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지 생각을 해보았다. 코로나 이후로 비대면이 활성화되면서 우리는 사람하고 접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과연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을 할지 의문이 든다. 화면으로 본다지만, 과연 뇌에서 그걸 관계로 인식할지 의문이고 어찌보면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미래에는 제대로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분비안되면서 다양한 정신적 질환들이 일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한 조속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주변에서 부모님과 제대로 교감을 못하는 지인이 있는데, 성격이 상당히 괴팍하며 항상 불만을 가득찬 경우를 생각하면 제대로 도파민이 분비가 안되고 세로토닌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을 할 수가 있었다. 이 지인은 관계가 거의 없으며 온라인 외에는 친구가 거의 없다. 이 점에서 특히나 비대면에서 이러한 일들이 자주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3. 결론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은 우리의 뇌가 어떻게 작동을 하는 지 보여준다.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점은 비대면으로 가는 지금 사회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록 비대면이라해도 화상기술의 발전으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미지수이다.
결국에는 비대면, 인공지능 시대라도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은 유효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안들이 내놓아야하며, 이를 잘 활용하고 생각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실제로 주변에서 부모님과 제대로 교감을 못하는 지인이 있는데, 성격이 상당히 괴팍하며 항상 불만을 가득찬 경우를 생각하면 제대로 도파민이 분비가 안되고 세로토닌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을 할 수가 있었다. 이 지인은 관계가 거의 없으며 온라인 외에는 친구가 거의 없다. 이 점에서 특히나 비대면에서 이러한 일들이 자주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3. 결론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은 우리의 뇌가 어떻게 작동을 하는 지 보여준다.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점은 비대면으로 가는 지금 사회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록 비대면이라해도 화상기술의 발전으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미지수이다.
결국에는 비대면, 인공지능 시대라도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은 유효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안들이 내놓아야하며, 이를 잘 활용하고 생각을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 묻다 중간과제물)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
2021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중간시험과제물 공통(Grace-Joy-Peace 메커니즘)
심리론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심리학 )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
심리학에게 묻다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
심리학묻다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
심리학개론 )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
심리학묻다 )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
심리학에게 )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