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두부, 경부의 해부학적 구조
<임상적 개요>
<건강력>
* 일반 성인 두부, 경부사정
*신생아 두부, 경부 사정
*소아 두부, 경부 사정
*임산부 두부, 경부 사정
*노인 두부, 경부 사정
<임상적 개요>
<건강력>
* 일반 성인 두부, 경부사정
*신생아 두부, 경부 사정
*소아 두부, 경부 사정
*임산부 두부, 경부 사정
*노인 두부, 경부 사정
본문내용
에 위치
후천문 : 삼각형모양 출생 후 곧 닫힘
②비정상소견 - 확대, 팽륜(두개내압 혈종 뇌막염 수두증 의심),
함몰(탈수 의심), 거대후천문(다운증후군의심)
3.안면과 경부
①정상소견 - 작고 둥글고 대칭적, 뺨은 지방패드로 두툼하고 턱은 들어가 있음
목은 대칭적이고 토실토실하며 피부는 주름지고 짧음
머리를 앞 뒤로 움직일수 있음, 기관과 거대 흉선이 확인됨
②비정상소견 - 비대칭(안면마비), 목뒤가 지방패들 두껍다(다운증후군의심),
목에 띠가 있음, 피부가 갈라짐, 타박상, 부종, 찰과상,
강직성경부(사경 뇌막염), 사경(둔위 뇌막염)
*소아 두부, 경부 사정
1.봉합선과 천문
①정상소견 - 대략 6개월 정도까지는 봉합, 융기선이 촉진됨,
전천문 : 평균 2.5 X 2.5cm 정도이며 정상적으로 9개월에서 2년 사이에 닫힘 후천문 : 출생시 촉진되거나 촉진되지 않을 수 도 있고 대략 1~2개월 사이에 닫힘
②비정상소견 - 6개월 이후까지 융기되거나 남아 있는 봉합선, 2세가 지나도록 늦게 닫히 는 천문
2.두부, 경부움직임
①영아에서의 수동적 운동범위
㉮정상소견 - 2개월 복위에서 머리를 든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음
3개월보다 어린영아는 앉은 자세를 취하면 머리가 천천히 떨어짐
5개월까지 강직성 경부반사가 존재
4개월경에는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음
㉯비정상소견 - 2개월에 머리를 들고 유지 할 수 없음
3개월이 지나도 머리를 가누지 못함
5개월 이후에도 강지성경부반사가 존재
4개월이 지나도 머리를 안정되게 지탱하지 못함
*임산부 두부, 경부 사정
1.특징
①정상소견 - 얼굴에 부스럼과 기미가 생기며 분만 후에는 희미해짐
비후나 혈류증가로 갑상선이 약간 증대됨, 임신 제 3기의 안면부종
두통(뇌 대 혈관계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하며 보통 임심1기에 사라짐)
②비정상소견 - 관리가 요구되는 갑상선증상이 선행됨, 부종은 중독의 증상,
임신동안 안면마비의 빈도가 증가됨
심하고 지속되는 두통은 조사가 요구됨
2.분만 후
①정상소견 - 부종, 갑상선 증대, 기미같은 특성은 분만 후 곧 사라짐
②비정상소견
*노인 두부, 경부 사정
1모발
①분포
㉮정상소견 - 여성은 입술이나 턱 위로 안면털이 나타남
㉯비정상소견
②양
㉮정상소견 - 종종 모발 손실, 얇거나 성글게 나타남
㉯비정상소견 - 갑작스럽고 과다한 손실
③성상
㉮정상소견 - 젊은 성인 보다 덜 광택이 있음
㉯비정상소견 - 부서지기 쉬움, 극도로 거칠고 건조함
2두부경부의 움직임
①대상자를 이완시키고 앞을 똑바로 보도록 하면서 머리와 목을 관찰함
㉮정상소견 - 머리 목 아래턱이 약간 앞으로 나온 상태(특히 대상자의 등이 굽은 자세
일 때)여성은 경추에 기방이 축적되어 등이 굽어보임
㉯비정상소견 - 머리와 목이 강직되어 있음(경추만곡이 없거나 편평해짐)
②불수의적 운동
㉮정상소견 - 없음
㉯비정상소견 - 진전(거칠거나 가벼운), 끄덕임(위, 아래로)
③대상자에게 다음과 같이 지시함
