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사 ) 삼국의 토속 종교(신라의 경우 무격)과 불교의 갈등, 수용 융합 과정을 살펴보면서 신라와 고구려,백제의 불교를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상사 ) 삼국의 토속 종교(신라의 경우 무격)과 불교의 갈등, 수용 융합 과정을 살펴보면서 신라와 고구려,백제의 불교를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불교의 특징
2, 삼국의 토속 종교와 불교
1) 고구려
① 고구려의 토속 종교 ‘천손신앙’
② 천손신앙과 불교
2) 백제
① 백제의 토속 종교 ‘소도신앙’
② 소도신앙과 불교
3) 신라
① 신라의 토속 종교 ‘무격신앙’
② 무격신앙과 불교
3. 신라와 고구려·백제의 불교
1) 신라의 불교
2) 고구려·백제의 불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울에는 각각 부처와 보살의 이름을 붙였다. 신라는 여러가지 갈등상황으로 인해 앞서 살펴본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 늦은 시기에 불교를 접하게 되었지만 이차돈의 죽음 이후 빠르게 불교가 자리를 잡았고, 두 국가보다 더 밀접하게 불교를 접목시켜 국가의 발전에 이용했다. 또한, 갈등 이후에는 기존 토속 신앙과 불교가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지금의 신라의 불교 문화를 거룩할 수 있었다.
3. 신라와 고구려·백제의 불교
1) 신라의 불교
그렇다면 신라와 고구려·백제의 불교는 어떻게 다를까. 먼저 신라의 불교이다. 앞서 계속 언급했듯 신라의 경우 삼국 가운데 문화수준이 가장 낮았고 국가의 발전 수준도 낮았다. 이후 어려움을 극복하고 불교를 받아들이게 되면서 국가체제가 안정적으로 정립되게 되었고 왕권이 강화되어 국가의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 또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와 달리 중국이나 인도에서 바로 불교를 접한 것이 아닌, 고구려를 통해 불교를 전래받았다. 당시 고구려는 북조와 활발한 교류를 이어가고 있었기 때문에 고구려를 통해 불교를 전래받은 신라 역시 북조의 영향을 많이 받은 불교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신라의 불교는 호국불교의 정신이 강하게 나타나고, 더 국민에게 빠르게 받아들여졌으며 하나의 지배이념으로써 빠르게 자리 잡게 된다.
고구려와 북조의 영향을 받은 신라와 달리 백제는 국가적인 성격은 약했지만 열반경, 반야경과 같은 불교의 교리에 대한 연구과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고구려는 불교의 교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으나 국민들을 중심으로 하는 예배, 숭배와 같은 실천적인 형태의 불교가 발전하게 되었다.
2) 고구려·백제의 불교
고구려와 백제는 불교를 수용하고 융합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신라와 달리 비교적 수월하게, 또 빠른 시기에 불교를 수용한 국가이다. 이러한 두 국가의 공통점은 불교를 수용하기에 앞서 유교와 도교와 같은 외래 신앙을 이미 받아들이고 있었고, 고대국가의 성정을 미리 접했기 때문에 왕과 불교를 일체화하는 미신의 단계에 접어들지 않았다는 것이 있다.
특히 고구려는 앞서 언급했듯 삼국 중 가장 활발하게 외국과 교류하던 국가로, 가장 먼저 불교를 수입했다. 불교를 수입하기 이전에도 고구려는 도교와 유교의 도입으로 국가적인 성장을 이루었을 때였고, 문화의 수준도 굉장히 높아 중국을 넘어 서역과 중앙아시아까지 교류를 진행했다. 그렇기 때문에 고구려의 불교는 중국과 북조의 영향을 받아 미신적인 수준에 빠지지 않을 수 있었다.
백제 역시 고구려처럼 빠른 시기에 불교를 받아들였다. 백제도 계속해서 중국과 교류를 이어나가며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또한 백제는 반드시 불교를 들여와야 하는 이유가 있었는데 바로 왕권보다 강한 귀족 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귀족 세력의 힘을 누르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략적으로 불교를 도입한 백제는 강한 귀족때문에 왕과 불교를 통합하지 못했다. 하지만 불교가 독립적인 개념으로 남아있을 수 있게 되면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법회가 진행되지는 못했지만 불교의 교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계율의 실천이 강조될 수 있었다.
Ⅲ. 결론
이렇게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삼국의 불교 수용과정을 살펴보며 지금처럼 다른 나라의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바로 찾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을 때 종교가 어떻게 전래되고 발전할 수 있었는지 알게 되었다. 다른 국가의 문화를 수용함에 있어 가장 크게 작용했을 문제가 지리적인 특성이었을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이러한 지리적인 특성 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던 토착 종교와 왕권과 귀족 세력간의 갈등이 더 큰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외부와의 교류가 지금처럼 활발하지 않았던 당시에는 태어나서 처음 들어보는 외래 종교의 유입이 당연히 달갑지 않았을 것이고, 그러한 외래 종교가 유입된 이유가 귀족 세력의 힘을 누르기 위함임을 알기 때문에 귀족 세력의 반발 역시 당연한 수순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갈등에도 불구하고 불교를 도입해 국가적인 통일을 달성하고 삼국 중 가장 발달이 늦은 국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회자되는 불교 문화를 만들어낸 신라가 대단함을 알게 되었다. 신라의 화려한 불교 문화때문에 가장 먼저 불교를 수용하고 수월하게 기존의 종교와 융합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나의 예상과는 정 반대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어떻게 보면 치열한 다툼을 통해 불교가 수용된 만큼 더 깊이 자리를 잡아 단기간에 큰 성장을 이룩한 것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불교를 수용한 이유가 무엇이든 삼국은 불교를 수용하면서 각자가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했고, 다양한 문화를 꽃피우며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불교라는 종교를 전달해주었다. 앞으로 또 우리사회가 어떤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여 후세에 전달하게 될지 기대하며 보고서를 마친다.
Ⅳ. 참고문헌
1. 김영진, 「佛敎學報」, 『신라불교의 무격(巫覡) 수용과 神聖空間의 재구성 = Accepting Shamanism and Reconstructing Sacred Space in Silla Buddhism』, Vol.0 No.68 [2014], 2014, https://url.kr/wn98gv
2. 고경희, 「한국무용연구(Journal of Korean Dance)」, 『고구려무용에 내재된 \"비천\"적 세계관 = World View of Flying Deva Inherent in Goguryeo Dance』, Vol.33 No.2 [2015], 2015, https://url.kr/ck9qdp
3. 최연식, 「불교학연구」, 『백제 후기의 불교학의 전개과정 = Buddhist Thoughts in Late Baekje Dynasty』, Vol.28 No.- [2011], 2011, https://url.kr/ykg18n
4. (그림 1) 덕흥리 고분벽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url.kr/ekdc8o
5. (그림 2) 금동미륵보살, 대한불교조계종, https://url.kr/gcfajy
6. (그림 3) 이차돈 순교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url.kr/hkzalp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8.3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