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연구 문제
Ⅱ.학업중단과 관련된 이론들
Ⅲ.경험에 관한 원인 분석 및 상담적 개입
Ⅳ.현상관찰 및 분석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개입
[참고문헌]
Ⅱ.학업중단과 관련된 이론들
Ⅲ.경험에 관한 원인 분석 및 상담적 개입
Ⅳ.현상관찰 및 분석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개입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으며, 내담자인 학생뿐만 아니라 상담자인 학생 스스로도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에너지의 형성과 함께 학교 자체에서의 포용적인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래 상담의 개입에 있어서는 학업 중단을 희망하는 다문화 자녀가 중단을 결심하기 까지 겪었던 오랜 기간의 내적 갈등에 대하여 깊은 공감을 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내담자의 좌절, 분노, 무력감 등의 감정을 다루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이러한 감정에 대하여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Ⅳ.현상관찰 및 분석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개입
(1)미시체계
생태체계적 관점에 있어서 미시체계는 또래갈등 및 소외, 교사의 낙인 및 무관심, 부모의 방임이나 가족 갈등 등으로 볼 수 있다. 본 사례의 경우 A씨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라는 이유로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하였다. A씨는 자신을 받아들여주지 않는 또래 학교 학생들로부터 구타 등의 괴롭힘을 받았으며, 이것이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중학교 진학까지 그대로 이어져왔기 때문에 학업 중단을 결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 또한 자신을 괴롭히는 또래 학생들과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친하게 지내보라’라는 잘못된 조언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학업 중단을 고민하는 A씨에게 제대로 된 관심을 가지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당시 이미 60대였던 아버지와 한국어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어머니로 이하여 가정에서 또한 A씨의 학업을 위하여 적절한 관심을 가져주지 못하였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미시적인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 간의 관계에서 형성할 수 있는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앞서 살펴본 또래 상담은 내담자인 당사자에게 또래 친구들로부터의 정서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또래 상담을 주관하는 선생님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이들이 학업 중단을 포기하거나 학업 복귀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2)중간체계
본 사례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미시적인 체계에 있어서 A씨가 정서적인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간 체계적인 관점에서 학업 중단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교우 관계와 교사와의 관계, 그리고 가족 관계가 긴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교사는 학생들과의 관계, 그리고 학생과 가족과의 관계에 대하여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하며, 문제가 생겼을 경우 특히 학생의 가족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또래 학생들 간의 갈등이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적극적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다.
(3)외체계
특히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업중단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학교적 차원에서 이들의 학습 환경에 대한 적응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들에게 수행할 수 있는 언어 교육이 대표적이다. 타국에서 학습을 이루던 도중 한국에 이주하게 된 다문화 가정 자녀일수록 언어장벽에 대하여 막막함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학교적인 차원에서, 혹은 지역사회적인 차원에서 해결해줄 경우 보다 쉽게 학교 생활에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효과의 기대가 가능해진다.
(4)거시체계
마지막으로 법과 제도적이라는 거시 체계에서 다문화 가정을 보다 포용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다문화 가정이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다문화 가정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보호제도적인 차원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를 가진다. 특히 청소년들은 앞으로 더 글로벌화된 사회를 마주할 확률이 높은 만큼, 서로 다름을 존중하고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적절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따돌림, 입학 거부...연필 놓는 아이들”, 매일경제, 최종접속일 21.10.17.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1/10/963384/
정은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서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7788a19c10c7661ffe0bdc3ef48d419
또래 상담의 개입에 있어서는 학업 중단을 희망하는 다문화 자녀가 중단을 결심하기 까지 겪었던 오랜 기간의 내적 갈등에 대하여 깊은 공감을 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내담자의 좌절, 분노, 무력감 등의 감정을 다루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이러한 감정에 대하여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Ⅳ.현상관찰 및 분석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개입
(1)미시체계
생태체계적 관점에 있어서 미시체계는 또래갈등 및 소외, 교사의 낙인 및 무관심, 부모의 방임이나 가족 갈등 등으로 볼 수 있다. 본 사례의 경우 A씨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라는 이유로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하였다. A씨는 자신을 받아들여주지 않는 또래 학교 학생들로부터 구타 등의 괴롭힘을 받았으며, 이것이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중학교 진학까지 그대로 이어져왔기 때문에 학업 중단을 결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 또한 자신을 괴롭히는 또래 학생들과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친하게 지내보라’라는 잘못된 조언을 제공하였으며, 이는 학업 중단을 고민하는 A씨에게 제대로 된 관심을 가지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당시 이미 60대였던 아버지와 한국어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어머니로 이하여 가정에서 또한 A씨의 학업을 위하여 적절한 관심을 가져주지 못하였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미시적인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 간의 관계에서 형성할 수 있는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앞서 살펴본 또래 상담은 내담자인 당사자에게 또래 친구들로부터의 정서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또래 상담을 주관하는 선생님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이들이 학업 중단을 포기하거나 학업 복귀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2)중간체계
본 사례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미시적인 체계에 있어서 A씨가 정서적인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간 체계적인 관점에서 학업 중단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교우 관계와 교사와의 관계, 그리고 가족 관계가 긴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교사의 역할이다. 교사는 학생들과의 관계, 그리고 학생과 가족과의 관계에 대하여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하며, 문제가 생겼을 경우 특히 학생의 가족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또래 학생들 간의 갈등이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적극적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입할 필요가 있다.
(3)외체계
특히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업중단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학교적 차원에서 이들의 학습 환경에 대한 적응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들에게 수행할 수 있는 언어 교육이 대표적이다. 타국에서 학습을 이루던 도중 한국에 이주하게 된 다문화 가정 자녀일수록 언어장벽에 대하여 막막함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학교적인 차원에서, 혹은 지역사회적인 차원에서 해결해줄 경우 보다 쉽게 학교 생활에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효과의 기대가 가능해진다.
(4)거시체계
마지막으로 법과 제도적이라는 거시 체계에서 다문화 가정을 보다 포용적으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다문화 가정이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다문화 가정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보호제도적인 차원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를 가진다. 특히 청소년들은 앞으로 더 글로벌화된 사회를 마주할 확률이 높은 만큼, 서로 다름을 존중하고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적절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따돌림, 입학 거부...연필 놓는 아이들”, 매일경제, 최종접속일 21.10.17.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1/10/963384/
정은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서울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7788a19c10c7661ffe0bdc3ef48d419
추천자료
청소년 자살에 대하여
학교사회사업론 - 학교사회사업 실천과정
[자기소개서][자기소개서 작성법][자기소개서 예문] 자기소개서 작성법과 예문 및 직종별 자...
[자기소개서, 자기소개서 예문]최종합격자의 자기소개서, 자기소개서 작성법(자기소개서 직종...
대안교육(대안학교)의 의미, 대안교육(대안학교)의 성격, 대안교육(대안학교)의 형태, 대안교...
청소년복지 학교폭력 청소년일탈 A+받은 리포트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방송통신대 2019) 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초...
[인간행동과사회환경B형]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중 등교거부 행동주의 이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