㉮턱을 가슴 쪽으로 움직이게 함(검진자는 한 손을 목 뒤에 댄다)
㉠정상소견 - 경추관절염이 있는 노인은 대개 턱을 가슴에 붙일 수 없음 불편감이나 현 저한 제한 없음
㉡비정상소견 - 운동 시 동통(동통은 귀와 관련된 것일 수도 있음)
㉯턱을 오른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
㉠정상소견 - 부드럽고 쉽게 조절되는 움직임
㉡비정상소견 - 옆으로 움직일 때 동통이나 어지러움을 경험함
㉰턱을 왼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대상자가 어깨를 으쓱대지 않도록 함)
㉠정상소견 - 부드럽고 쉽게 조절되는 움직임, 큰 제한 없음(양방향으로 70°정도 움직임)
㉡비정상소견 - 옆으로 움직일 때 동통이나 어지러움을 경험함, 염발음 또는 제한
㉱머리를 오른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대상자의 귀가 어깨에 닿도록 함)
㉠정상소견 - 중앙선에서 40° 머리를 움직일 수 있음
㉡비정상소견 - 동통, 크게 제한된 움직임, 염발음
㉲머리를 왼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
㉳머리를 뒤로 하고 턱 끝이 천정을 향하도록 움직이게 함
㉠정상소견 - 똑바로 선 자세에서 30°정도 뒤로함
㉡비정상소견 - 동통, 크게 제한된 움직임, 염발음
3경부
①대칭성
㉮정상소견 - 머리는 중앙에 위치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의 양측대칭
㉯비정상소견 - 머리가 기울어짐 근육의 비대칭 또는 짧아짐
②표면
㉮정상소견 - 피하지방의 손실로 경정맥이 돌출됨 표피가 얇음 부드럽고 대칭적이고, 촉 진시 압통 없음
㉯비정상소견 - 현저한 근육 손실 또는 긴장 압통 덩어리
4기관
①위치
㉮정상소견 - 중앙
㉯비정상소견 - 측편 위, 촉진시 압통
②윤곽
㉮정상소견 - 기관고리, 윤상연골, 갑상연골
㉯비정상소견
5갑상샘
①대칭성
㉮정상소견 - 정상선은 육안으로 볼 수 없음
㉯비정상소견 - 한쪽 또는 양측엽의 비대
②기관을 따라 촉진
㉮갑상연골
㉠정상소견 - 부드럽게 촉진되고 중앙에 위치
㉡비정상소견
㉯윤상연골
㉠정상소견 - 부드럽고 고리 같은 구조
㉡비정상소견
㉰협부
㉠정상소견 - 윤상연골 약1cm하부에서 부드러운 조직이 촉진됨
㉡비정상소견
㉱갑상선엽
㉠정상소견 - 정상적으로 촉진되지 않으나 삼키는 동작을 할 때, 피부 아래에서 부드러 운 조직의 움직임이 느껴짐 엽은 보통 촉진되지 않지만 촉진되는 경우는 작 고 부드러우며 압통이 없고 삼킬 때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것이 느껴짐
㉡비정상소견
6림프절
①촉진
㉮전이개
㉯후이개
㉰후두
㉱편도
㉲하악
㉳이하
㉴표재성 경부
㉵후경부
㉶내경부
㉷쇄골상
②크기와 모양
㉮정상소견 - 림프절은 보통 촉진되지 않으나 촉진될 경우 부드럽고 움직이고 불연속이 며 압통이 없음, 1cm정도의 단일 림프절이며 견고하고 분리되며 유동적이 고 차갑고 압통이 없이 나타남
㉯비정상소견 - 림프절 촉진 크고 둥근 원통모양이고 불규칙적임
③가동성
㉮정상소견 - 조직 위, 아래에 고정되어 있음
㉯비정상소견
④밀도
㉮정상소견 - 경화
㉯비정상소견
⑤표면의 특징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단단하고 견고하거나 부드럽고 스펀지 같음
⑥압통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촉진 시 압통
