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거시경제
- 국민소득의 측정
- 생산과 성장
- 저축, 투자와 금융제도
- 실업
-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2) 미시경제
- 시장의 수요와 공급
- 외부효과
- 생산비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거시경제
- 국민소득의 측정
- 생산과 성장
- 저축, 투자와 금융제도
- 실업
-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2) 미시경제
- 시장의 수요와 공급
- 외부효과
- 생산비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다.
- 외부효과
외부효과는 한 사람의 행위가 제 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에 대한 보상을 하지도, 받지도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제 3자에게 경제적 후생 수준을 낮추는 외부효과를 부정적 외부효과라고 하고, 그 반대의 경우 긍정적 외부효과라고 한다. 외부효과가 존재할 경우 기본적으로 시장이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배분한다. 정부는 어떠한 행위를 의무화하거나 금지하여 외부효과 문제를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는 코로나19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인원 제한, 백신 접종 등 규제 수단을 강행한다. 이를 통해 국민은 자신이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제 3자에게 전염시킬 수 있는 동기를 차단하거나, 백신을 통해 자체적으로 항체를 생성하여 제 3자로부터 코로나19에 대해 보호할 수 있다. 즉, 코로나19에 의한 외부효과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외부효과가 있겠으나, 부정적인 요인이 크기 때문에 정부는 다양한 공공정책을 통해 외부효과를 차단하려는 것이다.
- 생산비용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제적인 타격을 받았다. 감염병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정부의 규제 및 코로나19 자체에 대한 두려움 등이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을 위축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은 줄어든 총수입에 대하여 이윤을 지키기 위해 총비용을 줄이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다시, 여기서 말하는 기업의 이윤이란 기업이 생산한 재화를 판매하여 벌어들인 금액인 총수입에서 생산요소를 구입하는 데 지출한 금액인 총비용을 뺀 값이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이 있다고 하면 핸드폰을 판매하여 얻은 금액을 총수입이라고 하고, 핸드폰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유리, 금속, 반도체 등 재료값 및 운영비용을 총비용이라고 한다. 또한, 이 둘을 뺀 값이 최종적인 회사의 이윤이 되는 것이다. 기업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금액이 있어야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총수입이 줄어든 것은 그것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기업은 총수입을 늘리는 것을 잠시 미뤄두고 총비용을 줄여 이윤을 최대한으로 끌어낼 것이다. 이에 따라서, 직원을 정리해고 한다든지, 재료값을 줄인다든지 하는 선택을 할 것이다.
3. 결론
코로나19사태 이후 우리는 금융위기나 전쟁과도 같은 경제적 타격을 받았다. 학생들의 학력저하, 기업의 매출 감소, 실업자 증가, 물가상승 및 인플레이션과 같은 경제적 현상들을 몸소 체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현상들은 경제학적인 개념과 분석도구로 인해 분석이 가능했다. 거시경제로 시작하여 코로나 19의 GDP감소 및 경제성장률 감소를 GDP로 나타내는 국민소득의 측정으로 분석하고, 시장의 수요와 공급, 외부효과와 생산비용 등 미시경제의 개념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현상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코로나19가 경기에 미친 영향은 크고 여러 가지 경제 현상을 낳은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 사실이다. 이처럼 어떠한 경제 효과에 대해 경제학적인 개념과 분석도구로 분석을 한다면 그 어떤 경제효과도 분석하지 못할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경제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갖고 개념적인 것과 사례를 통한 이해를 하여 경제적 현상에 대한 예방책 및 해결책을 모색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영배 기자. “코로나 충격으로 줄어든 일자리 작년 한 해 46만개”. 2021-05-09 10:59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94377.html#csidx2258550099b0ad2bc105d1031bdc86a
- 외부효과
외부효과는 한 사람의 행위가 제 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에 대한 보상을 하지도, 받지도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제 3자에게 경제적 후생 수준을 낮추는 외부효과를 부정적 외부효과라고 하고, 그 반대의 경우 긍정적 외부효과라고 한다. 외부효과가 존재할 경우 기본적으로 시장이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배분한다. 정부는 어떠한 행위를 의무화하거나 금지하여 외부효과 문제를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는 코로나19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인원 제한, 백신 접종 등 규제 수단을 강행한다. 이를 통해 국민은 자신이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제 3자에게 전염시킬 수 있는 동기를 차단하거나, 백신을 통해 자체적으로 항체를 생성하여 제 3자로부터 코로나19에 대해 보호할 수 있다. 즉, 코로나19에 의한 외부효과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외부효과가 있겠으나, 부정적인 요인이 크기 때문에 정부는 다양한 공공정책을 통해 외부효과를 차단하려는 것이다.
