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 ) 논평문 - 오늘날 과학사가 형성할 수 있는 가치와 공감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사 ) 논평문 - 오늘날 과학사가 형성할 수 있는 가치와 공감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과학사가 교육에 주는 영향
2. 과학사 및 기술사가 주는 공감대
Ⅲ. 결론

본문내용

도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언급하였다. 이봉우, 신동희,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권 5호 (2011). p.816-817.
또한, 이들은 2차 조사를 통해서 학생들이 과학사를 통해 과학 개념을 바로잡고 지식을 생성하여 발달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과학사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 과정을 익힐 수 있고, 동시에 함께 제시된 사례를 통해서 과학기술 사회를 이해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동의를 나타냈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과학사를 접목한 과학 교육이 적극적으로 시행이 되고 있지 않은 것은 대부분 인식하고 있다. 참여한 전문가 중에서 누군가는 “개인적으로 가장 큰 문제는 과학사 내용 자체에 대한 정보 부족과 과학사를 실제로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전략 및 이와 관련된 교수-학습 자료들에 대한 이해나 정보 부족이라고 생각한다. 과학사 내용 자체가 서구적인 측면이 강한 것도 동양인인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친근감이나 동기를 유발하는데 제한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언급하였다. 전문가들의 가장 높은 동의를 받은 사유는 ‘과학사 관련 자료 부재’였다. 그리고 잇따라 교사들이 과학사를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것 같다는 의견에도 높은 동의를 보였다. 같은 논문, p.819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과학사와 이에 대한 하위 유형으로 따라오는 기술사에 대한 교육은 학생들이 과학 교육을 받을 때 전체적인 과학 관점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전보다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방식임을 공감하고 연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현재 과학사를 통해 발전하는 교육 연구는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모 대학교에서는 과학사를 전공과 관계없이 ‘과학’분류가 아닌 ‘교양’으로 취급하면서 교육하고 있다. 실제로 필자는 중·고등학교부터 과학 수업을 들어오면서 과학 수업 초기 단원에는 대부분 겉핥기식의 과학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몇몇 과학 선생님들은 수업을 진행하면서 단순하게 원리와 법칙, 그에 대한 개념만 가르치고 문제 해결을 유도하는 방식이었는데 실제로 그러한 과정은 과학에 대한 과목과 분야를 지루하게 만들었고 특히 과학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면 집중을 할 수가 없기도 하였다. 하지만 글을 작성하면서 교과서 내용에 없는 과학사와 섞어가며 수업을 진행하시던 과학 선생님이 생각이 났다. 그분의 수업을 통해서 과학 수업을 재밌게 들었고 금상첨화로 시험 성적까지 좋았던 기억이 있다. 단순하게 한 법칙에 대한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 아닌 그 법칙이 만들어짐으로써 겪었던 과학자의 시행착오와 고난, 그리고 극복할 수 있었던 상황과 계기를 통해서 이전보다 더 머릿속에 깊게 남았다. 현재 과학사와 그에 대한 내용은 교육과정에서 시범 수준에 있는 정도지만 필수까지 아니더라도 과학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더 쉽고 나은 과학 교육을 위해서 과학사를 주도적으로 곁들여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과학사,   논평,   과학 ,   교육,   과정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1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