⑦열감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있음
⑧홍반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있음
출처-건강사정(정문각) p114~138
후천문 : 삼각형모양 출생 후 곧 닫힘
②비정상소견 - 확대, 팽륜(두개내압 혈종 뇌막염 수두증 의심),
함몰(탈수 의심), 거대후천문(다운증후군의심)
3.안면과 경부
①정상소견 - 작고 둥글고 대칭적, 뺨은 지방패드로 두툼하고 턱은 들어가 있음
목은 대칭적이고 토실토실하며 피부는 주름지고 짧음
머리를 앞 뒤로 움직일수 있음, 기관과 거대 흉선이 확인됨
②비정상소견 - 비대칭(안면마비), 목뒤가 지방패들 두껍다(다운증후군의심),
목에 띠가 있음, 피부가 갈라짐, 타박상, 부종, 찰과상,
강직성경부(사경 뇌막염), 사경(둔위 뇌막염)
*소아 두부, 경부 사정
1.봉합선과 천문
①정상소견 - 대략 6개월 정도까지는 봉합, 융기선이 촉진됨,
전천문 : 평균 2.5 X 2.5cm 정도이며 정상적으로 9개월에서 2년 사이에 닫힘 후천문 : 출생시 촉진되거나 촉진되지 않을 수 도 있고 대략 1~2개월 사이에 닫힘
②비정상소견 - 6개월 이후까지 융기되거나 남아 있는 봉합선, 2세가 지나도록 늦게 닫히 는 천문
2.두부, 경부움직임
①영아에서의 수동적 운동범위
㉮정상소견 - 2개월 복위에서 머리를 든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음
3개월보다 어린영아는 앉은 자세를 취하면 머리가 천천히 떨어짐
5개월까지 강직성 경부반사가 존재
4개월경에는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음
㉯비정상소견 - 2개월에 머리를 들고 유지 할 수 없음
3개월이 지나도 머리를 가누지 못함
5개월 이후에도 강지성경부반사가 존재
4개월이 지나도 머리를 안정되게 지탱하지 못함
*임산부 두부, 경부 사정
1.특징
①정상소견 - 얼굴에 부스럼과 기미가 생기며 분만 후에는 희미해짐
비후나 혈류증가로 갑상선이 약간 증대됨, 임신 제 3기의 안면부종
두통(뇌 대 혈관계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하며 보통 임심1기에 사라짐)
②비정상소견 - 관리가 요구되는 갑상선증상이 선행됨, 부종은 중독의 증상,
임신동안 안면마비의 빈도가 증가됨
심하고 지속되는 두통은 조사가 요구됨
2.분만 후
①정상소견 - 부종, 갑상선 증대, 기미같은 특성은 분만 후 곧 사라짐
②비정상소견
*노인 두부, 경부 사정
1모발
①분포
㉮정상소견 - 여성은 입술이나 턱 위로 안면털이 나타남
㉯비정상소견
②양
㉮정상소견 - 종종 모발 손실, 얇거나 성글게 나타남
㉯비정상소견 - 갑작스럽고 과다한 손실
③성상
㉮정상소견 - 젊은 성인 보다 덜 광택이 있음
㉯비정상소견 - 부서지기 쉬움, 극도로 거칠고 건조함
2두부경부의 움직임
①대상자를 이완시키고 앞을 똑바로 보도록 하면서 머리와 목을 관찰함
㉮정상소견 - 머리 목 아래턱이 약간 앞으로 나온 상태(특히 대상자의 등이 굽은 자세
일 때)여성은 경추에 기방이 축적되어 등이 굽어보임
㉯비정상소견 - 머리와 목이 강직되어 있음(경추만곡이 없거나 편평해짐)
②불수의적 운동
㉮정상소견 - 없음
㉯비정상소견 - 진전(거칠거나 가벼운), 끄덕임(위, 아래로)
③대상자에게 다음과 같이 지시함
㉮턱을 가슴 쪽으로 움직이게 함(검진자는 한 손을 목 뒤에 댄다)
㉠정상소견 - 경추관절염이 있는 노인은 대개 턱을 가슴에 붙일 수 없음 불편감이나 현 저한 제한 없음
㉡비정상소견 - 운동 시 동통(동통은 귀와 관련된 것일 수도 있음)
