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표시제의 목적 및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식품표시의 근거 법률 및 담당부처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표시제의 목적 및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식품표시의 근거 법률 및 담당부처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우리나라의 식품표시제
2) 식품표시사항 종류
3) 식품표시제 예시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때문에 공정 과정에서 혼입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기재하는 것을 규정해두고 있다. 이어서 어린이용 과자 기도에 걸릴 경우 대처방법도 기재되어 있다. 다만 이는 필수적인 문구는 아니며, 어린이용 식품임을 감안하여 기재한 내용으로 보인다.
우측 표에는 제품의 총 내용량, 칼로리, 영양성분별 함유량, 1일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이 작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영양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데, 당류와 지방,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 당뇨병, 비만, 고혈압 환자등도 섭취 가능한 식품임을 유추 가능하다. 하단 가운데에는 유통기한이 ’2022.03.10.까지‘로 표시되어 있다. 3월 10일까지만 유통, 판매가 가능하며 그 이후에 판매하는 경우 불법이다. 소비자도 마찬가지로 유통기한 이전에 구입하더라도 식품을 섭취할 때 3월 10일까지 안전하게 섭취 가능한 것으로 유통기한을 확인 후 참고해야 한다.
3. 결론
식품표시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이와 관련된 제도가 지속 개정되는 것은 국민 전반적으로 건강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식품표시제가 엄격하게 관리될수록, 식품 생산, 제조, 조리, 유통 등에 관여하는 업체들이 이와 같은 기준들을 철자하게 준수하게 되고, 이는 식품 제품을 안심하고 구매, 음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국내 식품 업계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소비자도 식품에 어떤 정보가 기재되어야 하는지 지속 건의해야 하며, 정부에서도 식품에 필요한 정보가 정확하게 기재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해나가야 한다.
일례로, 떡류, 배추김치는 영양성분 의무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김치에는 나트륨 함량이 높고, 떡류에는 탄수화물, 당 함량이 높아 이를 미리 확인하고 섭취하려는 소비층이 지속 늘었다. 이러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1년 영양표시 의무 대상을 단계적으로 지속 확대해나갈 것을 공표했고, 떡류와 배추김치도 확대 대상에 포함되었다. 이와 같이 소비자는 식품별로 필요한 정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요구함으로써 섭취하는 식품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고, 국내 식품표시제도 꾸준히 개선되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식품표시제 해설, 최용민 외, 농촌진흥청, 2017
https://www.nongsaro.go.kr/portal/contentsFileDownload.do?ep=KOk7NtBkoNu73kYdF900S6F1juab8B2M@r/xMBcjs5BeNOZKDq1l01hgamb5Z1g1
\'저칼로리\'라더니...인플루언서 동원 홍보했던 맛다샌드위치, 오차 허용치 초과로 과태료, 김예진, 퍼블릭뉴스, 2021.06.24.
http://www.p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31350
유기가공식품 국내인증 시대 개막, 이승현, 식품외식경제, 2009.04.07.
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59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9.05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3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