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GMT의 제원
2.2 GMT의 건설 장소
3. 결론
참고문헌
2. 본론
2.1 GMT의 제원
2.2 GMT의 건설 장소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풍속은 5.4 m/s이며, 강풍으로 인하여 천체 관측이 불가능한 날짜 수가 5% 이하일 정도로 안정적이다.
다섯 번째, 수증기는 중적외선 관측을 방해하는데, 겨울철 칠레의 수증기량은 1 mm 이하로 매우 낮다.
3. 결론
GMT는 이전엔 보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를 관측 가능하며 새로운 발견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천문연구원 외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호주 산학연 연합, 호주 국립대학교, 카네기 협회 과학 연구소 등 12 곳에서 컨서시움에 참여하고 있다.
GMT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최첨단의 광학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우리나라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는 것만으로도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 이는 미래의 국내 산업 기술에 많은 기여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문헌
양호순, 김영수, (2012). 광학새계, 142, pp. 23~26.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251348016455&SITE=CLICK
Giant Magellan Telescope 홈페이지
https://www.gmto.org/
다섯 번째, 수증기는 중적외선 관측을 방해하는데, 겨울철 칠레의 수증기량은 1 mm 이하로 매우 낮다.
3. 결론
GMT는 이전엔 보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를 관측 가능하며 새로운 발견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천문연구원 외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호주 산학연 연합, 호주 국립대학교, 카네기 협회 과학 연구소 등 12 곳에서 컨서시움에 참여하고 있다.
GMT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최첨단의 광학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우리나라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는 것만으로도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 이는 미래의 국내 산업 기술에 많은 기여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문헌
양호순, 김영수, (2012). 광학새계, 142, pp. 23~26.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251348016455&SITE=CLICK
Giant Magellan Telescope 홈페이지
https://www.gmto.or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