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통형
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화와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시오.
지정형
교육과정을 운영의 개념과 ?이를 운영하고 실천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목차1. 교육과정의 변화
(1) 행동주의
(2) 인지심리학
(3) 현상학과 인본주의
(4) 사회변화와 학교 교육
2. 교육과정의 운영
(1) 운영의 개념과 관점
(2) 교사의 역할
3.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화와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시오.
지정형
교육과정을 운영의 개념과 ?이를 운영하고 실천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목차1. 교육과정의 변화
(1) 행동주의
(2) 인지심리학
(3) 현상학과 인본주의
(4) 사회변화와 학교 교육
2. 교육과정의 운영
(1) 운영의 개념과 관점
(2) 교사의 역할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번째로 상호 적응적 관점이다. 이 관점은 실행자, 즉 교사에 의해 조정 및 변화되는 교육과정을 갖는다. 모든 환경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맥락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 수업 환경에 맞춰 융통성 있게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상호 적응적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생성적 관점이 있다. 생성적 관점이란, 외부에서 만들어지는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닌 교사와 학생이 직접 교육과정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교육과정은 학생의 경험 계획의 기반으로 간주되며 교사와 학생의 깊은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된다.
2) 교사의 역할
이러한 교육과정의 운영은 전적으로 교사를 통해 학생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우선 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정도와 실행 수준을 통해 얼마나 훌륭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교사의 관심정도는 0~6단계로 나뉘는데, 0단계의 지각단계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관심이 전혀 없는 상태이고, 1단계 정보단계는 교육과정에 대해 조금 알고 있고 깊이 알고 싶어 한다. 2단계는 개인관심단계로 교육과정이 자신과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싶어 하며 3단계는 운영단계로 교육과정의 운영과 관리에 관심이 있고 정보와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한다. 4단계인 결과단계는 학생들의 성취 등 다양한 영향에 대해 관심이 있고 5단계인 협동단계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다른 교사들과 협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사는 최종적인 6단계인 교육과정의 보완 및 수정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또한 교사의 관심뿐만 아니라 실제 실천하는 수준 또한 0~6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먼저 0단계의 비 운영단계는 교육과정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실행하지 못한다. 1단계인 오리엔테이션 단계는 새 교육과정을 알고, 지향점과 실행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탐색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준비단계로 직접적인 실행을 위해 준비하며 3단계의 기계적 운영 단계는 새 교육과정의 단기적인 운영으로 실행이 체계적이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4단계인 일상화는 처방된 교육과정 그대로 실천하며, 더 나아가 정교화를 통해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행한다. 그 이후 5단계인 통합화를 통해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동료 교사와 협동하며 최종적으로 교사의 역할은 6단계 갱신을 통해 과정을 재평가하고 보완하며 개정방향의 탐색을 진행하여야 한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방송대 강의안 자료
2) 교사의 역할
이러한 교육과정의 운영은 전적으로 교사를 통해 학생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우선 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정도와 실행 수준을 통해 얼마나 훌륭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교사의 관심정도는 0~6단계로 나뉘는데, 0단계의 지각단계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관심이 전혀 없는 상태이고, 1단계 정보단계는 교육과정에 대해 조금 알고 있고 깊이 알고 싶어 한다. 2단계는 개인관심단계로 교육과정이 자신과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싶어 하며 3단계는 운영단계로 교육과정의 운영과 관리에 관심이 있고 정보와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한다. 4단계인 결과단계는 학생들의 성취 등 다양한 영향에 대해 관심이 있고 5단계인 협동단계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다른 교사들과 협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사는 최종적인 6단계인 교육과정의 보완 및 수정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또한 교사의 관심뿐만 아니라 실제 실천하는 수준 또한 0~6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먼저 0단계의 비 운영단계는 교육과정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실행하지 못한다. 1단계인 오리엔테이션 단계는 새 교육과정을 알고, 지향점과 실행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탐색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준비단계로 직접적인 실행을 위해 준비하며 3단계의 기계적 운영 단계는 새 교육과정의 단기적인 운영으로 실행이 체계적이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4단계인 일상화는 처방된 교육과정 그대로 실천하며, 더 나아가 정교화를 통해 적합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행한다. 그 이후 5단계인 통합화를 통해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동료 교사와 협동하며 최종적으로 교사의 역할은 6단계 갱신을 통해 과정을 재평가하고 보완하며 개정방향의 탐색을 진행하여야 한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방송대 강의안 자료
추천자료
[2022 교육과정][공통형, 지정형1] ➀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
[2022 교육과정][공통형, 지정형2] ➀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
교육과정 2022년] 1.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
교육과정 2022년 공통형 1. 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
교육과정 )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교육과정의 역사...
1교육과정 ) 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교육과정의 ...
교육과정학 ) 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교...
소개글