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미디어 ) 관심 있는 대중문화 콘텐츠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에 드러나는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문화미디어 ) 관심 있는 대중문화 콘텐츠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에 드러나는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애니메이션 ‘슈렉’에 드러나는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분석
2.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슈렉’을 위 프로프의 7가지 행위자로 구분해보면 슈렉은 전형적인 영웅의 임무를 수행하지만, 멋진 모습으로의 변신이 부재한다는 점에서는 디즈니의 ‘미녀와 야수’에서 야수와는 차별화된 모습으로 분석되며 피오나는 여성스러우면서도 당찬 말괄량이로 마술에 걸린 모습이 미녀이지만 원래의 모습은 추녀라는 점이 애니메이션의 전형성에서 일탈적 모습을 보이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운명을 받아들이고 선택받아야 하는 수동적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에서 ‘변형된 미녀’라고 볼 수 있다. 전형적인 ‘악한’인 파콰드는 영웅에게 임무를 부여한다는 점과 군중들을 선동하여 영웅을 누르고 왕이 되려 한다는 점에서 ‘파견자’와 ‘가짜영웅’의 역할도 보여주고 있으며, 덩키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며 영웅이 힘든 과업을 달성하도록 도움을 준다. ‘슈렉’에서는 프로프의 7가지 행위자 유형 중 영웅에게 마술적 도구를 제공하는 ‘기부자’의 존재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유형이 모두 잘 보인다.
줄거리를 통해 살펴보면, ‘악인’인 파콰드와 담판을 지으러 떠나는 슈렉에게 동화 속 인물들이 빨간 가운을 걸쳐 줌으로써 ‘영웅’으로 인정받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의 몸을 던져 피오나와 덩키를 구출하는 모습은 전형적인 영웅의 이미지를 그리고 있다. 파콰드는 전형적인 악인으로 피오나가 마법에 풀려 추녀로 변하자 그녀를 혐오하고 왕위만을 빼앗으려 비열한 태도를 보이지만 최후에는 용에게 잡아먹혀 응징을 받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피오나의 경우 멋지고 용감한 왕자가 자신을 구하고 사랑의 키스로 마법을 풀어줄 것을 기대하는 수동적인 여성의 이미지를 그리고 있으며, 결국, 기존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부류의 인물 범주에서 용감한 남성과 수동적인 여성의 결혼이야기라는 기본적인 이야기 골격에서는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슈렉’은 관람 고객층의 확대를 위해서 여러 영화의 명장면들을 패러디하여 성인들의 공감과 웃음을 끌어내려 노력하였지만, 친근하며 인간적인 미를 가진 괴물과 마법으로 인해 미인이었지만 착하고 못생긴 공주라는 차이만 있을 뿐, ‘권선징악’을 담은 ‘해피엔딩’을 보여주는 디즈니 신화에서는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 출처 및 참고문헌
“민담형태론”. 블라디미르 프로프, 이건주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애니메이션 영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안주아.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4).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1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