자료>
디지털이 꿈꾸는 미래, ETRI성과홍보실, 콘텐츠 하다, 2018
무인자동차 시스템 개발을 위한 IEEE 802.11a 기술분석 및 연구, 김영혁 외,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09
무인자동차 시스템 개발을 위한 IEEE 802.11a 기술분석 및 연구, 김준식 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④ 가상회선방식
가상회선방식은 물리적이지 않은 논리적인 회선을 사전에 수립하여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방식을 말한다. 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동일하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
⑤ 데이터그램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마다 서로 다른 회선으로 이동하는 방식인데 이때 도착순서가 서로 다르므로 패킷은 순서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도착지에서 순서를 정리하게 된다.
패킷 전송에 있어서 융통성이 있으나 너무 많은 양의 패킷을 보내는 데는 부적절하다.
⑥ 메시지 교환 방식
메시지 교환은 교환기가 메시지를 받은 뒤 저장했다가 순서가 되면 보내는 방식이다.
메시지마다 전송 경로가 설정되며 주소에 따라 이동한다.
이 방식은 지연 시간이 길기 때문에 대화형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지만 저장기능을 활용하여 교환기의 상태에 따라 송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같은 내용의 정보를 다중 발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무인자동차가 안전하게 운행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통신기술에 대해 조사하여 논리적으로 작성하시오.
무인자동차는 사람의 지시나 의도적인 조작이 없이 스스로 도로 및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판단하며 주행하는 자동차로써 목적지에 도달할 때 까지 다양한 통신 및 전자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무인자동차는 단순히 장애물이나 교통 정보를 파악하는 것 외에도 사각지대를 확인하고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정보 교환이 반드시 필요하다.
① DSRC
DSRC는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의 약자로 미국에서 개발된 근거리 전용 통신 기술을 말한다.
이 기술은 노변의 기지국과 차량사이 100m 이내에서 1Mbps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요금 징수나 교통량을 수집하는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속도로 톨 게이트에서 활용되는 요금지불방식인 하이패스나 버스 정보 서비스의 경우 이 방식의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무인자동차의 경우에도 무정차 자동 요금 지불 및 교통량을 확인하기 위해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이미 상당히 상용화되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통신에 비해 속도가 느리지만 보편적인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② WAVE
WAVE는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의 두문자로써 차량용 무선고속통신 기술을 말한다.
WAVE는 160Km/h 이상의 속도로 달리는 상황에서 차량 간 통신과 차량과 인프라 통신을 지원하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WAVE를 활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 도로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WAVE기술로 통신하는 차량들은 상호 정보 교환 및 감지를 통해 도로상황이나 위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추돌이나 접촉을 방지하는 예방주행을 할 수 있다.
또한 무정차기반 자동요금지불이나 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WAVE는 IEEE의 통신 규격을 사용한다. IEEE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를 일컫는 말로 이곳에서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규격을 제안하고 있다. IEEE 802.11은 무선 LAN의 통신 규격을 규정한 것이며 무인자동차 시스템에 있어서는 IEEE 802.11a를 활용할 수 있으며 WAVE는 IEEE 802.11p 규격을 사용하여 V2X기술에 기여한다.
이 기술은 이동하는 차량이 도로의 정보를 수신할 때 로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장소가 달라져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③ 5G
5G는 5세대 통신기술을 말한다. 초고속 통신으로 현재 핸드폰에도 상용화되고 있는 이 통신기술은 3.5GHz와 28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여러 지역을 소화하며 10Gpbs가 넘는 속도를 보여준다.
5G는 5GAA에서 표준을 제정하는 등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데 5G 및 LTE V2X의 상용을 위한 관련 업체들의 연합 기관이다.
현재 나와 있는 여러 가지 통신 기술 중 현재 가장 각광받고 추진되는 기술로써 5G통신의 가장 큰 특징은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이다. 이때 초고속은 빠른 전송 속도를 말하며 초연결은 다수의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초저지연은 낮은 전송 지연 시간을 말하는 것이다.
이때 지연시간은 쌍방향 통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건 중 하나로 반응 속도와 직결되는 요소이다. 지연시간이 거의 없는 통신 기술은 순간적인 위협이나 돌발적인 상황에 있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각적인 인지 속도가 50밀리초인데 5G의 경우 2밀리초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부분에서 빠른 통신 속도로 필요한 정보를 유용하게 주고받을 수 있지만 특히 안전을 위한 차량의 자동 감지 및 반응 기술에 유용하다.
또한 초연결은 수많은 기기를 한 번에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1킬로미터 내에서 백만 대의 기기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것은 연결의 안전성을 위해 필요한데 이미 사물인터넷의 개념이 보편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거의 모든 사물과 기기가 서로 통신하는 양방향 소통이 시작되고 있다. 이때 수많은 기기가 한꺼번에 접속하게 되면 연결에 혼선이 생기고 간섭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5G는 이러한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현재의 가장 이상적인 대안으로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트래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차량이 다수 밀집해 있는 환경이나 차량 외에 수많은 통신 연결 포인트를 확보하고 있는 공간을 지나갈 때에도 차량은 주행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모든 사물과 네트워크를 이루어 통신하고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안전한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자료>
디지털이 꿈꾸는 미래, ETRI성과홍보실, 콘텐츠 하다, 2018
무인자동차 시스템 개발을 위한 IEEE 802.11a 기술분석 및 연구, 김영혁 외,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09
무인자동차 시스템 개발을 위한 IEEE 802.11a 기술분석 및 연구, 김준식 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추천자료
[컴퓨터의 이해 1학년 공통] 1. 컴퓨터 기억장치 계층구조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컴퓨터의이해
[컴퓨터의이해 2021년 기말] 1. 컴퓨터 기억장치 계층구조의 개념 2. 운영체제 기능 3. 데이...
[컴퓨터의이해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1. 컴퓨터 기억장치 계층구조의 개념 2. 운영체제 기...
컴퓨터의이해 )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기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2컴퓨터의이해 ) 데이터 교환 방식에 대해서 교환 방식의 종류 및 각 교환 방식의 장단점 등...
컴퓨터의이해 ) 데이터 교환 방식에 대해서 교환 방식의 종류 및 각 교환 방식의 장단점 등을...
컴퓨터의이해 ) 데이터 교환 방식에 대해서 교환 방식의 종류 및 각 교환 방식의 장단점 등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