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개론 ) 심리학 개론에서 학습한 내용을 개별적으로 정리하고, 내 삶에 녹아든 부분을 찾아보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개론 ) 심리학 개론에서 학습한 내용을 개별적으로 정리하고, 내 삶에 녹아든 부분을 찾아보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리학의 생물학적 기초
2. 발달 심리학
3. 학습기억과 동기, 그리고 정서
4. 성격과 지능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복적인 선택을 하는 것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 사실 이러한 성격 검사에 대해서 알기 전에는 나와 부모님의 성격이 다르고 사회가 원하는 상과 내 모습이 달라서 해소되지 않는 답답함이 있었다. 나의 성격과 사고 및 행동 양식, 그리고 내가 해온 선택들을 돌아보고, 또 나와 잘 맞지 않는 사람들의 성격유형에 관해서도 공부하면서 서로 간의 차이를 인지하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지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능이란 지적 능력을 뜻한다. 지능을 정의하고 개념을 확립하기 위해서 많은 학자의 시도가 있었으니 아직도 지능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유전적인 특성인지 환경적인 요인의 결과인지 또는 단일 요인인지 복합 요인인지도 논란이 많다. 안타까운 것은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적 병폐와 맞물려서 지능과 지능 지수(IQ)가 동일시되고 있으며 이를 단순하게 학업 성취도를 통해서 천재와 둔재를 가른다는 것이다. 지능은 지능 지수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그리고 공교육에 최적화된 지능은 120대로 알려져 있다. 즉, 지능 지수가 높을수록, 높은 학업 성취를 나타낼 것이라는 보편적인 믿음과도 다르다. 여러 이론 중에서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인상 깊었다. 나 또한 지능에 관해서는 언어와 단기기억, 그리고 추론적인 능력이 중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다중지능이론은 9가지의 다양한 지능을 개념화하고 이를 통하여 개개인의 잠재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간 친화 지능 등은 성격과도 통하는 부분이 있다. 다중지능검사에서 나의 1순위는 공간지능으로 이미지로 기억하고 사물을 분석하고 만드는 것을 선호하고 잘한다. 2순위는 언어 지능으로 말하기를 즐기고, 책 읽기와 글쓰기를 즐기며, 두 가지 이상의 외국어를 구사하며 말장난을 좋아하고 말로 다른 사람을 웃기는 일 등을 즐긴다. 3순위는 논리수학 지능으로 사물의 작용과 운동 원리에 관심이 많고, 분석적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행동 양식이 있다. 이렇듯 성격 검사와 지능검사의 경우에 본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한 정보를 준다. 이를 통하여 본인에게 알맞은 양식을 파악하고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의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5. 참고문헌
존 카치오프 외, 인간은 왜 외로움을 느끼는가, 2013
Michael S. Gazzaniga, 윤리적 뇌, 2009
리사 펠드만 배럿,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도서출판 길벗, 2021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9.0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