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건강형평성’과 관련있는 지표들의 성과평가 요약
2. ‘성과지표’ 22개에 대한 성과평가 요약
3. ‘성과지표’ 중 ‘악화’로 평가된 지표들의 정의, 2008년 기준치, 2020년 목표치, 목표달성도 요약
4. 지역사회영양학의 관점에서 ‘악화’로 평가된 지표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지 본인의 견해를 피력
5. 출처 및 참고문헌
2. ‘성과지표’ 22개에 대한 성과평가 요약
3. ‘성과지표’ 중 ‘악화’로 평가된 지표들의 정의, 2008년 기준치, 2020년 목표치, 목표달성도 요약
4. 지역사회영양학의 관점에서 ‘악화’로 평가된 지표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지 본인의 견해를 피력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루어져 있으며 식품 관련 과목으로는 20개의 과목이, 단체급식 관련 과목으로는 6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이렇게 대부분 대학은 영양학, 식품학, 단체급식과목 등 크게 이러한 영역으로 개설하고 있으나 영양학 과목 중의 하나인 지역사회영양이라는 과목을 개설한 학교는 전체 대상 중에서 1/3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교과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정이 되고 있다. 교육부가 제시한 교육개혁에 따르면 대학에서 학부제 및 복수 전공제가 확산되면서 그 결과로 양산되는 영양사 자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영양학계에서는 영양사 면허취득 조건을 강화하기 위해서 이를 필수과목 및 학점지정을 위한 개선안 추진이 진행 중이지만, 이 과정에서 앞으로 영양사의 업무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는 보건소 영양사의 교육에 필요한 과목을 다수 추가하는 분위기가 되고 있다. 따라서 영양사 자격시험 필수과목에 보건영양분야 과목인 식량 경제, 영양 상담 및 의사소통 등의 과목을 추가하는 것이다. 실제로 보건과 영양에 관련하여 자질이 떨어지는 부분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는 기사를 여럿 보았기 때문에 진지하게 고려해봐도 될 사항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자격 강화에 대한 정책과 개선안은 보건복지부의 관점에서는 영양사의 자질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긍정적인 측면에서 볼 수 있지만, 대학생에게는 다양한 전공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교육개혁안과는 상반되기 때문에 채택 여부에 고려가 되는 것이다. 최근 보건소에 영양사가 공식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게 해준 것은 보건영양 서비스의 전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여 준 좋은 기회인 것은 맞지만,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효율적인 보건 영양사 제도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큰 벽을 넘어야 한다. 간호사 중 영양사로 대체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는데 이것을 극복하려면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막대한 국가 경제의 낭비를 막으려면 올바른 식생활 개선을 통해서 질병을 사전부터 예방해야 한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건 영양 사업은 업무의 특성상 반드시 식사요법 등의 전문 훈련을 받은 보건 영양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시범 과정 같은 것을 통해서 과학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지역사회영양이 근대 과학의 한 분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명칭 이외에도 두 가지의 조건을 갖출 필요가 있다. 첫 번째로 학문의 대상이 분명해야 한다. 두 번째, 이 대상을 연구할 방법론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 학문의 대상은 지역사회 관리 대상인구 집단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양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전달하는 단계적인 접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김영옥. \"지역사회영양학의 교육 및 연구방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1 (1996): p.130
5. 출처 및 참고문헌
· 사측 제공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정량평가 연구보고서
· 김영옥. \"지역사회영양학의 교육 및 연구방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1 (1996): 123-134. http://www.riss.kr/link?id=A105882438
하지만 이러한 자격 강화에 대한 정책과 개선안은 보건복지부의 관점에서는 영양사의 자질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긍정적인 측면에서 볼 수 있지만, 대학생에게는 다양한 전공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교육개혁안과는 상반되기 때문에 채택 여부에 고려가 되는 것이다. 최근 보건소에 영양사가 공식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게 해준 것은 보건영양 서비스의 전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여 준 좋은 기회인 것은 맞지만,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효율적인 보건 영양사 제도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큰 벽을 넘어야 한다. 간호사 중 영양사로 대체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는데 이것을 극복하려면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막대한 국가 경제의 낭비를 막으려면 올바른 식생활 개선을 통해서 질병을 사전부터 예방해야 한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건 영양 사업은 업무의 특성상 반드시 식사요법 등의 전문 훈련을 받은 보건 영양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시범 과정 같은 것을 통해서 과학적으로 증명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지역사회영양이 근대 과학의 한 분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명칭 이외에도 두 가지의 조건을 갖출 필요가 있다. 첫 번째로 학문의 대상이 분명해야 한다. 두 번째, 이 대상을 연구할 방법론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 학문의 대상은 지역사회 관리 대상인구 집단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양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전달하는 단계적인 접근에서 찾아볼 수 있다. 김영옥. \"지역사회영양학의 교육 및 연구방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1 (1996): p.130
5. 출처 및 참고문헌
· 사측 제공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정량평가 연구보고서
· 김영옥. \"지역사회영양학의 교육 및 연구방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1 (1996): 123-134. http://www.riss.kr/link?id=A105882438
추천자료
[[건강증진론4]]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식생활 실천인구비율 관련 ...
지역사회간호학] 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개념 2. 보건진료소 간호사업의 배경 및 운영...
<방통대 2020>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생성배경,개념, 보건진료소 간호사업의 배경,...
2021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지역사회영양학(공통)(제4차국민건강증진종합...
지역사회영양학 )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의 성과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다음 과...
지역사회영양학 )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의 성과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다음 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