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석가모니의 ‘중도(中道)’를 정통 바라문교와 막칼리고살라의 입장과 비교하여 설명하라.
-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 중 어떤 것들이 초기불교의 오온에 해당하는가?
- 초기불교의 오온 중 <수(受)>를 시각적인 예와 촉각적인 예를 하나씩 들어 설명하라.
- 초기불교에서 언급한 <식>과 유식불교의 <식>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설명하라.
-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 중 어떤 것들이 초기불교의 오온에 해당하는가?
- 초기불교의 오온 중 <수(受)>를 시각적인 예와 촉각적인 예를 하나씩 들어 설명하라.
- 초기불교에서 언급한 <식>과 유식불교의 <식>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설명하라.
본문내용
을 말한다. 이는 서로 작용 하는데 이것을 요별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윤회 하는 동안 단절되지 않은 흐름으로서 지속하는 ‘기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초기 경전 <모태로 들어가는 식>에서 묘사되어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기체는 실체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유식불교는 오로지 식만 존재한다고 말하는 철학이라 할 수 있겠다. 유식불교에서의 식은 초기경전의 자아의식의 잠재성 언급을 하였는데 초기 불교와 마찬가지로 전오식인 안, 이, 비, 선, 실과 제6식인 의식이 있으며 제7식인 마노가 있는데 마지막으로 제8식인 심층 의식을 나타내며 이 제8식을 가장 중요하게 보았다. 실제 명상에서 자아의식의 잠재성을 인식하며 그것이 윤회 주체라 여겼으며 과거 업을 담은 종자식이라 하였다는 차이점을 들 수 있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