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드론을 활용한 라싱콘의 재하역 작업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부산항의 매뉴얼
-신호수로서의 드론
-드론 집단비행 및 활용
Ⅲ. 결론
참고문헌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부산항의 매뉴얼
-신호수로서의 드론
-드론 집단비행 및 활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람이 없는 지 확인을 하며, 만약에 사람이 있다면 드론으로 신호를 보내거나 직접 가서 안내를 하여 화물이 이동하고 있다고 알리며 화물이 이동하는 경로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역장인만큼 밀물, 썰물 등 다양한 환경의 변화가 있기에 이 환경변화도 고려해야한다. 하역장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드론들을 보내서 팀으로 구성하고 하역장 구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확인을 한 다음에 그걸 하역하는 다른 드론팀에게 연락을 보내어 자기들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움직인다. 이 때 지휘팀은 이를 지켜보다가 현장에 파견된 소수의 팀과 교류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조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담으로 지휘팀이 조종을 직접하지만, 왠만하면 드론들의 판단에 의해 자동으로 잘 움직이지는 지 확인을 하면서 상황을 분석을 한다. 거기서 문제가 있으면 직접 개입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지휘를 한다.
화물을 움직이고 위치를 조종해서 하역을 시키는 것은 크레인과 드론으로 해결하니 사람 손이 거치지 않으며 안전도 보장이 된다. 그래서 여기서 신호수 및 하역을 도와주는 드론 1팀, 하역장 환경을 살피는 드론 2팀으로 구성되고 일해야 한다.
드론을 이용하면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인건비 절감은 물론 적은 인원만큼 안전사고의 규모, 피해건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드론들이 집단비행을 하며 사각지대를 제거하며 정확하게 센서를 이용해 작업을 하기에 여러모로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Ⅲ. 결론
하역장에서 드론을 어떻게 활용을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드론은 이제 일상이 되었으며 아이러니한 것은 이것을 먼저 이용한 것이 군사목적이었다. 앞에서 언급한 집단비행방식은 본래 군대에서 이용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하지만 역사에서 군사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들이 일상에서 적용해서 더 널리 이용되는 사례들이 많다. 하역장도 넓게 보면 전쟁터와 같이 변화가 무쌍하고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하는 곳 인만큼 드론이 활용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앞으로 집단비행을 더 발전을 하고 하역장 외에도 다른 곳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향후에도 드론관련 산업에 많은 사람들이 고용이 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 교육들도 더 널리 퍼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안전기준 매뉴얼. 2020년 11월 30일.
문성태, 이현범, 김표진. 2020. 융합연구리뷰. 한국과학기술원 융합연구정책센터.
하역장인만큼 밀물, 썰물 등 다양한 환경의 변화가 있기에 이 환경변화도 고려해야한다. 하역장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드론들을 보내서 팀으로 구성하고 하역장 구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확인을 한 다음에 그걸 하역하는 다른 드론팀에게 연락을 보내어 자기들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움직인다. 이 때 지휘팀은 이를 지켜보다가 현장에 파견된 소수의 팀과 교류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조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담으로 지휘팀이 조종을 직접하지만, 왠만하면 드론들의 판단에 의해 자동으로 잘 움직이지는 지 확인을 하면서 상황을 분석을 한다. 거기서 문제가 있으면 직접 개입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지휘를 한다.
화물을 움직이고 위치를 조종해서 하역을 시키는 것은 크레인과 드론으로 해결하니 사람 손이 거치지 않으며 안전도 보장이 된다. 그래서 여기서 신호수 및 하역을 도와주는 드론 1팀, 하역장 환경을 살피는 드론 2팀으로 구성되고 일해야 한다.
드론을 이용하면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인건비 절감은 물론 적은 인원만큼 안전사고의 규모, 피해건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드론들이 집단비행을 하며 사각지대를 제거하며 정확하게 센서를 이용해 작업을 하기에 여러모로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Ⅲ. 결론
하역장에서 드론을 어떻게 활용을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드론은 이제 일상이 되었으며 아이러니한 것은 이것을 먼저 이용한 것이 군사목적이었다. 앞에서 언급한 집단비행방식은 본래 군대에서 이용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하지만 역사에서 군사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들이 일상에서 적용해서 더 널리 이용되는 사례들이 많다. 하역장도 넓게 보면 전쟁터와 같이 변화가 무쌍하고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하는 곳 인만큼 드론이 활용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앞으로 집단비행을 더 발전을 하고 하역장 외에도 다른 곳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향후에도 드론관련 산업에 많은 사람들이 고용이 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 교육들도 더 널리 퍼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안전기준 매뉴얼. 2020년 11월 30일.
문성태, 이현범, 김표진. 2020. 융합연구리뷰. 한국과학기술원 융합연구정책센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