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 작업장에서 지정된 작업 이외의 행동을 드론을 활용하여 어떻게 안전하게 할지 아이디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차산업 ) 작업장에서 지정된 작업 이외의 행동을 드론을 활용하여 어떻게 안전하게 할지 아이디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드론의 무선통신 방식
-실내에서의 드론 활용
-실외에서의 드론 활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작업을 한다. 즉 작업구역을 지휘팀 구역으로 나누고 거기서 드론도 나누며 진행을 한다. 이 때 드론들은 자기 스스로 판단을 내리고 지휘팀과 현장팀은 그저 상황을 보고 판단을 하며 문제가 있으면 투입이 된다. 그리고 소수의 현장투입팀은 문제가 발생하면 가는데 이 때도 드론의 호위를 받으며 진행을 한다.
지휘팀이 여러 개로 나누는 만큼 그 지휘팀을 다루는 총 지휘팀도 존재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넓은 지역에서 분업화를 통한 효율성 상승과 더불어 여러 곳의 지휘팀을 관리함으로써 전반적인 일의 추진과 목표설정에 통합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수가 있다. 총지휘팀이라 할지라도 모니터링이 주 목적이며 각 구역의 일은 그 곳을 맡은 지휘팀의 재량에 맡기지만, 만약에 문제가 커질 경우에는 총지휘팀이 개입을 한다.
여기서도 드론만 일하는 구역, 사람과 드론이 협업하는 구역, 사람만 하는 영역으로 나누면서 하며 실내와 달리 확실히 구분을 해야하며 특히 드론과 사람이 같이 협업을 하더라도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해야하며 사람은 최소 현장감독과 소수의 현장투입팀을 두고 왠만한 일들을 드론들이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드론들을 이용해 사각지대를 줄이고 정확한 위치인식과 통신으로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행동들을 줄이고 빠르고 정확하게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그래서 작업장에서 사람과 드론 간의 협동 방식을 합의해서 사람, 드론, 사람+드론 영역을 나누어 작업자와 종사 사이에 협업을 통해 안전취약점을 나타내는 곳에 드론을 투입하여 대신 일하거나 안전점검을 하고 넓은 지역인 만큼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작업환경에서의 안전과 돌발상황을 체크하고 위기 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Ⅲ. 결론
드론은 향후에도 많이 이용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작업장에서 많은 활용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드론을 활용하면 인력을 줄이고 그만큼 인건비와 안전사고를 최소화 시킬 수가 있다. 또한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어서 향후에도 많은 곳에서 드론이 이용될 것으로 전망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문성태, 이현범, 김표진. 2020. 융합연구리뷰. 한국과학기술원 융합연구정책센터.
이종관, 신규옹, 김경민. 2018. 전술 군집 드론 네트워크를 위한 중앙집권식 그룹키 관리 기법. Journal of the KIMST, Vol. 21, No. 6, pp. 817-825.
전황수. 2017. 드론 무선통신 기술 개발 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2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0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