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자폐성 장애 현황과 프로그램 소개
2.본론
-자폐성 장애 정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TEACCH의 프로그램
-나의 소감 및, 해당 프로그램 고려할 측면, 단점 나아갈 방향
3.결론
참고문헌
-자폐성 장애 현황과 프로그램 소개
2.본론
-자폐성 장애 정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TEACCH의 프로그램
-나의 소감 및, 해당 프로그램 고려할 측면, 단점 나아갈 방향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것을 진행하기 위해서 일데일모델, 순환모델, 집단지원모델, 독립모델로 개인의 감정과 관심사를 활용하기 위한 적절한 직업과 환경을 찾아내고 구조화된 교육 기술을 제대로 적용을 하고 협력하기 위한, 필요한 장기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용인, 고옹쥬, 가족, 양육자 모두가 만족하는 적절한 직업을 찾아서 객관적 평가에 기반하여 교육을 진행한다. 이 TEACCH에는 고용된 직업코치들이 있으며 직장을 구해주고 구조화된 교육원리를 통해 고용현장에서 필요한 직업기술과 행동을 가르쳐주고 작업의 질과 정확도를 위해 직업코치가 의뢰인과 함께 과제를 수행하면서 작업성취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해주며 만약에 대상인이 압도, 좌절로 인해 진행이 힘들 때, 스트레스 감소전략을 이용하여 안정된 작업심리를 유지하고 주의집중하며 작업책임을 다하도록 지원해준다. 그리고 직업코치는 대상인의 직장동료들을 교육하고 대상인과 고융주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윤지은. 2019. 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포괄적 서비스 제공 기관의 필요성: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TEACCH 사례가 주는 시사점. 대한공공의학회지. Vol. 3
-나의 소감 및, 해당 프로그램 고려할 측면, 단점 나아갈 방향
해당 프로그램에서 고려할 측면을 보면, 사실 이 TEACCH는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고 이에 대한 문제점은 사실은 아직까지는 없다고 봐야한다. 단, 한국에 도입을 할 시에 한국의 상황에 맞게 바꿀 필요가 있다. 한국은 아직까지 자폐증에 대한 편견이 있어서 이를 제대로 지원할 대상인은 물론이고 지역사회와 고용주들이 제대로 참여를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보조금 지원 등 국가적인 제도 정비를 통해 극복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그램의 단점은 우선 지역사회와 고용주들의 제대로된 불참이 이어지면 못이루는 경우도 있지만 어느 정조 전문교육을 받은 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한국은 복지공무원부터 적기 때문에 적은 수로 운영하기가 힘들다. 또한 복지시설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에 나아갈 방향은 TEACCH가 정했다고 보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개별화교육으로 맞춤형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인상적이며, 이것을 바탕으로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로 나아가야하는 현실에서 상당히 적합하다고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나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 구성이며, 이를 통해 여러 장애인들은 물론 외국인 등 다양한 곳에서 이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직준비하는 사람들한테도 적용이 가능해서 자페장애를 위한 프로그램에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3.결론
한국은 아직까지 자폐증 장애에 대한 편견이 심하며 지원이 빈약하다는 치명적인 현실을 가지고 있다. 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TEACCH같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자폐증 장애는 상당한 스펙트럼을 가질정도로 다양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파악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것을 적용해서 교육, 훈련을 시행해야기 때문에, TEACCH 프로그램은 상당히 좋은 참고용으로 볼 수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초기에는 자폐증아이들에 대한 접근해서 시작해서 공간구조화, 시각구조화, 개별화 교육으로 자폐 장애들을 치료하며 사회 적응을 시켜준다.
이것을 한국에 적용하려면 다양한 현실에 적용을 해야한다. 미국과 달리 한국은 아직까지 장애인들에 대한 대우가 적기 때문에 우선 인식제고를 해야하며, TEACCH을 실행하기 위해서 같이 병행을 해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향후 장애인들에 대한 교육이 더 많이 활성화되면서 사회에 큰 이바지가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효원. 자폐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6&tabIndex=0
윤지은. 2019. 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포괄적 서비스 제공 기관의 필요성: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TEACCH 사례가 주는 시사점. 대한공공의학회지. Vol. 3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 2021년 10월 12일. https://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211013091136831880. 2021년 11월 11일에 확인함.