- 생산비용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제적인 타격을 받았다. 감염병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정부의 규제 및 코로나19 자체에 대한 두려움 등이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을 위축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은 줄어든 총수입에 대하여 이윤을 지키기 위해 총비용을 줄이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다시, 여기서 말하는 기업의 이윤이란 기업이 생산한 재화를 판매하여 벌어들인 금액인 총수입에서 생산요소를 구입하는 데 지출한 금액인 총비용을 뺀 값이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기업이 있다고 하면 핸드폰을 판매하여 얻은 금액을 총수입이라고 하고, 핸드폰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유리, 금속, 반도체 등 재료값 및 운영비용을 총비용이라고 한다. 또한, 이 둘을 뺀 값이 최종적인 회사의 이윤이 되는 것이다. 기업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금액이 있어야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총수입이 줄어든 것은 그것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기업은 총수입을 늘리는 것을 잠시 미뤄두고 총비용을 줄여 이윤을 최대한으로 끌어낼 것이다. 이에 따라서, 직원을 정리해고 한다든지, 재료값을 줄인다든지 하는 선택을 할 것이다.
3. 결론
코로나19사태 이후 우리는 금융위기나 전쟁과도 같은 경제적 타격을 받았다. 학생들의 학력저하, 기업의 매출 감소, 실업자 증가, 물가상승 및 인플레이션과 같은 경제적 현상들을 몸소 체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현상들은 경제학적인 개념과 분석도구로 인해 분석이 가능했다. 거시경제로 시작하여 코로나 19의 GDP감소 및 경제성장률 감소를 GDP로 나타내는 국민소득의 측정으로 분석하고, 시장의 수요와 공급, 외부효과와 생산비용 등 미시경제의 개념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현상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코로나19가 경기에 미친 영향은 크고 여러 가지 경제 현상을 낳은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 사실이다. 이처럼 어떠한 경제 효과에 대해 경제학적인 개념과 분석도구로 분석을 한다면 그 어떤 경제효과도 분석하지 못할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경제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갖고 개념적인 것과 사례를 통한 이해를 하여 경제적 현상에 대한 예방책 및 해결책을 모색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영배 기자. “코로나 충격으로 줄어든 일자리 작년 한 해 46만개”. 2021-05-09 10:59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94377.html#csidx2258550099b0ad2bc105d1031bdc86a
추천자료
[교육과정] 교육과정개발 - 특성화 학교 만들기(영화학교)
위키노믹스
[청소년진로지도][진로교육]청소년진로지도(진로교육)의 개념과 영역, 청소년진로지도(진로교...
[대학교 중국어교육]대학교 중국어교육과 작문, 대학교 중국어교육과 단기연수, 대학교 중국...
몬테소리 일상영역
[교육평가][교과평가]국어교과교육평가(국어과교육평가), 영어교과교육평가(영어과교육평가),...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유형, 수행평가의 특징과 수행평가의 적용 시 주의사항, 수...
사회복지실습교육 지침
[ 미시경제원론 ) 관심있는 보호무역의 사례 하나를 선택하여, 수업시간에 배운 관련된 경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