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1. 서론
2. 본론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2)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3. 결론
4. 참고문헌
2.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1. 서론
2. 본론
(1)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욕구위계론)
(2) 욕구위계론의 교육적 시사점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2)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3. 결론
4. 참고문헌
2.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1. 서론
2. 본론
(1)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욕구위계론)
(2) 욕구위계론의 교육적 시사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뜻하고 있는 것이다.
그 다음, 애정 및 소속의 욕구이다. 안전이 확보가 된다면 인간은 본디 어딘가 속하고자, 그리고 누군가에게 사랑받고자 하는 욕구가 생긴다. 인간은 혼자만이 살아가는 동물이 아닌 분명하게도 사회성을 띄고 있는 동물이기도 하다. 조직을 이루고 또 사랑을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이다. 만약 여기서 애정 욕구와 안전 욕구를 헷갈리고 동일시하게 된다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애정 결핍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비뚤어진 욕구로 발전된다면 스토커와 같은 범죄행위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 다음은 자존심의 욕구이다. 남에게 사랑은 물론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의미한다. 자기 자신의 가치를 찾게 되며, 남의 인정을 통해서 자존감 역시도 회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존감은 누군가 부여한다고, 또한 누군가 준다고 생기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만족하고 또 생각해야만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상위 욕구에 해당되는 것이다.
다음은 자아실현의 욕구이다. 나의 자존감이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올라오게 된다면 이제는 스스로가 본인에 대해서 탐구하고 또한 자신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하면 되는지, 자아에 대해서 연구하고 또 공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마지막 단계의 욕구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욕구와는 다르게 긍정적인 동기를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관찰이 되며, 이 욕구가 충당되는 경우 인간은 스스로가 한단계 나아가서 더 좋은 사람을 성장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2) 욕구위계론의 교육적 시사점
학생들에게 적절한 동기를 주게 되었다는 것에서 아주 큰 시사점이 존재한다. 교육 욕구가 생기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동기를 무조건 부여해야만 하는데, 어떤 것이 그들의 교육에 대해, 공부에 대한 욕구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교사들이 이해하고 또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서 아이들에게 아무리 억지로 교수법을 적용하여도 자신들의 성적, 친구관계 등을 보면서 자존감을 쉽게 높일 수 없으며 스스로 자아실현을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무작정 공부만 하는 것이 그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또 자아실현을 하게 만드는게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데에 아주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사람에겐 다양한 욕구가 존재하며, 그것이 조화롭게 충족되어야 비로소 공부도, 그리고 자아 실현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결론
욕구는 비단 성적인 것으로만 생각하여 단어 자체를 사용하는 것 조차 부끄러워하고 창피해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동기를 불러일으킨다는 것만으로도 욕구는 인간에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또 있어야 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욕구를 통해서 비로소 인간은 지능에 대해서 탐구하고 또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욕구는 자연스럽게 생성되며 누군가가 억지로 주입하고 또 세뇌, 불러일으킬수 없다는 사실 역시도 항상 상기하며, 이를 통해서 누군가에게 강요를 하거나 행위를 하는 것 역시도 자제해야만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이장호, 학지사, 상담심리학의 기초, 2005
- 권석만, 학지사, 인간관계의 심리학, 2014
그 다음, 애정 및 소속의 욕구이다. 안전이 확보가 된다면 인간은 본디 어딘가 속하고자, 그리고 누군가에게 사랑받고자 하는 욕구가 생긴다. 인간은 혼자만이 살아가는 동물이 아닌 분명하게도 사회성을 띄고 있는 동물이기도 하다. 조직을 이루고 또 사랑을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이다. 만약 여기서 애정 욕구와 안전 욕구를 헷갈리고 동일시하게 된다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애정 결핍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비뚤어진 욕구로 발전된다면 스토커와 같은 범죄행위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 다음은 자존심의 욕구이다. 남에게 사랑은 물론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의미한다. 자기 자신의 가치를 찾게 되며, 남의 인정을 통해서 자존감 역시도 회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존감은 누군가 부여한다고, 또한 누군가 준다고 생기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만족하고 또 생각해야만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상위 욕구에 해당되는 것이다.
다음은 자아실현의 욕구이다. 나의 자존감이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올라오게 된다면 이제는 스스로가 본인에 대해서 탐구하고 또한 자신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하면 되는지, 자아에 대해서 연구하고 또 공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마지막 단계의 욕구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욕구와는 다르게 긍정적인 동기를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관찰이 되며, 이 욕구가 충당되는 경우 인간은 스스로가 한단계 나아가서 더 좋은 사람을 성장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2) 욕구위계론의 교육적 시사점
학생들에게 적절한 동기를 주게 되었다는 것에서 아주 큰 시사점이 존재한다. 교육 욕구가 생기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동기를 무조건 부여해야만 하는데, 어떤 것이 그들의 교육에 대해, 공부에 대한 욕구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교사들이 이해하고 또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서 아이들에게 아무리 억지로 교수법을 적용하여도 자신들의 성적, 친구관계 등을 보면서 자존감을 쉽게 높일 수 없으며 스스로 자아실현을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무작정 공부만 하는 것이 그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또 자아실현을 하게 만드는게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데에 아주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사람에겐 다양한 욕구가 존재하며, 그것이 조화롭게 충족되어야 비로소 공부도, 그리고 자아 실현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결론
욕구는 비단 성적인 것으로만 생각하여 단어 자체를 사용하는 것 조차 부끄러워하고 창피해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동기를 불러일으킨다는 것만으로도 욕구는 인간에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또 있어야 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욕구를 통해서 비로소 인간은 지능에 대해서 탐구하고 또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욕구는 자연스럽게 생성되며 누군가가 억지로 주입하고 또 세뇌, 불러일으킬수 없다는 사실 역시도 항상 상기하며, 이를 통해서 누군가에게 강요를 하거나 행위를 하는 것 역시도 자제해야만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이장호, 학지사, 상담심리학의 기초, 2005
- 권석만, 학지사, 인간관계의 심리학, 2014
추천자료
2017년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가...
교육심리학 2017년-가드너다중지능이론&매슬로우동기위계설] 1. 가드너다중지능이론 설명...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교육적시사점, 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심리학 2....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방송대 교육심...
2017년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교육적시사점, 교육심리학, 가드너다중지능...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 교육적 시사...
교육심리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교육적 시사점, 매슬로우의 ...
2021학년도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 및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