이것을 진행하기 위해서 일데일모델, 순환모델, 집단지원모델, 독립모델로 개인의 감정과 관심사를 활용하기 위한 적절한 직업과 환경을 찾아내고 구조화된 교육 기술을 제대로 적용을 하고 협력하기 위한, 필요한 장기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용인, 고옹쥬, 가족, 양육자 모두가 만족하는 적절한 직업을 찾아서 객관적 평가에 기반하여 교육을 진행한다. 이 TEACCH에는 고용된 직업코치들이 있으며 직장을 구해주고 구조화된 교육원리를 통해 고용현장에서 필요한 직업기술과 행동을 가르쳐주고 작업의 질과 정확도를 위해 직업코치가 의뢰인과 함께 과제를 수행하면서 작업성취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해주며 만약에 대상인이 압도, 좌절로 인해 진행이 힘들 때, 스트레스 감소전략을 이용하여 안정된 작업심리를 유지하고 주의집중하며 작업책임을 다하도록 지원해준다. 그리고 직업코치는 대상인의 직장동료들을 교육하고 대상인과 고융주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윤지은. 2019. 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포괄적 서비스 제공 기관의 필요성: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TEACCH 사례가 주는 시사점. 대한공공의학회지. Vol. 3
-나의 소감 및, 해당 프로그램 고려할 측면, 단점 나아갈 방향
해당 프로그램에서 고려할 측면을 보면, 사실 이 TEACCH는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고 이에 대한 문제점은 사실은 아직까지는 없다고 봐야한다. 단, 한국에 도입을 할 시에 한국의 상황에 맞게 바꿀 필요가 있다. 한국은 아직까지 자폐증에 대한 편견이 있어서 이를 제대로 지원할 대상인은 물론이고 지역사회와 고용주들이 제대로 참여를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보조금 지원 등 국가적인 제도 정비를 통해 극복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그램의 단점은 우선 지역사회와 고용주들의 제대로된 불참이 이어지면 못이루는 경우도 있지만 어느 정조 전문교육을 받은 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한국은 복지공무원부터 적기 때문에 적은 수로 운영하기가 힘들다. 또한 복지시설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에 나아갈 방향은 TEACCH가 정했다고 보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개별화교육으로 맞춤형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인상적이며, 이것을 바탕으로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로 나아가야하는 현실에서 상당히 적합하다고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나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 구성이며, 이를 통해 여러 장애인들은 물론 외국인 등 다양한 곳에서 이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직준비하는 사람들한테도 적용이 가능해서 자페장애를 위한 프로그램에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3.결론
한국은 아직까지 자폐증 장애에 대한 편견이 심하며 지원이 빈약하다는 치명적인 현실을 가지고 있다. 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TEACCH같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자폐증 장애는 상당한 스펙트럼을 가질정도로 다양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파악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것을 적용해서 교육, 훈련을 시행해야기 때문에, TEACCH 프로그램은 상당히 좋은 참고용으로 볼 수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초기에는 자폐증아이들에 대한 접근해서 시작해서 공간구조화, 시각구조화, 개별화 교육으로 자폐 장애들을 치료하며 사회 적응을 시켜준다.
이것을 한국에 적용하려면 다양한 현실에 적용을 해야한다. 미국과 달리 한국은 아직까지 장애인들에 대한 대우가 적기 때문에 우선 인식제고를 해야하며, TEACCH을 실행하기 위해서 같이 병행을 해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향후 장애인들에 대한 교육이 더 많이 활성화되면서 사회에 큰 이바지가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효원. 자폐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6&tabIndex=0
윤지은. 2019. 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포괄적 서비스 제공 기관의 필요성: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TEACCH 사례가 주는 시사점. 대한공공의학회지. Vol. 3
에이블뉴스. 정신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 2021년 10월 12일. https://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211013091136831880. 2021년 11월 11일에 확인함.
추천자료
장애인상담과교육
장애인상담과교육 ) 장애 유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주요 내용을 정리한 후, 해당 유형의 ...
1장애인상담과교육 ) 장애 유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주요 내용을 정리한 후, 해당 유형의 ...
장애인상담과교육 ) 장애 유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주요 내용을 정리한 후, 해당 유형의 ...
장애인상담과교육 ) 장애 유형 중 한 가지 선택 관련 자료를 정리한 후, 해당 장애유형에 대...
장애인상담교육 ) 장애 유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관련 자료를 정리한 후, 해당 장애유형에...
장애인상담과교육 ) 주요 주제 세 가지에 대해 요약 및 정리하고(표지 및 제목 제외하고 1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