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익명성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2) SNS 생태계에서 익명성이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은 통제력을 갖추기가 어렵다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익명성은 다차원적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2) SNS 생태계에서 익명성이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은 통제력을 갖추기가 어렵다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NS로 여겨져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3. 결론
익명에 기반한 소통 욕구는 앞으로 더 커질 것이다. 심지어 실명을 기반으로 한 페이스북에서도 익명으로 메시지를 전하는 ‘대나무숲’, ‘대신 전해드립니다’ 등의 페이지가 성행하고 있다. 실명으로 털어놓기 어려운 이야기들을 나누고 싶은 욕구가 모여 만든 자발적인 커뮤니티들이다. 과거의 싸이월드 클럽이나 프리첼에서도 각 학교 커뮤니티 등에 익명 게시판이 하나쯤은 존재했다. 이처럼 적정 수준의 익명성 욕구는 예나 지금이나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욕구와 열망은 더 크게 부풀리라 생각한다.
익명성이 생활 곳곳에 퍼져있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단지 익명이나 실명이냐를 구분하는 문제보다는 익명성의 보장과 보안, 개인의 정체성 표출과 이에 대한 인정 욕구 등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 보인다. 결과적으로 SNS에서는 사람들 간의 적절한 거리감을 설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거리감이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경험을 통해서도 조절이 가능하며 서비스 사용 관련 규준 등을 통해서도 조율이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SNS에서의 익명성은 제대로 설계하고 관리해 나가기만 한다면 현실에서 풀지 못한 소통의 한계와 내면 욕구의 분출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훌륭한 대책이 될 수 있다.
SNS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의 욕구는 현실에서 잘 보이지 않는 욕구들이다. 이제는 많은 사람이 현실의 나와 사이버 공간에서의 나, 2가지 자아로 살아가고 있다. 익명성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내용을 단순히 사회적 이슈 거리나 논쟁의 대상으로 보는 시대는 지났다. 우리는 무수히 많은 익명의 개인과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지내며 이와 동시에 내 앞에 앉아있는 현실의 타인과도 소통한다. 점차 당연한 것이 되어가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을 이제는 우리의 생활양식 중 하나로 받아들이고 스스로 조절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4. 참고문헌
-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병화, 중앙대학교, 2014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421059282223.pdf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신지명,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011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110334667145.pdf
3. 결론
익명에 기반한 소통 욕구는 앞으로 더 커질 것이다. 심지어 실명을 기반으로 한 페이스북에서도 익명으로 메시지를 전하는 ‘대나무숲’, ‘대신 전해드립니다’ 등의 페이지가 성행하고 있다. 실명으로 털어놓기 어려운 이야기들을 나누고 싶은 욕구가 모여 만든 자발적인 커뮤니티들이다. 과거의 싸이월드 클럽이나 프리첼에서도 각 학교 커뮤니티 등에 익명 게시판이 하나쯤은 존재했다. 이처럼 적정 수준의 익명성 욕구는 예나 지금이나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욕구와 열망은 더 크게 부풀리라 생각한다.
익명성이 생활 곳곳에 퍼져있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단지 익명이나 실명이냐를 구분하는 문제보다는 익명성의 보장과 보안, 개인의 정체성 표출과 이에 대한 인정 욕구 등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 보인다. 결과적으로 SNS에서는 사람들 간의 적절한 거리감을 설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거리감이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경험을 통해서도 조절이 가능하며 서비스 사용 관련 규준 등을 통해서도 조율이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SNS에서의 익명성은 제대로 설계하고 관리해 나가기만 한다면 현실에서 풀지 못한 소통의 한계와 내면 욕구의 분출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훌륭한 대책이 될 수 있다.
SNS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의 욕구는 현실에서 잘 보이지 않는 욕구들이다. 이제는 많은 사람이 현실의 나와 사이버 공간에서의 나, 2가지 자아로 살아가고 있다. 익명성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내용을 단순히 사회적 이슈 거리나 논쟁의 대상으로 보는 시대는 지났다. 우리는 무수히 많은 익명의 개인과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지내며 이와 동시에 내 앞에 앉아있는 현실의 타인과도 소통한다. 점차 당연한 것이 되어가고 있는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을 이제는 우리의 생활양식 중 하나로 받아들이고 스스로 조절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4. 참고문헌
-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병화, 중앙대학교, 2014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421059282223.pdf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신지명,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011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110334667145.pdf
추천자료
사이버 문화에 관한 심리적 접근
[진로상담][진로상담기법][진로지도][진로교육][진로]진로상담의 정의, 진로상담의 종류, 진...
사이버 인간관계
[사이버인권][인터넷 인권]사이버인권(인터넷 인권)의 정체성, 사이버인권(인터넷 인권)의 침...
[심리학] 청소년범죄 예방 및 방안 - 정체성의 관점에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 정보를 노출...
청소년 자치 이야기를 읽고 (첫 걸음, 되돌아보며 방향성 찾기)
[인터넷 중독 아동] 아동의 인터넷중독 원인과 증상 및 진단 인터넷중독 아동의 치료와 상담
2020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 인터넷생활윤리
사이버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와 익명성에 관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