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미생물학 ) 중앙공급실의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물품 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미생물학 ) 중앙공급실의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물품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중앙 공급실의 업무
2-2. 소독과 멸균의 구분
2-3. 실제 적용 예시
2-3-1. 물리적 방법을 이용한 미생물의 멸균 사례
2-3-1-1. 저온 살균법
2-3-1-2. 고압 증기 멸균법
2-3-2. 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미생물의 소독 사례
2-3-2-1. 계면 활성제
2-3-2-2. 요오드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쉽게 변성되지 아니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기구들이다. 이것은 고압 증기 멸균 온도가 영상 화씨 121도에 달하는 고온이기 때문이다. 기구들은 푸른 색의 린넨제 천에 감싸여 고압 증기 멸균기 내에 배치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라도 도태되어 증기를 쐬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증기 순환을 위하여 꾸러미 사이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고압증기멸균법이 올바르게 시행되어 멸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이 고압 증기 멸균기 내에 바실루스 스테아로테르모필루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를 배양한 실린더를 함께 넣곤 한다. 바실루스 스테아로테르필루스는 아포가 존재하는 세균이다. 바실루스 스테아로테르필루스를 담은 실린더의 색상은 본래 보라색이고, 세균과 세균의 아포까지 모두 사멸되었을 경우 노란색으로 변한다. 이 실린더가 멸균이 종료된 후에 노란색으로 변하면 당시 동일한 고압 증기 멸균기로 멸균을 진행한 모든 기구의 멸균이 정상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취급하여 정상적으로 이용하고, 보라색으로 남아 있다면 제대로 멸균이 진행되지 않은 것이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2-3-2. 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미생물의 소독 사례
소독은 보통 화학적 제제인 소독제를 이용하여 진행한다. 그렇다면 좋은 소독제는 과연 어떤 소독제일까? 먼저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법이 쉽고 가격이 저렴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병원미생물들은 정말 어디에나 존재하며, 어느 누구에게나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대중성이 높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 석탄산계수(phenol coefficient)가 높아야 한다. 석탄산계수란 전통적으로 소독제로 이용하였으나, 유아의 피부를 자극하고 부식시키는 등 부작용이 존재하여 사장된 석탄산(phenol)에 비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소독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계수이다.
2-3-2-1.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세제와 비누 등에 첨부된 성분으로, 가장 대중적인 소독제라고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단백질과 지질을 분해하는 성질이 있는데, 세균과 바이러스의 피부 격인 외피는 보통 단백질과 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세정제를 신체에 도포하게 되면, 신체 외부 피부에 존재하고 있었던 병원체의 외피가 분해되어 결국 그 병원미생물이 사멸하게 된다.
2-3-2-2. 요오드
요오드(iodine)은 주로 피부의 창상 상처에 대해 사용되는 소독제이다. 아포를 박멸할 수는 없지만, 결핵균류, 진균류, 일부 바이러스 등 아포를 생성하지 않는 세균에 한하여 효과적으로 살균 효과가 있음을 인정받았다. 이것은 요오드 결정을 나트륨, 칼륨-요오드화물 용액에 용해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곤 한다. 정맥 주사를 통한 채혈 등 정맥 천자를 시행하기 이전과 이후에 주로 사용한다.
3. 결론
지금까지의 탐구를 통하여, 병원에 존재하는 중앙 공급실이 소독과 멸균을 총괄한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그리고, 소독은 보통 소독제와 같은 화학 물질을 적용한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멸균은 고압과 고온 등 물리적인 요인이 포함된 방법을 사용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표적인 소독제인 요오드와 계면활성제와, 멸균 방법인 저온멸균법과 고압증기멸균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4. 참고 문헌
최신 병원미생물학, 김영권 외, 수문사, 2019
치과 중앙공급실이 뭐 하는 곳일까?, 권구영 기자, 고양신문, 2021.04.12 01:37
https://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3329
중앙공급실, 진료과, 진료지원, 홍성의료원
https://www.hsmc.or.kr/?fpage=4_4_1_4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22
  • 저작시기202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0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