㉯턱을 오른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
㉠정상소견 - 부드럽고 쉽게 조절되는 움직임
㉡비정상소견 - 옆으로 움직일 때 동통이나 어지러움을 경험함
㉰턱을 왼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대상자가 어깨를 으쓱대지 않도록 함)
㉠정상소견 - 부드럽고 쉽게 조절되는 움직임, 큰 제한 없음(양방향으로 70°정도 움직임)
㉡비정상소견 - 옆으로 움직일 때 동통이나 어지러움을 경험함, 염발음 또는 제한
㉱머리를 오른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대상자의 귀가 어깨에 닿도록 함)
㉠정상소견 - 중앙선에서 40° 머리를 움직일 수 있음
㉡비정상소견 - 동통, 크게 제한된 움직임, 염발음
㉲머리를 왼쪽 어깨로 움직이게 함
㉳머리를 뒤로 하고 턱 끝이 천정을 향하도록 움직이게 함
㉠정상소견 - 똑바로 선 자세에서 30°정도 뒤로함
㉡비정상소견 - 동통, 크게 제한된 움직임, 염발음
3경부
①대칭성
㉮정상소견 - 머리는 중앙에 위치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의 양측대칭
㉯비정상소견 - 머리가 기울어짐 근육의 비대칭 또는 짧아짐
②표면
㉮정상소견 - 피하지방의 손실로 경정맥이 돌출됨 표피가 얇음 부드럽고 대칭적이고, 촉 진시 압통 없음
㉯비정상소견 - 현저한 근육 손실 또는 긴장 압통 덩어리
4기관
①위치
㉮정상소견 - 중앙
㉯비정상소견 - 측편 위, 촉진시 압통
②윤곽
㉮정상소견 - 기관고리, 윤상연골, 갑상연골
㉯비정상소견
5갑상샘
①대칭성
㉮정상소견 - 정상선은 육안으로 볼 수 없음
㉯비정상소견 - 한쪽 또는 양측엽의 비대
②기관을 따라 촉진
㉮갑상연골
㉠정상소견 - 부드럽게 촉진되고 중앙에 위치
㉡비정상소견
㉯윤상연골
㉠정상소견 - 부드럽고 고리 같은 구조
㉡비정상소견
㉰협부
㉠정상소견 - 윤상연골 약1cm하부에서 부드러운 조직이 촉진됨
㉡비정상소견
㉱갑상선엽
㉠정상소견 - 정상적으로 촉진되지 않으나 삼키는 동작을 할 때, 피부 아래에서 부드러 운 조직의 움직임이 느껴짐 엽은 보통 촉진되지 않지만 촉진되는 경우는 작 고 부드러우며 압통이 없고 삼킬 때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것이 느껴짐
㉡비정상소견
6림프절
①촉진
㉮전이개
㉯후이개
㉰후두
㉱편도
㉲하악
㉳이하
㉴표재성 경부
㉵후경부
㉶내경부
㉷쇄골상
②크기와 모양
㉮정상소견 - 림프절은 보통 촉진되지 않으나 촉진될 경우 부드럽고 움직이고 불연속이 며 압통이 없음, 1cm정도의 단일 림프절이며 견고하고 분리되며 유동적이 고 차갑고 압통이 없이 나타남
㉯비정상소견 - 림프절 촉진 크고 둥근 원통모양이고 불규칙적임
③가동성
㉮정상소견 - 조직 위, 아래에 고정되어 있음
㉯비정상소견
④밀도
㉮정상소견 - 경화
㉯비정상소견
⑤표면의 특징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단단하고 견고하거나 부드럽고 스펀지 같음
⑥압통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촉진 시 압통
⑦열감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있음
⑧홍반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 있음
출처-건강사정(정문각) p114~13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